본문 바로가기
  • 5월 고용률 35만 명 증가···60세 이상 늘고, 청년·제조업 줄었다

    올해 5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만1천명 늘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 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83만5천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5만1천명 늘어났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16만6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이 12만8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이 11만1천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6만6천명)과 제조업(-3만9천명), 도매 및 소매업(-3만1천명)은 줄어들었다.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37만9천명이 늘었고, 6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2만8천여명이 줄었다. 특히 청년층 고용률은 47.6%로 전년동월대비 9만9천명(0.2%p)이 줄면서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주목할 점은 40대 취업자는 4만8천명 줄고, 50대 취업자는 4만9천명이 늘어났다. 비경제활동 인구는 1천575만6천명으로 11만5천명이 줄어 2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쉬었음’이라고 답한 인구는 18만1천명 늘었으나 연로(-15만2천명), 육아(-14만6천명)등에서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반도체와 석유화학에서 수출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5월에는 (4월 제조업 감소 수준보다) 축소됐는데, 기타 기계 장비와 자동차 제조 쪽에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설분야는 증가하고 있지만, 수주 쪽은 감소하고 있다"면서 "부동산 경기라든가 이런 부분이 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6.15 10:19:39

    5월 고용률 35만 명 증가···60세 이상 늘고, 청년·제조업 줄었다
  • 역사 쓴 2월 수출액…“제조업 저력 보여줬다”

    [숫자로 보는 경제]한국의 2월 수출액이 역대 2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원자재 값 상승,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불안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이룬 성과다. 무역 수지 또한 수출 증가에 따라 3개월 만에 흑자 전환됐다.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수출이 작년 동월보다 20.6% 증가한 539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3월 1일 밝혔다. 이는 역대 2월 중 최고 기록으로, 2월에 수출이 500억 달러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하루 평균 수출액(26억9600만 달러) 기준으로도 역대 최대다.수출은 2016년 11월~2018년 3월 이후 처음으로 16개월 연속 증가 기록을 세우는 동시에 2009년 11월~2011년 9월 이후 10여 년 만에 1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기록을 달성했다.품목별로 보면 15대 주요 품목 중 자동차 부품(-1.1%)을 제외한 전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24.0%), 컴퓨터(44.5%), 디스플레이(39.2%), 가전(14.6%), 철강(40.1%), 석유화학(24.7%), 석유제품(66.2%) 등 주력 품목에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반도체는 10개월 연속 수출 100억 달러 달성에 성공했다.지역적으로도 9대 지역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중국(16.0%), 미국(20.9%), 유럽연합(8.6%), 아세안(38.4%) 등 주요 4대 시장의 수출은 역대 2월 중 최대치를 달성했고 중남미(18.1%), 인도(4.9%) 등 신흥 시장으로의 수출도 증가하며 9대 지역 수출이 모두 11개월 연속 증가했다.대러시아 수출이 전체의 73%를 차지하는 독립국가연합(CIS)으로의 수출도 45.6% 늘어나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이 아직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됐다.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2월의 무역 수지 흑자 전환은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2022.03.06 06:00:14

    역사 쓴 2월 수출액…“제조업 저력 보여줬다”
  •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 전년 대비 16% 증가···제조업·폭언 가장 많았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지난해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이 2020년에 비해 크게 늘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7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된 후 고용노동부에 접수된 사건은 2019년 총 2,130건, 2020년 총 5,823건, 2021년 총 6,763건이다. 2021년은 2020년에 비해 16%가 증가했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에 따라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법에 처벌 규정이 없고, 법 적용대상이 5인 이상 사업장의 근로자와 사용자에 국한되는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 때문에 골프장 캐디가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적용대상에서 제외되기도 하고, 공동주택 경비노동자가 입주민에게 괴롭힘을 당해도 규제하기가 어렵다. 전체 사건 처리 현황을 보면 작년 말까지 14,327건이 종결됐고, 그 중 개선지도 1,859건(12.98%), 검찰송치 179건(1.25%), 취하 5,754건(40.16%), 기타 6,535건(45.61%)이다. 기타는 ‘5인 미만 사업장, 근기법 적용제외(근로자성 부인 등), 위반없음 등 포함’을 표시한 것으로 이 수치가 접수된 사건 중 45.61%는 높은 수치라고 의원실은 설명했다. 특히 이 중에 적용제외와 위반 없음이 섞여 있고,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를 해도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가해자 처벌도 제대로 되고 있지 못하다. 법 시행 후 접수된 전체 사건 14,716건 가운데 송치사건이 179건으로 1.25%에 불과하고, 그 중 기소의견은 66건으로 전체 사건 대비 기소의견율은 0.46%에 머문다. 고용노동부에서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돼도 검찰에서 기소를 하지 않으면 기소가 되지 않는다. 반면, 검찰은 직장 내 괴롭

    2022.01.20 10:34:47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 전년 대비 16% 증가···제조업·폭언 가장 많았다
  • 기업 체감 경기 두 달 연속 ‘제자리걸음’…제조업 회복 주춤

    [숫자로 보는 경제]여름휴가철을 맞아 조업 일수 감소로 제조업이 차질을 빚으면서 한국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두 달 연속 제자리걸음했다.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체 산업의 BSI는 7월과 같은 87을 기록했다.BSI는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의 판단과 전망을 조사하는 통계다. 부정적 응답이 긍정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2003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전 산업 BSI가 100을 넘은 적은 없다.이번 조사는 8월 10~18일 3255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그중 2814개 기업(제조업 1634곳, 비제조업 1180곳)이 설문에 답했다.업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95)가 전달 대비 2포인트 하락한 반면 비제조업은 81로 2포인트 올랐다. 제조업 체감 경기가 부진한 이유는 조업 일수 감소 등의 영향이 컸다.전방 산업의 수요 둔화로 기타 기계·장비가 10포인트 떨어졌고 완성차 업체의 조업 감소로 자동차는 8포인트 낮아졌다. 전자 부품 수요도 둔화되면서 전자·영상·통신 장비도 3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1포인트, 중소기업이 3포인트 낮아졌다.비제조업에서는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업이 전달 대비 9포인트 올랐다. 예술·스포츠·여가업도 7포인트, 도소매업은 5포인트 올랐다.김대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기업팀장은 “비제조업은 평년 대비 적은 강수량과 여름휴가철이라는 계절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BSI가 올랐다”며 “도소매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식료품 소비가 늘고 휴가철로 여행 용품 구

    2021.08.28 06:18:02

    기업 체감 경기 두 달 연속 ‘제자리걸음’…제조업 회복 주춤
  • 제조업 경기 전망, 7년 만에 ‘긍정’으로 전환

    [숫자로 보는 경제]한국 제조 기업의 올해 3분기 경기가 2분기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경제 회복에 따른 수출 반등과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내수 회복 기대감이 해당 전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제조 기업 2400여 곳을 대상으로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7년 만에 기준치(100)를 넘어 103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BSI가 기준치 100을 넘긴 것은 2014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BSI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는 그 반대다.대한상의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에 맞춰 최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개월 연속 40% 이상 증가했다”며 “한국의 백신 접종률도 크게 늘어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수출 BSI는 112, 내수 BSI는 101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기계(120) △제약(113) △IT·가전(108) △의료정밀(106) △식음료(105) 등이 기준치를 웃돌았다.기계 업종의 체감 경기가 높은 것은 미국 공공 인프라 확대 정책의 수혜가 기대돼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특수성과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바이오·소비재의 경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반면 유가 상승과 낮은 정제 마진으로 정유·석유화학(96)과 조선·부품(85), 출판 인쇄(81), 비금속 광물(80) 등의 업종은 부정적인 전망이 많았다.상반기 목표 실적 달성 가능성에는 응답 기업의 절반 정도(49.3%)가 ‘상반기 목표치를 달성 혹은 초과할 것’이라고 답했다.‘목표치에 미달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은 50.7%로 나타났다. 하지만 코

    2021.07.05 06:45:01

    제조업 경기 전망, 7년 만에 ‘긍정’으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