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쟁률 6:1’ 할머니들의 배틀 그라운드···인생 2막 열어준 ‘이야기할머니’ [강홍민의 JOB IN]
어릴 적 방학이 되면 늘 찾던 할머니 댁의 기억은 잊지 못할 추억으로 남아 있다. 할머니의 무릎에 누워 듣던 옛날이야기를 모티브로 시작한 이야기할머니 사업이 어느덧 15주년을 맞았다. 2009년 경북에서 30명을 배출한 이 사업은 올해 3000명이 넘는 이야기할머니를 배출·양성했다. 올 초 모집에서는 전국 500명 선발에 3352명이 지원해 경쟁률 6.7대1을 기록하며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2014년 이야기할머니로 선발돼 올해 10년 차가 된 오춘교 씨는 “10년 동안 이야기할머니를 했지만 늘 아이들을 만나기 전날에는 설렌다”고 말했다. 여성 노년층에게 인생 2막의 설렘을 안겨주는 직업, 이야기할머니에 대해 들어봤다. 요즘 이야기할머니가 노년층 사이에서 인기라고 들었어요. 어떤 일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야기할머니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과 같은 기관에 방문해 아이들에게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나 미담을 들려주는 일을 해요.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의 인성 교육을 함양시키고, 세대 간 단절된 부분을 소통시키는 역할이에요.” 아이들에게 주로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시나요.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는 지혜나 정직, 효에 관한 이야기예요. 이야기할머니 사업을 주관하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아이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를 선정해요. 현재까지 총 220편으로, 선현미담 134편, 우리 옛이야기 86편으로 구성돼 있어요.” 이야기 발굴 과정 -이야기 소재 : 우리 옛이야기와 선현미담 -이야기 수 : 총220편(선현미담 134편, 우리 옛이야기 86편) -내용(주제) : 선행, 지혜, 보은, 효, 나라사랑, 검소, 감사, 우애
2023.05.16 12:52:01
-
“엄마가 일을 안했더라면, 넌 좀 더 행복했을까” [어쩌다 워킹맘]
[한경잡앤조이=박소현 블랭크코퍼레이션 PRO] 저녁 약속이 많은 요즘이었다. 퇴근이 늦은 어느 날, 아이를 재운 남편이 아이가 반에서 왕따인 것 같다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말했다. 내용은 이랬다. 남자아이들은 화요일마다 (아이 제외) 축구를 하러 가고, 여자 친구들은 금요일마다 키즈카페를 간다며 자기도 키즈카페를 같이 가고 싶다고 했다. 부랴부랴 지난 번 받아 놓은 반 아이 학부모 번호를 떠올렸다. 연락해야지 하며 한달을 미루던 같은 반 아이 엄마에게 그제야 연락을 하게 되었다. 그렇게 나는 학부모 단톡방에 초대됐다. 단톡방에 들어가 보니 키즈카페, 축구, 숲체험 등 이미 정기적으로 많은 외부활동들을 함께 하고 있었다. 월반을 한 아이입장에서는 이미 1년을 함께 보낸데다 다양한 과외활동을 함께 한 반 친구들 사이를 파고들기는 쉽지 않았을 것 같았다. 아차 싶었다. ‘내가 너무 무심했구나’ 단톡방에 있는 워킹맘의 감정은 이중적이다. 여기에 속해 있다는 안도감과 함께(심지어 따돌리지 않아 감사한 마음까지 들 지경이다.) 그들만큼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다는, 그래도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는 부담감이 함께 있다. 7세라는 나이는 앞으로의 학교 생활을 위한 준비와 친구들과의 관계를 살펴야만 하는 시기다. 결국, 말못하는 영유아 시절을 지나 이제는 혼자서 기본적인 활동들을 할 수는 있는 나이임에도 엄마의 고민은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은 올 가을에 있을 학원 레벨테스트의 ‘아웃풋’을 위해 숙제가 많고 어려워졌다. 미국의 초등학교 2,3학년이나 할 법한 지문을 읽고 쓰는 것을 아이에게 강요하는 건 과하다고
2022.05.19 09:3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