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페가 집? "누워서 자고 외부음식까지" 카페 사장 분노
카페에서 9시간 이상 머물고, 외부 음식까지 먹는 일부 손님들의 비매너 행동이 공개되면서 누리꾼들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사진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 캡처]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지난 15일 '와 너무하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자신을 대학가에서 24시간 카페를 운영자라고 소개한 작성자 A씨는 "코로나로 인해 야간 운영 못 하다가 몇 달 전부터 힘들게 직원 구해서 대학가에서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며 "학생들 대부분이 착하지만 너무 어이없는 학생이 있어 화가 나고 억울한 마음에 글을 올린다"고 글을 시작했다A씨는 이어 "어젯밤 11시에 여학생 2명이 왔다. 기말고사 기간이라 공부하는 학생이 많이 오는데 저희 매장은 8시간이 최대 이용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아침 8시30분이 넘어도 계속 자리에 있다"며 "심지어 누워서 잔다. 자지 말라고 얘기하고, 8시간 이용 시간도 넘었다고 하니 둘이서 '야 나가자' 이러더라. 자리에 보니 외부 음식도 먹었다"고 적었다.그는 그려면서 "폐쇄회로(CC)TV를 돌려보니 오후 11시에 들어와서 새벽에 40분간 나갔다 온다. 들어오면서 다른 카페 음료를 들고 와서 저희 매장 컵에 따르더라.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의자에 누워서 잠도 자고 외부에서 사 온 초코바도 먹었다. 치우지도 않고 갔다"며 “도대체 야간직원 인건비와 관리비, 월세 1100만원은 땅 파서 내야 하냐"며 "너무 답답하고 화가 난다"고 덧붙였다.이를 본 네티즌들은 "정말 너무한다. 영업 시간 제한을 둬야한다” “사장님 힘내시라” “남에게 피해주고 이기적이다"라
2023.06.16 13:01:53
-
'요즘 자영업' 온라인 쇼핑 날고, 호프집 지고
[최근 5년(’18년~’22년) 100대 생활업종 업종별 증가율 TOP5 현황 자료출처 국세청]최근 5년 간 100대 생활업종 가운데 간이주점과 호프전문점, 구내식당은 줄어든 반면 통신판매업과 펜션·게스트하우스 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9일 국세청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는 총 292만 3000명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했다. 100대 생활업종은 한중일식 전문점과 온라인쇼핑몰을 비롯해 모텔, 펜션, 스포츠시설, 학원, 병의원, 미용실 등 생활에 밀접한 물품과 서비스를 취급하는 업종들이다.그 중 온라인 쇼핑몰을 비롯한 통신판매업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무려 21만8천616개에서 54만3천88개로 148.4%나 증가했다. 반면, 오프라인 매장은 감소세를 보였다. 코로나 기간 국내 여행수요가 크게 증가한데다 합리적인 가격에 사생활이 보장되는 여행이 주목받으면서 펜션·게스트하우수(115.2%)도 늘어난 반면 여관·모텔(-11.8%)은 줄어 대조를 이뤘다.적은 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해 진입장벽이 낮은 커피음료점은 최근 가장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는 업종 중 하나다. 5년간 80% 늘었다. 5년전 5만 1696곳에서 지난해에는 9만 3069개로 급증했다. 반면 회식문화가 바뀌고 코로나로 장기간 영업시간 제한을 받으면서 간이주점(-33.8%), 호프전문점(-25.7%)은 크게 줄었다.이 밖에도 성별 사업자 비율의 차이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말 기준 남성 사업자 수는 138만2000명(47.3%), 여성 사업자 수는 154만명(52.7%)으로 여성 사업자 수가 15만8000명(5.4%p)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남성 사업자 비율이 높은 업종은 일반외과 의원(97.1%), 성형외과 의원(94%), 이비인후과 의원(94%), 법무사(93.2%), 변리사(93%) 순
2023.05.09 14:44:39
-
자영업 사장님들 “소주값‧가스비 인상, 월세보다 더 무섭다”[메가 인플레이션②]
[스페셜 리포트]위태로운 청년의 미래경기도 양주에서 5년째 철물점과 스크린골프장을 운영하던 강 모 씨 부자는 올해 초 스크린골프장 문을 닫았다. 스크린 1회 이용료 1만원으로는 전기료와 난방비 등 폭등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 동네 장사다 보니 이용료를 올릴 수도 없다. 아들 강 모(33) 씨는 “코로나19 사태 때도 버텼는데 올해 겨울은 도저히 못 견디겠더라. 그나마 철물점은 손님들이 물건을 사고 바로 나가 난방을 안 해도 된다. ‘춥지 않냐’며 걱정하는 손님도 더러 있었는데 추위가 문제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철물점 벌이도 쉽지는 않다. 그는 “5000원에 팔던 시멘트 1포대를 지금은 7500원에 팔고 있다”며 “1년 새 판매가가 1.5배 올랐고 매출은 반 토막이 났다”고 덧붙였다.자영업자들에게 한파보다 무서운 난방비 폭탄이 떨어졌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올해 1월 실시한 긴급 난방비 실태 조사 결과 난방비가 30% 이상 상승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51.6%에 달했다.유지 비용이 올라갔다고 판매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다. 동네 장사를 하거나 코인노래방·미용실 등 경쟁 업체가 많은 업종은 500원, 1000원만 올려도 손님이 뚝 끊기기 때문이다.전기료 인상도 부담이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PC방 같은 곳은 전기료가 400만원에서 700만원까지 뛰기도 했다”며 “임대료가 무서운 게 아니라 전기료·가스비가 더 무섭다”고 말했다.음식점 사장님들의 시름은 최근 더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일제히 올랐던 소주와 맥주 가격이 올해 또 꿈틀대고 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와 주류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맥주에
2023.02.25 06:00:13
-
‘위드 코로나’는 자영업자를 구할 수 있을까…영국 상황 살펴보니
[비즈니스 포커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우리 사회 곳곳에 상흔을 남기고 있다. 그중 가장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이들은 바로 ‘자영업자’들이다. 텅텅 빈 거리에 손님들의 발걸음이 뚝 끊겼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이어지며 소비 심리 또한 꽁꽁 얼어붙었다. 정부는 이르면 10월 말 혹은 11월부터 ‘위드 코로나’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여전히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일상으로의 회복’에 대한 우려 또한 높은 게 사실이다. 위드 코로나 논란의 핵심은 결국 자영업자들의 생존과 영업권 보장에 대한 문제다. 위드 코로나가 자영업자들의 고통을 줄여줄 수 있을까. 지난 9월 위드 코로나 두 달째를 맞고 있는 영국의 자영업자들을 만나 그 실마리를 찾아봤다.영국, 음식점·펍 등 서비스 산업이 성장세 주도영국 정부는 지난 7월 높은 백신 접종률을 토대로 ‘자유의 날’을 선언하고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한 방역 봉쇄를 풀었다. 지난 4월 미용실과 체육관 등의 문을 오픈하고 지난 5월 레스토랑·펍·카페 등의 실내 영업 제한을 풀었던 영국 정부는 지난 7월을 기점으로 모든 모임 제한과 영업 시설 운영 제한 또한 해제했다. 이와 함께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를 없앴다.영국 정부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데는 경제적인 이유가 컸다. 지난해 영국은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영국 통계청(ONS)의 발표에 따르면 첫째 락다운이 진행된 지난해 4월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5% 하락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가 이어지면서 가계 소비가 급감한 영향이었
2021.10.12 06: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