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경련·대한상의, 집중호우 수해복구 성금 기탁
재계를 대표하는 경제 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집중호우 피해 지역 이재민 지원과 피해 복구를 위해 성금을 기탁한다.전경련은 이재민 지원과 전국 수해 지역 복구를 위해 7월 18일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성금 1억원을 기탁했다고 밝혔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은 “우리 경제계는 폭우로 안타까운 피해를 입으신 분들이 하루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번 성금이 피해 지역의 빠른 복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이날 대한상의도 전국 73개 지역상공회의소가 이재민 지원과 수해 지역 복구를 위해 대한적십자사 등에 3억원 이상을 기탁 중이라고 밝혔다.전국상의의 성금 액수는 3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서울상공회의소가 1억 5000만원, 나머지 상공회의소가 1억 5000만원을 기탁하기로 했다. 온정의 손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전국상의 전체 성금 규모는 3억원을 넘을 전망이다.대한‧서울상의는 대한적십자사에 기탁하고, 각 지역상의는 해당 지역별 대한적십자사, 재해구호협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에 자율적으로 기탁한다.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안타까운 피해가 다시 되풀이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라며 “전국 각지의 나눔이 피해를 입으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힘이 됐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7.19 10:23:58
-
전경련·대한상의, 7월 제주포럼 개최
[비즈니스 플라자]재계를 대표하는 경제 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7월 제주도에서 포럼을 나란히 연다. 두 경제 단체는 매년 제주도에서 하계 포럼을 열고 있다.대한상의는 7월 12~15일 제주 해비치 호텔&리조트에서 ‘제46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을 연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글로벌 경제 현안 관련 강연을 펼친다.전경련은 7월 19~22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2023 전경련 최고경영자(CEO) 제주 하계포럼’을 개최한다. ‘자유·공존·미래'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에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축사를 통해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이 기조 강연한다.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 원성식 한국IBM 사장 등이 연사로 나선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7.02 07:00:05
-
최태원 SK 회장 테니스 치다 부상... 깁스하고 한일 상의 회의 참석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최근 테니스를 치다가 아킬레스건이 파열돼 부상을 입었다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밝혔다.최 회장은 9일 SNS에 “발목 좀 다쳤는데 기사가 많이 나와서 부끄럽네요. 집안에서 일상 생활 도중 부상을 당했다고 나오던데 그건 아니고 사흘 전 테니스를 치다가 아킬레스건이 파열되었습니다”라고 적었다.최 회장은 이어 “최근 들어 주말도 없고 시차 적응도 못하고 돌아다니느라 체력 관리를 너무 못한것 같아서 모처럼 쉬는 날 테니스를 하겠다고 생각한 것인데, 몸이 너무 굳어있었던 것 같다. 감사하게도 수술은 안해도 되는 부위라고 해서 응급실에서 깁스만 감고 다섯시간만에 퇴원했다”고 말했다.대한상의 회장이기도 한 최 회장은 이날 오전 5시15분 부산행 KTX를 타고 이동중에 글을 쓰고 있다고 언급했다.그는 “오늘은 6년만에 처음으로 대한상의와 일본상의 회장단 회의가 부산에서 열리는 뜻깊은 행사”라며 “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도 중요한 행사이니 제 모습이 너무 볼썽사납더라도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게 기원해달라”고 맺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6.09 09:08:48
-
대기업 81.6%, “최근 5년간 기업 공시 부담 커졌다”
최근 5년 동안 각종 기업 공시의무가 늘어나면서 기업 현장에서 체감하는 업무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5년부터 예고된 자산 2조원 이상 상장법인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의무도 또다른 부담으로 작용했다. 기업들이 가장 어렵게 느낀 공시는 대규모 내부거래 공시였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76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을 대상으로 ‘기업 공시의무 부담실태 및 개선과제’를 전수 조사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기업 공시의무는 기업집단 현황 등 공정거래법상 공시의무와 사업보고서 등 자본시장법상 공시의무, 그리고 ESG 관련 공시의무 등을 의미한다. 그 결과 81.6%의 기업들은 지난 5년간 공시부담이 ‘매우 증가(29.0%)’ 또는 ‘다소 증가(52.6%)’했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2020년 공정거래법에 국외계열사 공시의무, 공익법인 공시의무가 각각 도입됐고, 2022년 하도급법에 하도급대금 공시의무가 신설되며 3개 공시가 작년부터 새로 시행됐다. 이에 기업들이 느끼는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공시부담 동향에 대해서는 앞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기업이 많았다. 73.7%의 기업들이 증가할 것으로 응답했고,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11.8%에 그쳤다. 올해 초 공정위가 8개 분기공시 항목을 연(年)공시로 전환하는 등의 공시부담 개선방안을 발표했지만 작년부터 시행되는 3개 신규 공시제도와 조만간 도입이 예상되는 ESG 공시의무 등의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ESG 공시의무의 경우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법인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의무를 부과한 것을 의미한다. 기업들은 가장 부담되는 공시의무로
2023.04.05 14:18:24
-
제주도에서 나란히 포럼 개최…대한상의와 전경련의 속내는?
[비즈니스 포커스] 여름휴가철을 맞아 재계의 양대 산맥인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제주도에서 포럼을 나란히 연다.대한상의가 7월 13~15일간 제주 해비치 호텔 앤드 리조트에서 ‘제45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을 먼저 열고 전경련이 뒤이어 7월 20~23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전경련 CEO 제주하계포럼’을 개최한다.대한상의와 전경련은 재계에서 오랜 라이벌로 통하는 만큼 해마다 제주도에서 개최하는 포럼에서도 저명한 연사 초청과 참석자 규모를 놓고 미묘한 물밑 경쟁을 벌여 왔다.대한상의와 전경련의 포럼에 정·재계 인사의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한상의는 코로나19 사태로 중단됐던 포럼을 3년 만에 열면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 회장)을 비롯해 새 정부의 경제·산업 정책의 방향타를 쥐고 있는 추경호 부총리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연사로 섭외했다.2019년에는 홍남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전 산업통상부 장관,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대한상의 포럼의 연사로 나선 바 있다.전경련의 포럼에는 권오현 삼성전자 전 회장을 비롯해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이석우 두나무 대표,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 등이 연사로 총출동한다. 재계 인사 중심으로 연사를 꾸렸던 전경련은 한덕수 국무총리 초청으로 대한상의에 맞불을 놓는 모습이다. 한 총리의 참석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한 총리가 1998년 김대중 정부의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본부장을 역임하고 2007년 노무현 정부의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경련과 주요 경제 현안을 논의하며 인연을 이어 온 만큼 포럼 참석을 긍정적으로
2022.07.05 06: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