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설탕으로 가난한나라 부자나라 차별한 네슬레 '논란'

    세계적인 식품업체 네슬레가 부자나라와 가난한나라에 당분을 차별적으로 넣어 팔아왔다고 시민단체가 주장했다. 부자 나라에는 당분이 적거나 안 들어간 건강식품을, 가난한 나라에는 당분이 많이 들어간 식품을 팔았다는 것.23일(현지시간)스위스의 시민단체 ‘공공의 눈’(PE)과 국제어린이식품행동네트워크(IBFAN)는 시장 분석기관 ‘유로모니터’의 자료를 근거로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이들은 “네슬레가 저소득 국가에는 1인분에 최대 7.3g의 첨가당(설탕 등 식품 제조시 첨가되는 당분)이 들어있는 어린이 식품을 판 반면, 유럽 시장에선 첨가당이 훨씬 더 적거나 전혀 들어 있지 않은 어린이 식품을 내놓았다”며 “위험한 이중잣대”라고 꼬집었다.또 이런 차별적 대우가 ”가난한 나라에서 어린이 비만이 늘어나게 하고 어린이의 입맛을 어릴 때부터 항구적으로 단 것에 길들게 한다”고 비판했다.이들은 2022년에만 중·저소득 국가에서 네슬레에 25억 달러(3조4000억원)를 안겨준 제품 ‘세렐락’ 시리얼과 ‘니도’ 분유를 예로 들어 첨가당 양을 비교했다.네슬레는 중·저소득 국가에 파는 세렐락 1인분에 평균 4g의 첨가당을 넣었다. 그러나 타이와 에티오피아, 남아공화국, 인도, 방글라데시 등 일부 국가에서는 최대 6g까지 넣었고, 필리핀에서는 무려 7.3g이 함유된 세렐락을 팔았다.그러면서 몇몇 나라에서는 세렐락의 겉표지에 첨가당 성분 표시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과 독일에서는 첨가당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세렐락을 팔았다.공공의 눈 관계자는 “유럽에서는 건강상의 이유로 무설탕 식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아 첨

    2024.04.24 15:37:48

    설탕으로 가난한나라 부자나라 차별한 네슬레 '논란'
  • “비정규직인데 뭘 다 줘”···월급, 밥값 차별한 저축은행·카드사 [강홍민의 끝까지 간다]

    #1 ㅇ저축은행은 사무보조 정규직 직원에게 월 20만원의 식대를 지급하는 반면, 같은 일을 하는 기간제 직원에겐 15만원을 지급했다.#2 ㅅ저축은행은 기업여신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에게 10만원의 생일축하금과 월 20만원의 자기계발비를 지급하는데, 정규직보다 하루 1시간 덜 일하는 단시간 근로자들에겐 이 혜택을 지급하지 않았다. 3일 고용노동부는 저축은행 26곳과 카드사 5곳, 신용정보사 4곳 등 35곳을 대상으로 지난 1분기 비정규직 차별과 육아지원제도 위반 여부 등을 감독한 결과 총 185건의 법 위반 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현행 기간제법과 파견법은 기간제, 단시간, 파견 등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 동종·유사업종에 종사하는 비교대상근로자보다 임금, 상여금, 근로조건, 복리후생 등에서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감독 결과, 업무가 동일함에도 정규직·비정규직에 따라 대우가 달랐다. 한 저축은행은 기간제 근로자를 학자금, 의료비, 사내대출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고, 또 다른 저축은행은 직접 고용한 비서에게 주는 복지카드(연 50만원)와 명절선물비(25만원) 혜택을 파견 비서에겐 주지 않았다.한 카드사는 정규직에게 점심값을 월 31만원을, 기간제엔 25만원을 차등 지급했다. 또 신용정보회사 중에서는 IT 유지보수 직원 중 정규직에게만 건강검진을 지원하기도 했다.또 수습 근로자에게 최저임금의 90%에도 못 미치는 임금을 주거나 임원 운전기사에게 연장·휴일·야간 수당을 안 주는 등의 '금품 미지급' 사례도 25곳에서 총 50건 확인됐다.이 뿐만 아니다. 조사 결과, 성희롱이나 육아지원제도 위반 사례도 있었다.한 기업 임원은 미국에서 살다 와 '

    2024.04.04 07:49:06

    “비정규직인데 뭘 다 줘”···월급, 밥값 차별한 저축은행·카드사 [강홍민의 끝까지 간다]
  • “저희 가게는 ’노키즈존‘입니다” 차별 vs 권리, 여전히 뜨거운 감자 ’노키즈존‘

    ‘죄송하지만 아이들은 입장할 수 없습니다’ 최근 식당, 카페 등 노키즈존이 늘어나고 있다. 노키즈존이란, 영유아와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업소를 가리키는 신조어다. 노키즈존에 대해 영업상 자유라는 의견과 더불어 아이들을 위험한 존재로 설정하고 사전에 차단해 버린다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노키즈존(No kids zone)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공장소에서의 어린이 안전문제는 부모의 책임이 가장 크다는 인식이 강했다. 또한 노키즈존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시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6명, ‘아이들 때문에 불편한 적 있다’...식당-카페-대중교통 순 응답자 10명 중 6명(61.6%)은 공공장소에서 만 13세 어린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을 겪었던 장소로는 식당(72.2%, 중복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카페(48.4%), 대중교통(45.3%), 대형마트(32.5%)가 그 뒤를 이었다. 어린이로 인한 불편을 경험했을 때 대체로 그 상황을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어느 정도의 제재가 필요하다(75.8%)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이해하고 넘어간다는 응답이 이전 조사 대비 소폭 증가(5.9%(2019) → 12.0%(2023))하거나, 누구나 어린 시절이 있기에 이해할 수 있다(55.5%(2019) → 59.8%(2023))는 응답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6.0%)은 공공장소에서 어린이와 관련한 사건사고의 핵심은 동반한 부모에게 있는 경우가 많다고 응답했다. 부모의 방관과 무책임으로 사고가 발생했다는 의견도 59.3%에 달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공공장소

    2023.05.26 16:20:04

    “저희 가게는 ’노키즈존‘입니다” 차별 vs 권리, 여전히 뜨거운 감자 ’노키즈존‘
  • 한국의 다양성 대응 평가 일본과 나란히 하위권

    많은 전문가들이 한국 다양성 정책의 한계를 논할 때 오랫동안 단일민족 국가로서의 지위를 강조해 온 역사와 문화를 이야기한다. 글로벌 컨설팅사 플레시먼힐러드가 8일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DE&I)에 대한 보고서 ‘DE&I 디코디드’에서도 유사한 트렌드가 발견됐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점은 ‘(본인이 속한 국가의) 시장이 다양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이다. 일본은 응답자 과반이 일본이 다양성 문제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쪽에 무게를 실었다. 그 다음 응답률이 많았던 국가는 한국이다. 일본과 한국이 나란히 다양성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치 부문에서 하위권을 기록한 것이다.국내 응답자 유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DE&I 개념이 익숙하다는 응답은 78%로 상당히 높다. 하지만 보고서는 한국은 다양성 이슈가 발생했을 때 강력하게 지지하거나 적극 개입하기보다는 관여하지 않는 관찰자 역할을 유지하는 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어떠한 이슈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답한 관찰자 유형은 한국에서 37%로 관찰자 유형으로 분류된 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도 인종 차별 문제 제일 커그렇다면 한국인이 인식하고 있는 가장 큰 다양성 문제는 무엇일까. 응답자들은 사회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로 인종 차별(41%)을 꼽았다. 이어 장애인 차별(28%), LGBTQ 집단에 대한 차별(28%), 여성에 대한 성폭력, 괴롭힘(25%) 등이 꼽혔다.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다양한 사회적 배경의 개인에게 공평하고 동등한 개발 기회 부여(61%)’, ‘소수자에 대한 배려(55%)’ 등 공평

    2023.02.09 18:43:31

    한국의 다양성 대응 평가 일본과 나란히 하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