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국내외 수주 호재 잇따라…‘K-원전 신화’ 다시 쓴다 [2023 100대 CEO]

    [2023 100대 CEO]박지원 회장은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두산에너빌리티의 체질 개선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을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고 수소·풍력·암모니아·원자력 등을 탄소 중립 전략의 핵심 사업으로 키우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 유일의 원전 주기기 제작 기업으로 협력사와 함께 현재까지 총 34기의 원자로와 124기의 증기 발생기를 국내외에 공급해 왔다.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 등 에너지 정책 전환에 힘입어 지난 3월 한국수력원자력과 2조9000억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주기기 제작에 본격 착수하며 K-원전 부활의 신호탄을 쐈다. 신한울 3·4호기는 2014년 신고리 5·6호기 이후 9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수주다.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과 신성장 사업을 중심으로 8조6000억원을 수주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년보다 1조원가량 목표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1분기 만에 수주 목표치의 절반을 달성해 올해 수주 목표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두산에너빌리티의 수주액은 △2019년 3조1547억원 △2020년 4조6222억원 △2021년 6조3397억원 △2022년 7조5842억원으로 증가세다.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 이후 카자흐스탄 복합 화력 발전소 공사 계약(1조1500억원), 우주베키스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기자재 공급(600억원) 등 수주를 잇달아 따내며 1분기에만 4조원대 수주 실적을 올렸다.올해 하반기부터 원전 수주가 본격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 등에 따라 탈러시아·탈중국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2023.06.30 11:54:01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국내외 수주 호재 잇따라…‘K-원전 신화’ 다시 쓴다 [2023 100대 CEO]
  • ‘2023 빌보드’가 선정한 세계 음악산업 선도 리더는…

    하이브 박지원 최고경영자(CEO)와 빅히트 뮤직의 신영재 대표,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가 ‘2023 빌보드 인터내셔널 파워 플레이어스(The 2023 Billboard International Power Players)’에 선정됐다. 인터내셔널 파워 플레이어스는 빌보드가 미국 외 지역에서 세계 음악산업을 선도하는 리더를 선정하는 리스트다.박지원 CEO와 신영재 대표는 빌보드 인터내셔널 파워 플레이어스에 2년 연속 선정되며 글로벌 음악시장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민희진 대표는 올해 초 ‘빌보드 우먼 인 뮤직(Billboard Women in Music)’ 리스트에 선정된 데 이어 영광을 안았다.25일(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3 인터내셔널 파워 플레이어스’를 발표한 빌보드는 박지원 CEO와 신영재·민희진 대표를 소개하면서 “점점 다각화되고 있는 하이브의 사업은 모든 방면에서 뛰어난 퍼포먼스를 나타냈다”고 평했다.이와 함께 방탄소년단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게임 ‘인더섬 with BTS’ 개발 및 NFT 플랫폼 ‘모먼티카(MOMENTICA)’ 출시 등 팬 경험 극대화를 위해 음악과 기술의 색다른 융합을 시도하고 있는 박지원 CEO의 행보를 주목했다.또한, 방탄소년단, 투모로우바이투게더(TOMORROW X TOGETHER), 뉴진스(NewJeans)의 글로벌 음악차트 성적을 제시하며 이들 아티스트의 소속 레이블을 이끄는 신영재·민희진 대표의 경영 역량을 조명하기도 했다.빅히트 뮤직을 이끄는 신영재 대표는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인 방탄소년단과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핵심 조력자로서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글로벌 활동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민희진 어도어 대표는 2022년 7월 데뷔한 신인 걸그룹 뉴진스의 총괄 프로

    2023.04.27 15:03:14

    ‘2023 빌보드’가 선정한 세계 음악산업 선도 리더는…
  • 박지원 하이브 CEO, ‘멀티 레이블 체제’ 효과적[2022 올해의 CEO]

    박지원 하이브 최고경영자(CEO)는 2021년 7월 대표이사에 선임된 이후 기업 고도화를 위한 전략과 운영 전반을 총괄하고 있다. 특히 그간 쌓아 온 전문성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접목하며 하이브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박 CEO는 2003년 글로벌 게임 기업 넥슨에 입사해 넥슨 저팬의 경영기획실장·운영본부장 등을 거쳐 2014년부터 넥슨 코리아 CEO에 선임됐다. 넥슨 재직 당시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는 등 국내외 콘텐츠 비즈니스 환경을 두루 체득한 것은 물론 활발한 투자로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하고 동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의 성장을 견인했다. 그간의 경영 능력을 인정받아 2020년 5월 하이브에 합류했다. 첫 성과는 2020년 10월 하이브의 주식 시장 상장이다. 이후 각 레이블의 크리에이티브를 기반으로 공연·영상·학습·게임 등 다양한 형태의 2·3차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글로벌 팬덤 플랫폼 위버스(Weverse)의 시너지를 확대하는 하이브만의 독자적인 레이블·솔루션·플랫폼 비즈니스 구조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또한 박 CEO는 하이브가 ‘세계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도록 산업 간 경계 없는 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표 사례로 2021년 1월 네이버에서 브이라이브 사업을 양수한 데 이어 4월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글로벌 톱 아티스트의 매니지먼트를 담당하는 종합 미디어 기업 ‘이타카홀딩스’의 성공적인 인수를 이끌며 하이브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 단계 강화했다.실적도 꾸준히 성장세다. 올해 분기

    2022.12.18 06:00:03

    박지원 하이브 CEO, ‘멀티 레이블 체제’ 효과적[2022 올해의 CEO]
  • [100대 CEO-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강한 리더십’으로 실장부터 회장까지…SMR 등 4대 사업 드라이브

    박지원 회장이 이끄는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4월 사명을 바꿨다. 2001년 한국중공업에서 두산중공업으로 이름을 바꾼 지 21년 만에 새 이름을 달았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새 이름과 함께 올해를 재도약의 원년으로 삼을 계획이다. 에너빌리티(Enerbility)는 에너지와 지속 가능성의 조합어로, 이 두 가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박 회장은 ‘강력한 리더십’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박 회장은 두산에너빌리티가 두산의 품으로 들어 왔던 시절부터 회사에서 경력을 쌓아 왔다. 기획실장을 거쳐 부사장·사장·부회장·회장까지의 경력을 모두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쌓았다. 이처럼 박 회장은 말 그대로 두산에너빌리티 ‘그 자체’인 인물이다. 대표이사를 맡은 후 이사회 의장직까지 겸임하면서 이사회 내 강력한 권한을 쥐어 왔다. 또한 박 회장은 (주)두산의 부회장도 맡고 있다. 두산 지분율은 4.94%로 형인 박정원(7.41%) 두산 회장 다음으로 보유 주식이 많다.박 회장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사업 체질을 기존의 전통적 발전 사업 중심에서 친환경 발전 사업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조직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박 회장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기준으로 전체 수주의 52%에 해당하는 5조3000억원의 수주를 4대 성장 사업에서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박 회장이 점찍은 4대 성장 사업은 가스터빈·수소·신재생에너지·차세대 원전(소형 모듈 원전 SMR)이다. 수주 목표 5조3000억원은 가스터빈 1조8000억원, 수소 6000억원, 신재생에너지 2조1000억원, 차세대 원전 8000억원을 더한 것이다.이와 함께 박 회장은 신사업 성장을 위해 기존 사업의 성과를 높이

    2022.07.08 06:05:01

    [100대 CEO-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강한 리더십’으로 실장부터 회장까지…SMR 등 4대 사업 드라이브
  •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수소 사업 다각화…친환경으로 체질 개선

    [100대 CEO] 두산중공업은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을 중심으로 친환경 사업으로의 체질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두산중공업은 올해 1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7800억원 규모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 수주에 성공했다. 두산중공업은 디벨로퍼인 프랑스 에너지 전문 기업 ‘엔지(Engie)’, 사우디아라비아 기업 ‘모와(Mowah)’, ‘네스마(Nesma)’로 구성된 컨소시엄과 얀부 4단계(Yanbu4) 해수 담수화 플랜트 건설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얀부4 해수 담수화 플랜트는 역삼투압(RO : Reverse Osmosis) 방식으로 제다 시 북쪽 260km 지점에 자리한 알라이스 지역에 건설된다. RO 해수 담수화는 역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바닷물에 인위적인 압력을 가해 반투막(membrane)을 통과시켜 염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두산중공업은 설계에서부터 기자재 제작, 시공까지 일괄 수행하는 설계·조달·시공(EPC) 방식으로 얀부4 해수 담수화 플랜트를 2023년까지 건설할 예정이다. 완공 시 하루에 약 150만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45만 톤의 물을 생산해 사우디아라비아 서부 알라이스 지역에 공급하게 된다. 두산중공업은 또 수소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블루수소와 그린수소 등 ‘청정 수소 생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창원 공장에 건설 중인 수소 액화 플랜트에서는 블루수소를 생산, 활용할 예정이다. 풍력 발전을 이용한 그린 수소 생산도 제주도에서 차질없이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차세대 원전인 소형 모듈셩 원자로(SMR : Small Modular Reactor)를 활용한 청정 수소 생산도 검토 중이다.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은 전력 생산 시 탄소

    2021.06.25 06:41:01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수소 사업 다각화…친환경으로 체질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