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대급 엔저, 역대급 민심…그림자 드리운 일본

    역대급 엔저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쇼핑을 위해 일본을 찾는 한국인들이 늘고 있다. 일부 명품 브랜드는 한국보다 30만~50만원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비행기 값이 들지 않는 쇼핑’이라는 셈법도 나오고 있다.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 수출에는 악영향을 미친다. 일본과 경쟁하는 산업군에서 엔저의 영향으로 일본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한국 제품의 입지는 줄어들기 때문이다. 의외인 것은 일본 현지 분위기다. 관광객이 늘고, 성장률도 높아지고,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향해 가고 있지만 민심은 좋지 않다. 내수 부진이 심화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일본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팍팍해지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지지율은 20%대까지 떨어졌다.일본 정부 구두 개입에도 ‘역대급 엔저’달러화에 대한 엔화 가치는 33년 만에 최저치 수준이다. 버블 경제 붕괴 직전인 1990년 엔화 가치가 급락해 달러당 150엔대까지 올랐다. 달러당 엔화 환율 상승은 엔화 가치가 하락한다는 의미다. 현재 엔화 가치는 1990년과 비슷하다. 미국 뉴욕 외환시장에서 1달러당 엔화 환율은 2021년 1월 1일 103.24엔에서 11월 20일 149.14엔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54.34원에서 866원으로 떨어졌다. 엔화가 870원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08년 1월 이후 15년 만이다. 당시 원·엔 환율은 100엔당 850원대까지 내려앉았다. ‘엔저’ 현상은 일본 정부의 정책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수십 년 진행된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 계속 0%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금리가 낮으면 돈이 풀리고, 이는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의도대

    2023.11.28 08:30:01

    역대급 엔저, 역대급 민심…그림자 드리운 일본
  • ‘역대급 엔저’에 투자는 활발, 수출엔 타격

    [스페셜 리포트]일본에서는 적혀 있는 가격표에 ‘0’ 하나를 더 붙이면 한국 돈으로 환산할 수 있었다. 100엔이 1000원의 가치를 갖던 시대에는 말이다. 하지만 올해 들어 엔화가 800원대까지 떨어지면서 이러한 공식은 옛말이 됐다.오랜만에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부터 항상 투자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개미족까지 모두 ‘엔화’에 주목하고 있다. 엔화 가치가 떨어졌을 때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혹은 일본에서의 쇼핑을 통해 보다 저렴하게 물건을 구매하기도 한다. 이처럼 엔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곳곳에서 기회를 포착하려는 움직임이 꿈틀거린다. 하지만 엔화의 하락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복합적이다. 엔화의 약세로 인해 당장 한국의 수출 경쟁력부터 흔들릴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상반기 투자 키워드는 ‘엔테크’ 상반기 투자 좀 하는 사람들이라면 단연 일본 자산을 눈여겨봤을 것이다. 엔화 예금부터 상장지수펀드(ETF), 일본 주식까지 일본과 관련한 투자 상품은 모두 성행했다. 일본 주식 매수 건수는 ‘역대 최다’였다. 7월 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6월 30일까지 한국 투자자의 일본 주식 매수 건수는 4만4752건으로 전년 동기 2만6272건 대비 70%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매수 건수는 2011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대치였다.특히 엔저 현상이 절정이었던 지난 6월 매수 건수는 1만4494건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5월에 기록한 직전 최대치인 7757건을 한 달 만에 경신했다.엔화에 투자할 수 있는 엔화 선물 ETF도 인기를 끌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타이거(TIGER) 일본엔선물 ETF’ 순자산이 600억원을 돌파했다고 6월 23일 밝혔다. 이 상품은 엔·원 환율을 기초로

    2023.07.10 06:00:01

    ‘역대급 엔저’에 투자는 활발, 수출엔 타격
  • 8년 만에 찾아온 ‘역대급 엔저’…일본 여행 수요 폭발 [Weekly Report]

    [WEEKLY REPORT]최근 일본 엔화 가치가 역대급으로 떨어지면서 일본 여행 수요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불과 두 달 전만 해도 100엔당 1000원 수준이던 원·엔 환율이 급격히 떨어지더니 6월 19일 한때 100엔당 800원대까지 떨어졌다. 일본 엔화가 800원대에 진입한 것은 2015년 6월 25일 이후 처음이다. 원·엔 환율은 이후 소폭 올라 6월 22일 기준으로 100엔당 900원대 초반 흐름을 보이고 있다.미국과 유럽의 통화 긴축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본만 완화 정책을 고수하면서 엔화 가치를 끌어내리며 8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내려온 것이다. 일본은행은 6월 16일 금융 정책 결정 회의를 열고 일본은행 단기 금리를 마이너스(-0.1%) 상태로 동결하고 장기 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를 0% 수준으로 유지했다.역대급 엔저 현상으로 일본 여행의 매력이 커지면서 최근 들어 일본을 찾는 여행객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엔데믹(주기적 유행) 이후 잠재됐던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엔저로 인해 여행 경비 부담이 적다 보니 일본을 찾는 관광객은 당분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실제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6월 22일 지난 5월 한달간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총 189만8900명 중 한국인이 51만5700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발표했다. 일본 여행 수요가 급증하면서 최근 한국 여행사들의 일본 여행 상품 예약도 늘고 있는 추세다. 하나투어는 6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일본 여행 예약이 전주보다 29.1% 늘었다. 홋카이도와 오사카를 중심으로 신규 예약이 증가했다. 모두투어는 6월 1일부터 16일 사이 일본 여행 예약률이 전월 동기보다 80% 정도 증가했다.이정흔 기자 vivajh@hanky

    2023.06.23 06:00:08

    8년 만에 찾아온 ‘역대급 엔저’…일본 여행 수요 폭발 [Weekly Report]
  • 엔저는 일본에 축복인가 저주인가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도쿄에 있는 제약 회사 사쿠마제과는 1월 20일 문을 닫았다. 일본인들이 아쉬움의 눈물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는 114년의 역사가 끊기게 됐다는 사실뿐만이 아니다. ‘사쿠마식 드롭스’라는 이 회사의 대표 상품 때문이다.지브리스튜디오가 1988년 발표한 애니메이션 ‘반딧불이의 묘’에 등장한 바로 그 상품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군의 공습으로 엄마를 잃고 배고픔에 허덕이던 열네 살 오빠 세이타와 네 살 여동생 세츠코가 차례로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다는 내용의 작품이다.‘반딧불이의 묘’에서 사쿠마식 드롭스는 중요한 소품으로 사용된다. ‘1945년 9월 21일 나는 죽었다’로 시작되는 첫 장면에서는 숨이 끊어진 세이타가 먼저 죽은 여동생의 화장한 뼈를 간직한 도구였다. 부스러기만 남은 사탕 통에 물을 섞어 마시고 “정말 맛있다”며 기뻐하는 장면은 세계인을 울렸다.사쿠마제과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엔저로 인한 경영 악화’를 폐업의 이유로 들었다. 원자재 값 상승의 부담을 엔저가 증폭시키면서 지난 2월까지 일본의 무역 적자는 19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 갔다. 지난 1월 무역 적자는 3조4996억 엔으로 사상 최대였다. 엔저로 문 닫은 114년 역사의 사쿠마제과 일본의 서민들도 고통스럽다. 지난해 실질 임금 상승률은 마이너스 0.9%였다. 월급이 찔끔 올랐어도 물가가 더 뛰어 실제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는 뜻이다. 일본의 실질 임금은 작년 12월까지 7개월 연속 마이너스였다.그런데도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엔저는 일본 경제 전체로 봐서는 플러스”라고 주장하고 있다. ‘엔저는 일본에 축복인가, 저주인가&

    2023.04.14 06:00:03

    엔저는 일본에 축복인가 저주인가 [글로벌 현장]
  • 일본의 ‘나 홀로 금융 완화’…‘나쁜 엔저’ 현실로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달러당 엔화 가치가 연내 130엔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는 가운데 엔화 약세가 일본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나쁜 엔저(低)’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나 홀로 금융 완화’가 엔화 추락의 근본 원인으로 꼽힌다.하지만 일본은행이 금융 정책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월 18일 시장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긴급 설문 조사에서 5명이 올해 엔화가 달러당 130엔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본 경제가 미국 9·11 테러의 여파로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은 2002년 1월 환율이 달러당 135엔을 기록한 이후 20년 만의 최저 수준이다. 사이토 다로 닛세이기초연구소 경제조사부장은 “원자재 가격 급등과 일본의 경상수지 악화의 여파로 올해 엔화 환율이 달러당 122~130엔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원자재 값 급등 체감하는 일본 국민들 엔화 가치가 급락하자 스즈키 준이치 일본 재무상은 4월 15일 기자 회견에서 “기업이 원재료 값 상승분을 판매 가격에 전가하지 못하고 임금 인상이 불충분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엔화 약세는 ‘나쁜 엔저’”라고 말했다.통화 당국 최고 책임자가 환율 수준을 이처럼 직설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환율은 상대국이 걸려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통화 당국자들은 환율의 수준이 아니라 속도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일본 내부에서는 스즈키 재무상이 ‘현 상황을 제대로 짚었다’는 공감대를 얻고 있다. 하시모토 에이지 일본철강연맹 회장(일본제철 사장)은 3월 말 기

    2022.04.28 17:30:12

    일본의 ‘나 홀로 금융 완화’…‘나쁜 엔저’ 현실로 [글로벌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