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몸값이지만···전문가 찾기는 하늘의 별따기 [강홍민의 굿잡]
20세기 초반 군사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무인비행로봇 드론은 이제 군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쓰이고 있다.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드론 시장 규모는 2022년 134억 8000만 달러(약 17조 8000억 원)에서 연평균 42.78%씩 고속 성장해 2029년까지 2328억 달러(약 308조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배달부터 택배, F&B 더 나아가 드론택시 등 드론을 활용한 산업의 확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에서도 드론 전문 인력 양성은 꾸준히 운영하고 있는 반면 드론 전문가의 수는 현저히 적은 것이 현실이다. 현재 국내 교육용 드론을 개발·제작 중인 에이럭스의 지상기 CTO는 국내 손꼽히는 드론 전문가다. 10여 년 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재직 시절부터 드론을 연구해 온 그에게 ‘드론개발자’의 세계를 들어봤다. 요즘 드론을 모르는 분이 없을 정도지만 드론의 탄생배경에 대해 모르는 분들은 있을 것 같아요. “드론은 무인 비행체로, 조종자 없이 자동 또는 원격으로 조종되는 비행체를 말합니다. 20세기 초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된 이후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이 이뤄졌고, 특히 무선통신과 GPS, 카메라의 기술 발전으로 현재 다양한 산업 및 민간 분야에서도 사용 중에 있죠. 최근에는 드론 촬영 없인 프로그램을 만들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방송제작현장에서 보편화되기도 했고요.” 드론이 국내 도입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2000년도 중반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행로봇팀에서 산업용 드론을 개발했었는데, 아마 그때가 국내 들어온 시기로 알고 있어요. 당시에는 일반인들이 드론 자체를 잘 몰랐어요. 저희도 드론이라는
2023.08.31 15:29:19
-
[Inside ETF]하늘을 나는 드론 택시, ETF로 투자한다면
가끔 꽉 막힌 서울 시내를 차로 이동하다 보면 ‘순간 이동’이 간절할 때가 있다. 공항 가는 길에 비행기 시간을 놓칠까 봐 발을 동동 구르는 경험도 한번쯤 해봤을 법하다. 그럴 때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택시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상상을 하게 되는데 이제 현실에서 이러한 새로운 교통수단을 만나볼 날도 머지않은 듯하다.놀랍게도 이미 하늘을 나는 새로운 형태의 운송수단(mobility)은 실체가 있는 산업 체계를 갖춰 가고 있다. 우리말로 선진항공모빌리티로 불리는 AAM은 Advanced Air Mobility의 약자로 화물과 사람이 이용 가능한 발전된 형태(advanced)의 운송수단이다.AAM은 운송 대상과 이동 거리로 다시 세분화할 수 있는데, 여기서 UAM은 도심항공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로 도시 내 이동이 가능한 운송수단을 의미한다. AAM 산업이 아직까지 우리의 실생활에 깊숙이 들어오지 않아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이동 수단의 생태계를 고려하면 AAM의 시대는 반드시 도래할 것이다.모건스탠리는 UAM 시장 규모가 2020년 70억 달러에서 2040년 약 1조5000억 달러(약 200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00조 원이 전 세계 자동차 시장과 맞먹는 규모인 것을 생각하면 해당 산업은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고, 미래 가치를 선반영하는 주식 시장의 특성을 고려할 때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공항 셔틀 형태 상용화…이종 산업과 결합 시너지 ‘주목’AAM 산업의 핵심은 새로운 이동 수단이 되는 기체 즉, 수직이착륙비행체(electric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eVTOL)라고 할 수 있다. eVTOL은 헬리콥터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헬리콥터보
2023.08.28 15:00:01
-
에이럭스, 국제IoT가전로봇박람회서 유치원생도 배울 수 있는 ‘드론’ 공개
로봇 전문 에듀테크 기업 에이럭스가 29일부터 내달 1일까지 광주에서 열리는 ‘2023 국제IoT가전로봇박람회’에 참여한다. 이 박람회에서 에이럭스는 자체 기술력을 담아 쉽고 재미있게 항공과학을 배울 수 있는 제품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그 중 ‘모듈형 안전망 드론’은 2중 안전망에 나사가 필요 없는 완전 모듈형 구조로 안전하게 설계됐고, 엔트리 등 코딩프로그램을 연동해 유치원생도 쉽게 드론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유소년용 드론 축구볼 ‘스카이킥2’은 드론과 사용자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된 펜타가드로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고 손쉬운 드론 경기를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로 15회차를 맞는 국제IoT가전로봇박람회는 인공지능(AI)이 접목된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 세계의 로봇, 드론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다인 에이럭스 대표는 “코딩 교육뿐만 아니라 드론 교육사업까지 강화해 더욱 공고한 미래교육 생태계를 선보이고자 박람회에 참가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미래인재를 육성하고 관련 산업을 리드하는 에듀테크 기업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연구 개발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300여 개의 기업이 참석하며,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3일간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06.28 18:09:23
-
동국대, 중장년 이직·전직·창업 위한 무료 강좌 개설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동국대 미래융합교육원(원장 유한림)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중장년집중지원프로젝트 ‘서울런4050’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원장 직무대행 이회승)과 함께 중장년 서울시민의 이직·전직·창업을 지원하는 ‘중장년 re-start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동국대의 이번 프로그램은 △드론조종자 자격취득/항공촬영 과정 △뉴미디어 실무 교육과정 △중장년 생애진로설계 교육과정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드론조종자 자격취득 과정은 드론의 기본 원리, 조종법, 촬영법 등을 배우고, 3종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한다. 뉴미디어 실무 교육은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뉴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을 학습하게 되며, 중장년 생애진로설계 프로그램은 중장년의 강점과 적성을 파악하고 새로운 진로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는 과정이다. 프로그램은 오는 7월 8일부터 9월 23일까지 진행되며, 수강료는 무료다. 수강생 모집은 6월 12일(월)부터 6월 26일(월)까지 진행되며, 참여자격은 만 40세부터 60세까지의 서울시 거주자 또는 생활권자이다. 자세한 사항은 동국대 미래융합교육원 및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 신청을 위해서는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를 작성하여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유한림 동국대 미래융합교육원장은 “최근 ‘평생 직업’이라는 단어가 사라지고 있고, 4차산업 혁명으로 인해 사회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시점에 중장년에 대한 re-skilling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며 “이번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드론조종
2023.06.19 17:54:23
-
알파벳 ‘윙’ 미국 대도시 최초 상업용 드론 배송 개시
그야말로 배송 전쟁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환경이 일상화되면서 우리 주변에는 택배나 배달 서비스가 넘쳐나고 있다. 고객에게 주문 받은 후 물류 창고나 매장에서 고객의 집 앞까지 배송하는 소위 ‘라스트마일(last mile)’을 선점하기 위한 업체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배송 전쟁은 주로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 지상 운송 수단을 통해 이뤄져 왔지만 앞으로는 지상보다 하늘에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지상 넘어 하늘까지 가속화되는 배송 전쟁 최근 외신 보도에 따르면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운영하는 드론 배송 업체 ‘윙(Wing)’이 4월 7일 미국 대도시에서 첫 상업용 무인 항공기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배송은 윙의 미국 내 최대 고객인 월그린(Walgreens)의 텍사스 주 2개 타운 매장에서 진행됐는데 일반 의약품과 가정 필수품을 포함해 100개 품목이 서비스 대상이다. 배송 방식은 월그린 직원이 드론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 받은 후 공중 드론에서 내려온 줄에 배달 물품을 부착한 다음 윙 운영팀 조종사가 원격으로 드론을 조종해 주문 물품을 고객의 목적지 23피트(7m) 상공에서 윈치케이블(winch cable) 시스템을 이용해 줄을 내려 전달하는 방식이다.이 드론은 시속 65마일(105km)로 최대 3.3파운드(1.5kg)의 물품을 실어 나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항 시간은 10분 미만이고 왕복 거리는 12마일(19km) 정도다. 드론의 길이는 약 4피트(1.2m), 날개 폭은 3피트(1m), 무게는 약 10파운드(4.5kg)로 알려져 있다. 윙은 현재 핀란드·호주·미국에서 운항하고 있고 하루 1000건 이상, 누적 배송 실적 20만 건(2022년 3월 현재)을 기록하고 있다.아마
2022.05.11 17:31:03
-
드론 잡는 기술, 안티 드론
[테크 트렌드] 방송 촬영에서 건설 현장 점검, 재난 현장의 수색 작업 등 드론의 활동 무대가 넓어지고 있다. 드론은 유용한 수단이지만 사고를 일으키거나 각종 범죄와 테러 등에 악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드론의 확산과 함께 드론의 위협에 대처하는 기술 개발도 빨라지고 있다.편리함의 이면에 숨겨진 위험성드론은 원격 또는 자율 조종되는 무인 항공체이므로 조종자의 인적 피해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드론은 이제 취미 수단을 넘어 촬영·측량·탐색·재난 구조 등 사람이 하기에 어렵거나 힘든 작업 분야에서 유용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 결과 공식 기록상으로도 민간에서 사용되는 드론의 수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2020년 현재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등록된 드론은 약 170만 대에 이른다.한국 국토교통부에 신고된 드론도 2014년 359대에서 2020년 약 1만6000대로 40배 이상 폭증했다. 드론의 사용량은 앞으로 더욱 빠르게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드론 배송 서비스가 등장할 가능성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FAA가 2020년 아마존의 드론 배송 신청을 승인했고 2021년에는 드론의 야간 운항까지 허가하는 등 드론 배송의 제반 여건이 착실히 마련되고 있다.그런데 드론의 확산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쉽게 눈에 띄지 않는 소형 드론은 몰카 촬영 등 사생활 침해 수단으로 악용되는가 하면 드론으로 인한 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미국이 세계 최초로 무인 항공기 운항 규정(Part 107 of the Federal Aviation Regulations)을 2016년 8월 시행했던 이유도 드론이 여객기 추락과 같은 대형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너무 높아졌기 때문이었다. 드론은 상당한 파괴력을 가진다. 무게 400g의
2021.11.09 06:00:22
-
DDB코리아, PAV 라이드 셰어링 플랫폼 사업 선점 위해 MOU 체결
[한경잡앤조이=조수빈 기자] DDB코리아가 PAV 라이드 셰어링 플랫폼 시장(PAV Ridesharing Platform Service)을 선점하기 위해 ㈜스페이스티, ㈜젠스타메이트, 에비슨영코리아㈜와 함께 6일 MOU를 체결했다. 전세계 드론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예상한 4사가 협력해 글로벌 진출 지원에 나선다. PAV 라이드 셰어링 플랫폼 서비스란 유·무인드론, 화물용 드론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드론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으로 필요한 드론의 위치를 파악하고, 드론을 불러오는 것뿐만 아니라 드론을 공유하고, 드론을 타고 내릴 수 있는 이착륙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2023년 전세계 드론 시장의 규모가 100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페이스티는 2030년까지 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10만 대 이상의 유·무인드론 공유서비스를 활성화하고, 1만개 이상의 유·무인 드론 이착륙 인프라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에 PAV 라이드 셰어링 플랫폼 서비스의 시장 선점을 위해 스페이스티와 한국 최대의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젠스타메이트,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기업인 에비슨영코리아, 아시아시장의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DDB 코리아가 MOU를 통해 협력 강화에 나선 것이다. PAV 라이드 셰어링 플랫폼 서비스를 위해서는 스페이스티의 인공지능기반 오토파일럿 시스템이 사용될 예정이다. 스페이스티의 인공지능기반 오토파일럿 시스템은 드론 사용자의 얼굴을 모바일로 확인하고, 예약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하며, 드론 사용자를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안전하게 운행시켜주는 기술이다. DDB코리아는 "
2021.04.07 14: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