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차, 인천공항에 미래형 물류 인프라 구축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물류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조기 달성을 위해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 내 미래형 모빌리티 물류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현대차그룹은 6일 인천국제공항공사, 한진그룹과 ‘인천공항 미래형 물류 플랫폼 구축을 위한 자동화기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인천국제공항공사 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김걸 현대차그룹 기획조정실장 사장, 김경욱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가 참석했다.이번 업무 협약은 지난해 4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수립한 ‘미래형 스마트 화물 터미널 인프라 개발을 위한 단계별 추진 계획’의 일환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해당 추진 계획에 따라 현재 인력 중심의 고비용 물류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첨단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디지털 전환에 나서고 있다.업무 협약을 바탕으로 현대차그룹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진그룹과 공동으로 인천공항의 활주로 등 항공기 이착륙 지역인 에어사이드에 물류 산업에 최적화된 자동화 기술 개발을 위해 협업한다.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을 비롯한 3개사는 2025년경 인천공항에 4차 산업 신기술을 적용한 세계 최초의 스마트 화물터미널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구체적으로 현대차그룹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축적한 △자동화 기술 △무인 자율주행 △웨어러블 로봇 등 모빌리티 기술의 인천공항 내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항공과 화물 영역 전반에서 해당 기술의 적용 가능 여부를 시험하는 무대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2.09.07 06:00:04

    현대차, 인천공항에 미래형 물류 인프라 구축
  • 조현민, ‘물컵 갑질’ 꼬리표 떼고 경영 보폭 넓히나

    편집자 주 최근 화제가 된 기업인의 뉴스 데이터를 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를 활용해 분석한 뒤, 해당 기업가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짚어본다.지난 2018년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사건이 있다. 이른바 ‘물컵 갑질’이라는 키워드로 대표되는 한진 오너가 차녀의 기행이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던 조현민 당시 대한한공 전무는 직책에서 내려온 지 불과 14개월 만인 2019년 6월 한진칼 전무 겸 정석기업 부사장으로 발령받았다. 재벌가의 일상적인 갑질 행위에 대한 사회적 공분이 미처 가시기도 전에 경영 현장에 복귀했다. 올해 초에는 초고속 승진으로 ‘한진 미래성장전략 및 마케팅 총괄 사장’이라는 타이틀을 달았다. 그리고 올 6월, 그간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감췄던 조 사장이 4년여의 침묵을 깨고 미디어 앞에서 마이크를 잡았다. 하지만 과거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오너가 일원이 사내 영향력을 확장하는 것과 관련해 의문 어린 시선도 적지 않다. 과거 한진그룹 총수 일가에서 벌어졌던 갑질 사례가 여전히 기억되고 있는 만큼, 책임경영과 윤리경영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다. 최근 3개월간 조 사장이 언급된 뉴스 데이터 500건에서 추출한 주요 키워드를 짚어본다.                                                                                                   #공식 석상 #마케팅 총괄 사장 #로지테인먼트  #한진 로지버스 아일랜드조현민 한진 미래성장전략 및

    2022.07.26 10:14:15

    조현민, ‘물컵 갑질’ 꼬리표 떼고 경영 보폭 넓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