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의 미래 상권 성수, 모든 것이 모이는 곳[상권 리포트⑥]

    [편집자주]오래되다 못해 낡았다는 느낌이 드는 회색빛 동네, 젊은 창업가들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저렴한 임차료, 서울 중심부라는 편리한 교통, 신도시에 질린 젊은이들이 구도심으로 눈을 돌리는 트렌드까지…. 네 가지 요소가 모이면 뜨는 동네의 성공 방정식이 된다. 사람이 몰린 곳에는 곧 자본도 몰린다. 자본이 덮친 거리는 임대료가 오르고 이를 버티지 못한 1세대 예술가들이 떠나며 곧 도시의 특색도 사라진다. 서울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예술과 자본의 함수 관계가 나타난다. 이런 과정을 목격한 뉴욕의 유명한 미술가인 알렉산드라 에스포지토는 뉴욕 예술가들을 ‘미생물’에 빗대 표현하기도 했다. 가장 지저분한 지역에 들어가 더러운 것들을 다 먹어 치우고 깨끗하게 해 놓으면 땅값이 올라 또다시 더러운 곳을 찾아 떠난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의 골목들도 뜨고 지기를 반복했다. 또 다른 이야기를 발굴할 서울의 다음 거리는 어디일까.서울 성수동 거리는 매달 새 옷을 갈아입는다. 다양한 업종, 각양각색의 브랜드 팝업스토어(임시 매장)가 일정한 간격으로 문을 열면서 성수동의 변화를 이끈다. 성수동에서 만난 30대 직장인 홍서연 씨는 “성수동은 매주 와도 늘 다른 팝업스토어가 열려 구경하는 맛이 있다”며 “인스타그램에서 힙한 브랜드는 모두 성수에 한 번쯤 팝업스토어를 연다”고 말했다.모든 ‘길’에는 역사와 시간이 녹아 있다. 세월의 풍파를 거쳐 자기 색깔이 분명해진 ‘길’에는 사람이 몰린다. 사람이 가는 곳엔 자본이 따라간다. 자본의 파고는 길을 번영하게 하기도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임대료 인상 등으로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이라는 아픔을 낳기도 한다.

    2023.05.16 06:00:02

    한국의 미래 상권 성수, 모든 것이 모이는 곳[상권 리포트⑥]
  • “벚꽃 즐기러 서울대공원 간다고요? 30대시군요”

    서울과 수도권 거주자들이 벚꽃 나들이로 선호하는 곳이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가 나왔다.20대는 서울숲과 뚝섬한강공원, 30대는 도산공원과 서울대공원, 40대는 동탄여울공원과 한국민속촌, 50대는 행주산성과 화산체육공원, 60대는 대명포구와 남한산성, 70대는 소요산과 보라매 공원 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SK텔레콤이 인공지능(AI)이 전처리한 모바일 데이터를 학습해 통계화한 유동인구를 측정·분석한 결과다.이번 조사는 SK텔레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지오비전퍼즐’을 기반으로, 2022년 벚꽃 만개 시기(2022년 4월 9~17일) 서울과 수도권내 관광명소 방문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지오비전퍼즐은 SK텔레콤의 위치데이터를 분석해 사람들의 거주와 이동·체류에 대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다.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20~30대(1985~2004년생)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벚꽃 시즌 기간 중 서울·경기 전체 봄 나들이객 대비 20~30대의 방문선호도(lift)와 방문자수 두가지를 지표로 했다. 특정 연령대의 방문 비중을 보여주는 방문선호도를 기준으로, 20~30대 서울숲과 도산공원·뚝섬한강공원을 가장 선호했다.서울숲에는 20~30대 방문자가 2만6000명이었으며 방문선호도는 전체 봄 나들이객 대비 1.85배 수준이었다. 도산공원에는 총 11만 명이 몰렸으며, 이는 1.78배 수준이었다. 뚝섬한강공원은 8만 1000명으로 1.72배, 낙산공원은 1만 9000명으로 1.53배 수준이었다.20~30대가 선호하는 서울숲과 도산공원과 낙산공원 등은 주변에 카페가 많은 장소로 나타났다. 방문자수 기준으로는 △석촌호수(59만8000명) △여의도윤중로(23만8000명) △도산공원(11만명)

    2023.03.31 09:10:54

    “벚꽃 즐기러 서울대공원 간다고요? 30대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