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앵콜 원해요" 바가지 축제 속 빛난 ‘1만3000원’삼계탕

    최근 잇따라 지역 축제 '바가지' 물가 논란이 발생한 가운데 충남 금산군에서 열린 제3회 금산삼계탕축제가 '개념 물가'로 뒤늦게 알려져 누리꾼들 사이 호평을 받고 있다. 여타 지방 축제들과는 달리 합리적인 가격에 푸짐한 양의 음식을 판매했기 때문이다.[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캡처]15일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금산삼계탕축제 바가지 예방 근황'이라는 제목의 글이 공유되고 있다. 글의 작성자는 "가격대 통일화 및 안내, 키오스크 도입, 1만3000원 삼계탕과 1만원 해물파전"이라는 글과 함께 현장 사진을 공개했다.공개된 음식 사진을 보면 한 식판에 삼계탕과 파전, 김치 등이 있다. 특히 삼계탕에는 닭 한 마리와 인삼 한 뿌리가 통째 올려져 있다.이와 함께 첨부된 메뉴판 사진을 보면, 금산군 내 5개 지역의 특색이 담긴 삼계탕 가격은 1만3000원으로 동일하게 책정돼 있다. 파전·골뱅이무침·편육·모듬인삼야채튀김 등 기타 메뉴는 1만원이다.정찰제와 함께 카드 사용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도입해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인 점도 호평을 받았다. 누리꾼들은 “내년엔 꼭 가봐야겠다” “이렇게 서로 윈윈하는 축제 하면 얼마나 좋은가” “앵콜 축제 기대한다” 등등 긍정적인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제3회 금산삼계탕축제에는 전국에서 5만9000여명이 몰려 닭 2만여마리와 인삼 1만5000㎏이 소진된 것으로 전해졌다.한편, 엔데믹 전환 이후 올해 들어 지역 축제가 속속 막을 올렸으나 일부는 바가지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지난 3월 열린 경남 창원 진해군항제에서는 '바비큐 한 접시 5만원' 논란이 빚어졌고, 전북 남원 '춘향제'에서는 4만원어치 통돼지 바비큐가 가격 대비 부실하다며 누리꾼들

    2023.07.15 13:01:30

    "앵콜 원해요" 바가지 축제 속 빛난 ‘1만3000원’삼계탕
  • 아직 끝나지 않았다…'삼계탕 300원' 삼복더위 특가전에 구름떼 예고

    쿠팡이 복날을 맞아 '삼복더위 이겨내기 여름보양식 특가전’ 행사를 오는 2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삼계탕·추어탕 등 여름 보양식을 한정 수량으로 단 300원에 판매하는 특가 이벤트다.초복을 하루 앞둔 7월 10일에는 5종의 행사상품을 300원 특가에 한정 수량으로 선보인다. 오전 10시부터 한 시간 간격으로 총 5종의 상품(하우촌삼계탕 1kg, 바르게 만든 순살 닭백숙, 참스토리 푸짐한 왕갈비탕, 남가네설악추어탕, 더미식닭개장)판매를 시작한다. 같은 날 ‘무항생제 영계를 푹 고은 즉석 삼계탕 900g’ 상품을 반값에 판매하는 특가 행사도 진행한다. 중복을 앞둔 오는 20일에도 두 개의 상품(밸런스죽 능이누룽지닭백숙, 밸런스죽 전복내장죽)을 각각 오전 10시와 정오에 300원 특가로 한정 수량을 내놓는다. 이날 ‘다향 바베큐 통삼겹 450g’ 상품도 반값 특가에 선보인다. 이외에도 300여종의 상품을 대상으로 다양한 즉시할인 행사가 열린다. 참여 브랜드는 교동, 진한식품(주), 미라지식품, 아워홈, 하림, 올가홀푸드, 샘표, 베베쿡, 다향, 목우촌, 대상웰라이프 등 수십 곳에 이른다. 쿠팡 관계자는 “고객 여러분께서 이번 특가행사를 잘 이용해 ‘역대급 무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되는 올 여름을 건강하게 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7.10 11:47:12

    아직 끝나지 않았다…'삼계탕 300원' 삼복더위 특가전에 구름떼 예고
  • '올 여름 덥다는데 큰일이네'···냉면·삼계탕에 이어 팥빙수까지 가격 인상

    치솟은 물가에 가계 부담은 갈수록 커져만 가고 있다. 특히 냉면, 팥빙수 등 여름 대표 메뉴 가격과 식자재 값이 줄줄이 올라 서민들의 여름 나기가 더욱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엔터프라이즈 푸드테크 기업 마켓보로가 자사의 외식 사업자용 식자재 앱 ‘식봄’에서 거래되는 지난 4~5월 식자재 가격을 조사한 결과, 냉면·콩국수· 삼계탕 등 여름철 대표 음식의 식자재 가격이 1년 전에 비해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냉면면(2kg) 평균 가격은 12.3% 올랐고, 냉면육수(10kg)의 가격도 8% 인상됐다. 식자재 가격 상승으로 냉면 값도 올랐다. 지난달 말 한국소비자원이 서울 지역의 8대 외식 상품을 조사한 결과 냉면 한 그릇 가격은 평균 1만923원으로 전년(1만269원) 대비 6.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 보양식인 삼계탕의 주재료인 삼계탕용 닭 가격도 전년 대비 23.2% 올랐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서도 서울의 삼계탕 가격(1만6423원)이 작년(1만4577원)보다 12.7%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여름 대표 간식 팥빙수의 원재료 가격도 평균 14.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빙수팥(3kg)이 전년 대비 19%, 연유(50g)가 8%, 빙수떡(220g)은 11% 상승했다. 팥빙수에 곁들이는 빙수제리(450g)는 11%, 후르츠칵테일(3kg)은 25% 올랐다. 최근 들어 인기를 끌고 있는 망고빙수의 주재료인 망고(1kg) 역시 지난해 대비 12% 가격이 상승했다. 식자재 가격이 올랐음에도 팥빙수를 파는 유명 프랜차이즈 중 올해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곳이 많았다. 지난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조사 결과, 팥 가격이 23.1% 하락하는 동안 팥빙수 가격을 12% 올린 사실이 드러나 여론의 뭇매를 맞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렇지만 A 프랜차이즈

    2023.06.28 10:53:05

    '올 여름 덥다는데 큰일이네'···냉면·삼계탕에 이어 팥빙수까지 가격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