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삼성전자, 업계 최초 LPCAMM 개발…"성능 50%↑ 전력효율 70%↑"

    삼성전자가 PC·노트북 D램 시장의 판도를 바꿀 LPDDR D램 기반 7.5Gbps LPCAMM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9월 26일 밝혔다. 차세대 PC·노트북 시장에 새로운 폼팩터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LPCAMM은 LPDDR 패키지 기반 모듈 제품이다. 기존 PC나 노트북에는 LPDDR 패키지 제품을 메인보드에 직접 탑재한 온보드(On-board) 방식 혹은 DDR 기반 모듈 형태의 So-DIMM이 사용되고 있다. 온보드 방식은 소형화, 저전력 등의 장점이 있지만 메인보드에 직접 탑재되어 교체가 어렵고, So-DIMM은 모듈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지만 전송 속도, 공간 효율화 등에서 물리적 개발 한계가 있다. 삼성전자는 LPDDR을 모듈에 탑재해 고성능, 저전력을 구현함과 동시에 탈부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사에게는 제조 유연성을, 사용자에게는 교체·업그레이드 등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LPCAMM은 So-DIMM 대비 탑재 면적을 최대 60% 이상 감소시켰다. PC나 노트북의 부품 구성 자유도를 높여 배터리 용량 추가 확보 등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o-DIMM 대비 성능은 최대 50%, 전력효율은 최대 70%까지 향상시켜, 인공지능(AI)·고성능 컴퓨팅(HPC)·서버·데이터센터 등 응용처가 확대될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했다. 삼성전자는 인텔 플랫폼에서 7.5Gbps LPCAMM 동작 검증을 마쳤다. 2024년 상용화를 위해 연내 인텔을 포함한 주요 고객사와 차세대 시스템에서 검증할 예정이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부사장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성능, 저전력, 제조 융통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LPCAMM은 PC·노트북과 데이터센터 등으로 점차 응용처가 늘어날 전망”이라며 “앞으로 삼성전자는 LPCAMM 솔루션 시장

    2023.09.26 11:44:32

    삼성전자, 업계 최초 LPCAMM 개발…"성능 50%↑ 전력효율 70%↑"
  • "메모리 시장에 해 뜬다"…하반기 D램 수요, 공급 넘어선다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가 나오고 있다. 올해 하반기 수요가 공급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25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반도체 산업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고 올해 D램 수요가 공급보다 많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까지는 공급이 더 많았다. 1분기 공급량은 2Gb(기가비트) 칩 환산 기준 274억6800만개였고, 수요는 243억2400만개로 집계됐다. 2분기에는 공급이 257억7400만개, 수요가 246억7500만개로 예측된다. 공급이 수요를 뛰어넘는 시기는 3분기로 전망된다. 3분기 공급 예상치는 245억200만개, 수요량은 266억500만개로 예상된다. 공급이 수요보다 7.90% 부족하다. 4분기 공급량은 266억1800만개, 수요량은 298억1600만개로 예측된다. 수요가 10.72% 더 많다는 의미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연간 기준으로도 수요가 공급을 앞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공급량은 총 1043억6200만개, 수요량은 총 1054억1900만개로 예측된다. 공급량은 전년 대비 0.37% 줄어드는 반면 수요량은 8.61% 늘어난다. 이 같은 변화는 삼성전자 감산의 영향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4월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면서 감산을 공식화했다. 당시 삼성전자는 "선단 공정 및 DDR5·LPDDR5 전환 등에 따른 생산 BG(비트 단위로 환산한 반도체 생산량 증가율) 제약을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라며 "특정 메모리 제품은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했다. 이미 진행 중인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을 최적화하겠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 업계에서는 주요 메모리 기업들의 감산 결정 효

    2023.05.25 17:52:51

    "메모리 시장에 해 뜬다"…하반기 D램 수요, 공급 넘어선다
  • "삼성전자 또 해냈다" 12나노 반도체 최초 양산

    삼성전자는 업계 최선단 12나노(㎚·10억분의 1m)급 공정으로 16Gb(기가 비트) DDR5 ‘5세대 D램 양산’을 시작했다고 18일 밝혔다.삼성전자 12나노급 D램은 이전 세대 제품과 대비해 생산성이 20%, 소비 전력이 23%가량 개선됐다. 소비 전력 개선으로 데이터센터 등을 운영하는 데 있어 전력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12나노는 회로 선폭(線幅)이 머리카락 굵기의 약 1만분의 1에 불과한 첨단 반도체 생산 공정으로,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수준이다.지난해 업계 3위인 미국 마이크론이 먼저 5세대 D램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지만, 반도체 업계에선 해당 기술을 13나노급으로 추정한다. 업계 2위인 SK하이닉스는 연내 5세대 D램을 개발·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세계 D램 시장의 43%(작년 4분기 기준)를 차지한 1위다삼성전자는 유전율(K)이 높은 신소재 적용으로 전하를 저장하는 커패시터(Capacitor)의 용량을 늘렸다. D램의 커패시터 용량이 늘어나면 데이터 신호의 전위차가 커져 구분이 쉬워진다. 동작 전류 감소 기술과 데이터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노이즈 저감 기술 등도 적용했다.DDR5 규격의 12나노급 D램은 최고 동작 속도 7.2Gbps(초당 기가비트)를 지원한다. 이는 1초에 30GB(기가바이트) 용량의 초고화질(UHD) 영화 2편을 처리할 수 있는 속도다. 삼성전자는 고객 수요에 맞춰 12나노급 D램 라인업을 지속해서 확대해 데이터센터·인공지능·차세대 컴퓨팅 등 다양한 응용처에 공급할 계획이다.이주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RAM개발실장 부사장은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D램은 차별화된 공정 기술력을 기반으로 뛰어난 성능과 높은 전력 효율을 구현했

    2023.05.18 12:31:59

    "삼성전자 또 해냈다" 12나노 반도체 최초 양산
  • '삼성 반도체 감산'에 D램 현물가, 하락 멈췄다…상승 기대감 커져

    지난해부터 지속된 메모리 반도체 D램 현물가 하락이 일시적으로 멈다. 메모리 1위 기업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감산을 결정한 데 따른 영향이다. 17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는 더블데이터레이트(DDR4) 16기가비트(Gb) 2666 D램의 평균 가격이 3.235달러(14일 기준)라고 밝혔다. DDR4 16Gb 2666의 가격은 지난 11일에 전일 대비 0.78% 올랐고, 최근 가격 변화에서는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물 가격은 기업간 거래에 사용되는 '고정 가격'과 달리, 일반 고객들의 구매 등 실시간 수요 변화에 영향을 받는 가격이다. 현물가의 변화가 중요한 이유는 추후 기업 거래에 이용하는 '고정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D램 현물가격이 반등한 것은 7.873달러를 기록한 지난해 3월 7일 이후 1년 1개월 만이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 감산의 영향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45.1%다. 낸드 시장에서는 33.8%의 점유율을 확보한 메모리 반도체 1위 기업의 결정이 업황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선단 공정 및 DDR5·LPDDR5 전환 등에 따른 생산 BG(비트 단위로 환산한 반도체 생산량 증가율) 제약을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력을 확보하는데 주력했다"라며 "특정 메모리 제품은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했다. 이미 진행 중인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을 최적화하겠다"고 밝혔다.이어 "엔지니어링 런(시험 생산) 비율 확대 외 추가로 공급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의미 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 중"이라고 덧

    2023.04.17 12:59:00

    '삼성 반도체 감산'에 D램 현물가, 하락 멈췄다…상승 기대감 커져
  • 구리 가격 폭등, 경기 회복 시그널일까 투기 수요일까

    [돈이 되는 경제 지표] 국제 구리 가격이 치솟고 있다. 건설·전기전자 등 산업 전반에 쓰이는 구리는 글로벌 수요 동향에 민감해 가격이 오르면 시장은 경기 회복의 신호로 본다. 런던금속거래소(LME)가 2월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구리(현물) 가격은 톤당 9286달러로 연초(7918.50달러) 대비 17.04% 뛰었다. 2011년 9월 이후 최고가다. 최근 5년 사이 저점인 톤당 4504.0달러(2016년 6월 10일)와 ...

    2021.03.01 08:06:05

    구리 가격 폭등, 경기 회복 시그널일까 투기 수요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