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로에 선 콘크리트 유토피아 [EDITOR's LETTER]

    서울대역점·서울대입구역점·관악서울대입구R점·서울대입구역8번출구점. 서울대입구역 인근에 있는 4개 스타벅스 매장의 명칭입니다. 생기고 또 생겨도 가 보면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처음엔 한국인들의 커피 사랑과 문화를 판다는 스타벅스의 마케팅이 결합된 결과라고 해석했지요. 하지만 이내 공간에 대한 욕구와 관련 있다는 데 생각이 이르렀습니다. 비좁고 침침한 원룸, 꽉 막혀 있는 사무실, 온갖 가구들로 차 있고 식구들이 오가는 집구석에서 탈출해 자신만의 공간을 찾아 나선 이들이 자리 잡은 공간이 스타벅스란 얘기입니다. 물론 한국인들의 공간에 대한 욕구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아파트입니다. 아파트에 대한 욕망, 그 시작은 동부이촌동이었습니다. 1970년대 초 정부는 중산층을 위한 아파트 단지를 이곳에 짓습니다. 선분양, 모델하우스도 여기에서 시작됐습니다. 한강맨션을 시작으로 아파트가 급속히 확산됩니다. 동부이촌동이 ‘주택 건설 사업의 경부고속도로’란 평가를 받는 배경이지요. 1970년대 말, 어릴 적 살던 동네에는 아파트가 딱 한군데 있었습니다. 친구를 따라 가본 아파트는 충격이었습니다. 온수가 나오고 연탄을 갈지 않아도 따뜻했습니다. 단지 내에 가게도 있고 놀이터도 있었습니다. 부러웠습니다. 1970년대 한국 사회에는 아파트에 대한 욕망이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아파트는 한국의 경제 개발 모델에 따라 지어졌습니다. ‘싸고 많이 그리고 빨리 똑같이.’ 빠르게 확산된 아파트는 한국의 주거 모델이 됐습니다. 이런 사례는 세계적으로 찾기 힘듭니다. 유럽인들은 한국의 아파트단지를 보고 군사 기지나 사회주의 국가의 집단 주거 시설인 줄 알았다고

    2023.09.05 12:24:35

    기로에 선 콘크리트 유토피아 [EDITOR's LETTER]
  • 젊은 세대일수록 한국 사회 어둡게 전망···10명 중 3명만이 ‘다시 태어나면 한국 선택’

    국내 성인남녀 10명 3명이 스스로 중산층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이는 스스로가 하류층에 해당된다(41.7%)고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의 기준은 무엇으로 구분될까. 중산층을 정하는 기준으로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 규모에 따라 정해진다(84.5%/중복응답)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현금보유량(59.3%), 직업(50.5%)이 뒤를 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전 조사 대비 현금 보유량(45.1%(2017) → 53.6%(2021) → 59.3%(2023))과 직업(29.3%(2017) → 48.6%(2021) → 50.5%(2023)) 등 실물 자산과 수입을 응답한 비율이 소폭 증가한 점이다. 반면 타인에 대한 태도(11.7%, 중복응답), 도덕·사회 규범에 대한 태도(11.5%)에 의해 중산층의 여부가 결정된다는 인식은 낮은 수준으로 계층을 결정하는 데 사회적 규범보다 경제적 능력이 더욱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졌다.응답자 대부분, ‘한국, 돈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로 인식’ 응답자 10명 중 8명은 ‘한국 사회는 돈이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산층의 삶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었지만(55.2%) 불안정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해당 계층으로의 진입조차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도 했다. 응답자들은 한국을 노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나라(27.5%, 동의율), 중산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가 많은 나라(20.7%)로 평가하기보다 한 번 가난해 지면 평생 가난하게 살고(51.0%) 더 나은 상태로의 계층 이동은 불가능하다(51.3%)는 의견이 두 배 이상 높았다. 향후 자녀세대의 계층상승은 자유로울 것 같다(14.4%, 동의율)고 생각하는 사람들 역시 극

    2023.05.03 11:03:08

    젊은 세대일수록 한국 사회 어둡게 전망···10명 중 3명만이 ‘다시 태어나면 한국 선택’
  • [Big story]]10명 중 9명 "부자 아니다"...부채 늘고 재테크 제자리

    [머니&오픈서베이 설문조사]한경 머니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진행한 '전 국민 부자·재테크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93.4%가 "본인이 부자가 아니다"고 답했다. 또 다수의 응답자가 코로나19 이후 부채 증가를 호소했으며,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예·적금'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는 등 소극적인 자산관리 행태를 보여줬다. 이 조사는 부자에 대한 인식과 재테크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13일부터 15일까지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2.87%포인트다.조사 대상 응답자 93.4% "나는 부자 아니다"'본인이 부자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3.4%가 '아니다'라고 답변한 가운데 서울 지역의 경우 95.7%가 '부자가 아니다'고 답변해 상대적 박탈감이 조금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본인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0%가 그렇다고 답한 가운데 서울 지역의 경우 36.7%가 중산층이라고 말해 스스로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중이 높았다.부자에 대한 인식은 성별 및 연령대에서도 차이가 났다. 남성의 8.3%는 본인이 부자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여성 응답자의 경우 4.9%에 그쳤다. 40대 이하에서는 96.5%가 부자가 아니라고 말했으나 5060 세대는 92.5%가 부자가 아니라고 말해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인과 부자를 나누는 기준 1위는 ‘자산 규모’일반인과 부자를 나누는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는 자산 규모가 89%를 차지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5.2%가 사회공헌(노블레스오블리주)을 꼽아 부자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

    2023.03.28 10:33:35

    [Big story]]10명 중 9명 "부자 아니다"...부채 늘고 재테크 제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