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합법적 개구멍 만들 생각이냐” 의사단체, 이주호 장관 직권남용죄로 고발

    현직 의사들의 단체인 ‘미래를 생각하는 의사모임(미생모)’이 이주호 교육부장관을 직권남용죄로 검찰에 고발했다. 20일 미생모는 의대 입학을 자율전공으로 확대하자는 취지의 이주호 장관 인터뷰 내용이 공무원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라며 고발했다. 이 장관은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의대 쏠림' 문제는 '광풍'이라는 평가가 나올 만큼 과도하다”며, “대학 학과 선택 없이 자율전공학부(무전공)로 입학한 학생들이 3학년이 되면 의과대학으로의 진학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미생모는 “현행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르면 의과대학의 경우 아래와 같이 수업연한을 법으로 정하고 있어, 의과대학 입학생이 아닌 경우 최초 입학 이후 의과대학으로의 학과 변경 자체가 불가능하도록 규정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에서 자율전공학부 또는 자유전공학부 등 '광역단위 모집'(무전공 선발)이 운영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학부 소속 학생들은 3학년이 되어서 전공을 선택할 때 의과대학은 갈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이주호 부총리의 행위는 의과대학 입학생이 아닌 학생이 최초 입학 이후 의과대학으로의 학과를 변경하는 것은 현행 고등교육법 및 동법 시행령에 위반되어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임현택 미래를 생각하는 의사모임 대표는 “이주호 장관이 하겠다는 제도는 놀랍게도 아예 합법적인 개구멍을 만들어 귀족들은 자식이 수준이 안 되도 개구멍으로 의사 만들고, 가붕게(가재,붕어,게)는 아무리 똑똑해도 의사 못되게 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이 장관의 발언에 대통령실은 “전혀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혼

    2023.10.20 12:37:49

    “합법적 개구멍 만들 생각이냐” 의사단체, 이주호 장관 직권남용죄로 고발
  • 대통령실-부처 간 또 혼선···대통령실 “자율 전공 입학 후 의대 진학, 검토한 바 없다”

    대통령실은 19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자율 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한 후 일부가 의대로 진학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의 인터뷰를 한 것과 관련해 “전혀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에서 “윤석열 정부에서 대학입시는 학생과 학부모가 수긍할 수 있는 가장 공정한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교육부 장관이 언급한 자율 전공 입학 후 일부 의대 진학 허용은 우리 정부에서 전혀 검토되지 않았고, 그럴 계획조차 없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불필요한 언급으로 혼란을 야기한 교육부를 질책했다”고도 했다. 한편, 이주호 부총리는 17일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적어도 대학 신입생 30%는 최대한 전공 선택의 자유를 주고 의대 정원이 생기면 그것도 여기(자율전공)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10.19 21:15:25

    대통령실-부처 간 또 혼선···대통령실 “자율 전공 입학 후 의대 진학, 검토한 바 없다”
  • 내 자녀만이라도···젊은층일수록 '내 자녀가 의대·로스쿨 가면 좋겠다' 인식 높아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직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6명이 향후 자녀를 의대·로스쿨로 진학시키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진학을 희망(63.5%)하는 이들은 주로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 수 있고(70.4%, 중복응답), 돈을 많이 벌 수 있으며(52.0%),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직업(46.9%)이라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자녀를 로스쿨에 보내고 싶다는 응답 역시 54.0%로, 앞서 의대 진학 희망 이유와 마찬가지로 직업 안정성(60.9%, 중복응답), 사회적 명예(52.8%) 등을 가치 있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모 입장에선 의사와 변호사란 직업이 안정적이면서도 고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직업 중 하나이다 보니 해당 전문직을 내 자녀의 미래로 권유하고 싶어하는 마음이 크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만 19세에서 59세 급여 소득자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의사와 변호사의 경우 꾸준한 노력과 공부가 필요한 직종이지만 그에 상응하는 높은 수준의 연봉과 사회적 존경을 받는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인식은 향후 자녀의 진로를 계획하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의사·변호사 타인의 존경과 인정 받는 직업우선, 전체 응답자 10명 중 7명(70.4%)은 ‘의사’를 한국사회에서 존경받는 직업으로 여기고 있었고, ‘변호사’ 역시 타인의 존경과 인정을 받는 직업으로 바라보는 경향(53.6%, 동의율)이 강했다. 이 결과는 의사와 변호사의 사회적 지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그만큼 이들 직종을 선망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물론, 이 같은 직업은 끊임

    2023.05.11 12:24:22

    내 자녀만이라도···젊은층일수록 '내 자녀가 의대·로스쿨 가면 좋겠다' 인식 높아
  • 미국에서 뜨는 직업 'AI 조련사' 연봉이 4억?[2023 달라진 직업 판도③]

    “기술 분야의 가장 인기 있는 새 직업 : AI 위스퍼러(whisperer)”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가 지난 2월 25일 작성한 기사 제목이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인공지능(AI) 조련사’다.미국에서 요즘 유행하는 직업 중 하나인 ‘프롬프트(명령어) 엔지니어’를 소개하는 기사였다. 챗GPT의 열풍이 불자 미국에서는 AI에 어떤 명령어를 넣어야 하는지 고민하고 최적의 결과를 뽑아내는 직업이 생겨났다.챗GPT처럼 문장 검색을 통해 정보를 찾아내거나 명령어를 통해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생성 AI 플랫폼은 입력하는 단어를 분석해 콘텐츠를 만들어 낸다.‘호랑이가 들어간 화려한 그림 그려 줘’라고 명령하면 그림을 그려 주고 ‘한국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한 기사를 써 줘’라고 입력하면 기사를 써 준다.챗GPT가 기반하고 있는 언어 모델은 ‘GPT-3.5’다. GPT-3는 명령어, 즉 프롬프트에 기초해 사람과 유사한 응답을 생성하는 자동 회귀 언어 모델이다. 쉽게 말하면 다양한 단어가 주어지면 이를 연결해 어떤 문장을 만들어야 하는지 데이터에 기반해 ‘확률적으로’ 가장 적합한 문장을 내놓는다. AI 플랫폼에 어떤 명령어를 넣고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값과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천차만별이라는 말이다. 이를 두고 테슬라의 전 AI 책임자인 안드레이 카파시는 지난 2월 트위터에 ‘가장 인기 있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는 영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코드를 짜고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와 다르다. 이들의 역할은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람들이 AI에 입력하는 명령어를 만들고 개선하는 것이

    2023.03.04 07:00:05

    미국에서 뜨는 직업 'AI 조련사' 연봉이 4억?[2023 달라진 직업 판도③]
  • ‘메디컬 고시’ 된 수능…초등학생부터 ‘의대반’ 생겼다[2023 달라진 직업 판도②]

    “대치동에서 수능은 ‘메디컬(medical) 고시’가 된 지 꽤 됐어요. 성적 최상위권 학생들에게 대학은 ‘의치한약수(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와 서울대 나머지 학과로 나뉘죠.”서울 강남구에서 10년째 영어를 가르치는 학원 강사 주 모 씨가 말했다. 의대가 성공으로 가는 최고의 보증수표로 인식되면서 성적 최상위권 수험생뿐만 아니라 이미 대학에 합격하거나 졸업한 인재들까지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입시 학원 관계자들은 성적이 높은 수험생의 80%가 의약학 계열 진학을 꿈꾸고 있다고 말한다. 대치동과 목동 등 학원가에서는 초등생부터 의대 진학반이 개설된다. 실제 한 학원의 ‘초등 5학년 의대반 간담회’ 내용을 살펴보면 간담회 대상 자체가 ‘중등과정을 모두 마무리한 학생의 학부모’다. 중등 수학을 이미 모두 뗀 초등 5학년을 대상으로 고등 수학 마스터반을 운영한다는 내용이다. 강남구의 한 입시 컨설팅 강사 김 모 씨 역시 “예전에는 교과 사교육 시장에서 엄마들의 요구 조건이 ‘우리 아이 수열의 극한을 어려워하니 그 단원을 특별히 더 챙겨 주세요’라거나 ‘SKY 가게 해주세요’였다면 지금은 ‘우리 아이 의대 보내 주세요’가 계약 조건의 모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변화는 드라마에서도 읽을 수 있다. 2018년 한국 대학 입시의 불편한 현실을 그린 드라마 ‘스카이 캐슬’ 속 목표가 ‘SKY 대학 진학’이었다면 2023년 사교육 시장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 ‘일타 스캔들’에서 상위권 학생들만 수강할 수 있는 ‘올케어반’의 목표는 의대 진학이 됐다

    2023.03.04 06:30:01

    ‘메디컬 고시’ 된 수능…초등학생부터 ‘의대반’ 생겼다[2023 달라진 직업 판도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