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퇴직연금 안전자산, 투자순위 1위는?

    상장지수펀드(ETF)가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꼽은 안전자산 투자 1위로 선정됐다. 최근 퇴직연금 계좌에서 ETF가 원금보장형 예적금 상품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자사 모바일 비교 분석 플랫폼인 '펀드솔루션'을 이용하는 회원 중 자산관리를 돕는 판매자(PB) 와 일반 투자자 총 38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퇴직연금 안전자산 30%, 어디에 투자하세요?’라는 설문에서 ‘ETF’가 ‘예금·적금’을 누르고 투자자들의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설문에서 PB 908명 중 524명(58%), 일반 투자자 2933명 중 2272명(77%)이 퇴직연금 안전자산 30%를 ‘ETF’로 투자한다고 응답했다. 두번째로 PB 261명(29%)이 ‘예금·적금’을 골랐고, 나머지 123명(14%)이 ‘펀드’를 선택했다. 일반 투자자 또한 같은 순서로 537명(18%)이 ‘예금·적금’을, 124명(4%)이 ‘펀드’를 선택했다. PB와 일반 투자자 모두 ‘ETF, ‘예적금’, ‘펀드’ 순이었으나 일반 투자자들이 좀 더 높은 비중으로 ETF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ETF 중에서는 단기채권형 및 파킹형 ETF 상품이 우세했다. 퇴직연금 안전자산 30% 투자로 ETF를 선택한 PB 524명 가운데, KODEX ETF로 투자한다고 응답한 489명은 실제 투자하는 상품에 대해 ‘KODEX 단기채권(22%)’, ‘KODEX TDF2050액티브(18%)’, ‘KODEX 24-12 은행채(AA+이상)액티브(10%)’ 순으로 응답했다. 일반 투자자 2272명 중 KODEX 상품으로 투자한다고 밝힌 2195명은 ‘KODEX CD금리액티브(23%)’, ‘KODEX 단기채권(20%)’, ‘KODEX iShares 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11%)’ 순으로 응답했다. PB보다 일반 투자자들이 좀 더 보수적인 파킹형 또는 단기 안정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

    2023.12.01 10:45:07

    퇴직연금 안전자산, 투자순위 1위는?
  • 1년 못 채우고 떠나는 초등교사, 중등교사보다 두 배 더 많다

    최근 5년간 임용된 지 1년 이내에 교직을 떠난 국공립 및 사립학교 교원이 33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초등학교 교원이 가장 많았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로 제출받은 중도 퇴직 교원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교사 330명이 임용된 지 1년 안에 퇴직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초등학교 교원이 161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 교원 88명, 중학교 교원 81명 순이었다. 특히 임용 후 1년 이내 퇴직한 교원 수는 증가세를 보인다. 2019년 65명에서 이듬해 56명으로 소폭 줄었으나 2021년 65명, 2022년 72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올해(8월 말 기준)는 72명이 교단을 떠난 상태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9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52명), 경기(22명), 충북(22명), 서울(21명)이 뒤를 이었다. 문정복 의원은 “붕괴하는 교권으로 인해 임용 후 1년 이내에 떠나는 교원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교육부는 교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교단에 설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교권 보호 정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10.16 16:13:34

    1년 못 채우고 떠나는 초등교사, 중등교사보다 두 배 더 많다
  • “이러니 다들 공무원하지”...퇴직 공무원, ‘헉소리’ 나는 연금 수령액

    퇴직 공무원들은 월에 연금을 얼마나 받을까. 한국경제신문이 10일 정우택 국회부의장에게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공무원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268만원(2022년 기준)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58만원)보다 4.6배나 많은 수치다. 참고로 공무원연금의 보험료율은 18%로 국민연금(9%)보다 두 배 높다. 수령액 상위 1만 명은 매달 최소 394만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 400만원 이상 수령자는 8573명이었다. 월 700만원 이상을 받은 사람도 4명으로 집계됐다. 공무원연금 수령 최고액은 월 738만원이었다. 지난해 말 국민연금 최고액(249만원)의 세 배 수준이다. 월 600만원 이상은 8명이었으며, 10위는 월 599만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명의 최종 직책은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립대 총장, 국무총리 등으로 추정된다. 이들 고액 수급자는 대부분 재직 기간이 40년에 이르는 데다 2009년과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 이전 계산식이 일부 적용돼 수령 금액이 높다는 게 공무원연금공단 측의 설명이다. 한편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공무원연금 역시 재정적자다. 2001년 이후 20년 넘게 국고를 투입해 지급 중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올해 공무원연금 재정적자가 6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2050년에는 15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9.10 19:37:52

    “이러니 다들 공무원하지”...퇴직 공무원, ‘헉소리’ 나는 연금 수령액
  • 은퇴자들이 가장 후회하는 6가지 준비는

    [한경 머니 기고=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그때 그걸 했다면 지금 내 삶은 달라졌을까?” 살면서 한번은 이런 후회를 하게 된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후회가 잦아지고, 상황이 어려울수록 고민이 깊어진다. 왜 그때는 그런 선택을 했을까. 지금 아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었을 텐데. 하지만 나만 그런 것은 아니니까 너무 크게 자책할 필요는 없다.호모사피엔스가 진화하는 동안 먼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 필요했던 적은 거의 없다. 사람은 수백만 년 동안 그날그날의 배고픔을 어떻게 견뎌내고, 맹수의 위협으로부터 오늘밤도 무사히 넘길 수 있을 것인가에만 신경을 곤두세우고 살았다. 인류가 존재했던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렇게 살았다. 생식과 양육을 끝낸 이후의 삶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건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수백만 년 동안 인간의 뇌는 단기적 이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달해 왔다. 오늘 무슨 일이 일어날지도 모르는데 먼 미래를 계획하는 것은 부질없는 망상으로 치부했을 게 분명하다. 단기적인 편안함과 장기적인 이득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면, 전자를 선택했을 것이다. 그러면서 수백만 년 동안 인간의 뇌가 진화해 왔다.하지만 뇌만 탓하고 있을 수는 없다. 세상이 바뀌었다. 지금 우리는 매일 맹수의 위협에서 도망치면서 평균 20년 정도 살던 수렵채취 시대에 살고 있지 않다. 고도로 산업화된 사회에서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생식과 양육을 끝내고, 노동력을 상실한 다음에도 수십 년을 더 살아야 한다. 단기적인 평안함을 버리고 장기적인 이익을 생각해야 한다. 대다수 직장인은 은퇴 후 삶을 걱정하면서도 준비는 차일피일

    2023.07.31 15:16:06

    은퇴자들이 가장 후회하는 6가지 준비는
  • 은퇴 후 삶의 4가지 유형, 당신의 선택은

    [한경 머니 기고=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째깍째깍. 시곗바늘이 정년을 향해 달려간다. 퇴직까지 남은 시간이 줄어들면서 직장인들은 초조해진다. 별다른 대책 없이 시한폭탄이 폭발할 시간만 기다리는 꼴이다. 영화를 보면 폭탄이 터지기 직전에 히어로가 등장해 시한장치를 해제하지만, 현실에서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속절없이 시간은 흐르고 대다수 직장인은 별다른 준비 없이 퇴직을 맞는다.퇴직 후에는 어떤 삶이 기다릴까. 퇴직을 하면 시간부자가 된다. 그래서 현역 시절 여유가 없어 하지 못했던 많은 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배우고 싶었던 것도 배우고, 옛 친구도 만나고, 멀리 여행도 떠날 수 있다. 하지만 정년퇴직자들 중에서 계속해서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법이 정한 정년에는 도달했지만, 신체는 계속 일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일할 의지가 있고 능력이 되더라도 원하는 일자리를 얻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정년퇴직을 앞둔 사람들은 퇴임식을 생전에 치르는 장례식과 같다고 한다. 생전 장례식이라는 말은 일본 소설가 우치다테 마키코가 이라는 소설에서 한 말이다. 아직 기운이 팔팔한 사람을 회사에서 내보내며 왁자한 이별 의식을 치르고 것이 죽은 사람에게 치르는 장례식과 다를 바 없다고 본 것이다.소설에서 타시로 소스케는 은행에서 일하다가 자회사로 밀려난다. 그리고 얼마 후 정년을 맞는다. 동료들은 퇴임식에서 소스케에게 정년을 축하하는 인사를 건네지만, 속으로는 소스케를 더는 재기할 수 없는 ‘끝난 사람’으로 여긴다. 그런데 소스케의 삶은 정년과 함께 끝나고, 이후 삶은 덤에 불과한 걸까.은

    2023.06.09 15:51:42

    은퇴 후 삶의 4가지 유형, 당신의 선택은
  • 노후 소득 공백을 메우는 연금 활용법은

    [한경 머니 기고 =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대다수 은퇴자에게 국민연금은 중요한 노후생활비 재원 중 하나다. 하지만 국민연금만 가지고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를 전부 충당하기는 어렵다.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2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노후 생활에 필요한 생활비를 조사한다. 2021년에는 부부가 노후 생활을 하려면 최소한 월 199만 원은 있어야 하고, 적정 생활비로는 월 277만 원이 필요하다고 조사됐다. 이는 전국 평균이고, 서울이나 광역시에 사는 은퇴자는 생활비가 더 많이 든다. 하지만 국민연금 가입자가 노후에 받는 노령연금은 여기에 못 미친다.2022년 12월 기준으로 노령연금 수급자는 월평균 58만6112원을 수령하고 있다.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20년이 넘는 사람이 받는 노령연금도 월평균 98만1140원밖에 안 된다. 한 달에 200만 원이 넘는 연금을 받는 이들도 있기는 하지만, 그 수(5410명)는 전체 노령연금 수령자(531만 명)의 0.1%에 불과하다. 매달 필요한 노후생활비와 노령연금 수령액 사이의 빈틈을 채워야 하는 것은 은퇴자의 몫이다. 필요생활비와 노령연금 사이에 소득 공백은 발생 시기에 따라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직장에서 퇴직하고 노령연금을 개시할 때까지 발생하는 소득 공백이 있다. 둘째, 노령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한 다음에도 필요한 노후생활비와 연금수령액 갭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부부 중 노령연금 수급자가 먼저 사망하는 경우 남은 배우자의 노후생활비가 부족할 수 있다. 이처럼 소득 공백이 발생하는 시기와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은퇴자의 대응 방법도 달라야 한다. 그러면 지금부터 노령연금의 빈틈을 메우는 셀프 연금 활용 방

    2023.05.03 07:00:03

    노후 소득 공백을 메우는 연금 활용법은
  • 은퇴 후 자신감 높이려면 ‘이것’부터 바꿔라

    [한경 머니 기고 =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은퇴 후 삶에 자신 있나요?” 만약 누군가 당신에게 이렇게 물어온다면 당신의 대답은 무엇일까. 잠시 머뭇거림도 없이 “그렇다”고 답할 수 있다면 그 자신감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반대로 대답을 주저하거나 망설이고 있다면 당신의 자신감을 저해하는 요인을 무엇인가. 그리고 떨어진 자신감을 다시 고취시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은퇴를 앞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것이다.미국 싱크탱크 EBRI(Employment Benefit Research Institute)에서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은퇴 자신감 조사(Retirement Confidence Survey)’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EBRI는 미국 노동부에 퇴직연금과 근로자 복지에 대한 자문을 하고 있는 곳이다. 국내에서는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에서 처음으로 은퇴 자신감 조사를 실시했다.2022년 9월 처음으로 4050세대 직장인 2000명으로 대상으로 ‘은퇴 자신감’ 서베이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서울과 수도권, 6대 광역시와 세종시에 거주하는 1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가 대상이다.  서베이 결과 “은퇴 후 삶에 얼마나 자신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10점 만점에 평균 5.2점의 자신감을 보였다. 평균 점수만 보면 은퇴 후 삶에 대해 자신감이 충만하다고 할 수도 없고,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하기도 어렵다.평균 점수만으로는 설문 참여자의 다양한 특성을 모두 파악할 수 없어서 분포를 살폈다. 은퇴 자신감 점수를 기준으로 서베이 참여자를 하위, 중위, 상위의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은퇴 자신감 점수가 0~4점인 직장인은 하위 그룹, 5~6점이면 중위 그룹, 7~10점이면 상위 그룹으로 분류했

    2023.01.03 06:00:07

    은퇴 후 자신감 높이려면 ‘이것’부터 바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