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버거킹 또 가격 인상…와퍼 ‘6900원’ 됐다

    [숫자로 보는 경제]6900원버거킹이 7월 29일부터 제품 46종의 가격을 평균 4.5% 올린다고 7월 27일 밝혔다.지난 1월 33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2.9% 올린 지 약 6개월 만에 추가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제품별로 보면 대표 메뉴인 와퍼는 6400원에서 6900원으로, 롱치킨버거는 4400원에서 4600원으로, 와퍼 주니어는 4400원에서 4600원으로 오른다.와퍼는 지난 1월 6100원에서 6400원으로 인상된 데 이어 이번에 500원이 더 올랐다. 6개월 새 800원이나 오른 셈이다.버거킹 관계자는 “물류비와 원재료비 등 제반 비용이 증가해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2.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낮췄다.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어두워진 세계 경제 전망을 반영했다.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1%로 석 달 전보다 0.8%포인트 낮췄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의미다.7월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세계 경제 전망’을 발표했다. IMF는 통상 매년 4·10월에 전체 회원국의 물가·성장률 전망을 발표하고 1·7월엔 한국 등 주요 30여 개국의 성장률 전망을 발표한다.IMF는 지난 4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했는데 이번에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인플레이션, 중국의 성장 둔화, 전쟁과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하면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본 것이다.IMF는 이번에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을 3.6%에서 3.2%로 0.4%포인트 낮췄다.주요국의 성장률 전망과 하향 폭은 미국(2.3%, -1.4%포인트), 독일(1.2%, -0.9%

    2022.07.30 06:00:09

    버거킹 또 가격 인상…와퍼 ‘6900원’ 됐다
  • ‘가격 인상’ 딜레마에 빠진 식음료 기업

    [비즈니스 포커스]“각종 비용의 증가로 어쩔 수 없이 판매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햄버거 프랜차이즈 버거킹 관계자는 새해 벽두부터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내든 배경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버거킹은 1월 7일부터 점포에서 판매 중인 햄버거 25종을 포함해 총 33종의 상품 가격을 평균 2.9% 올린 상태다.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와퍼’ 단품은 300원 오른 6400원을 내야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원자재 가격을 비롯해 최저임금 인상 등 각종 제반 비용 증가에 따른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롯데GRS가 운영하는 롯데리아와 신세계푸드의 노브랜드버거가 같은 이유로 각각 4.1%, 2.8% 제품 값을 올린 바 있다.주요 식음료 기업들이 가격 인상 딜레마에 빠졌다. 햄버거업계가 대표적이다. 최근 주요 업체들이 잇따라 가격을 올렸지만 문제는 역풍이다.벌써부터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격을 인상한 업체들을 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확산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마당에 기업들이 제품 가격까지 높인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물론 모든 기업들이 같은 전략을 내세우는 것은 아니다. 이 같은 소비자들의 반응을 감안해 경쟁사와 다른 길을 택한 기업들도 있다. 롯데리아를 제치고 업계 1위(점포 수 기준)에 오른 맘스터치를 꼽을 수 있다.맘스터치, 2년 연속 가격 동결맘스터치도 사정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생산비 급증으로 실적 개선세가 예전만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맹점 수익이 악화되면서 일부 점주들 사이에서는 ‘우리도 제품 가격을 올리자’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가격을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2022.01.11 06:01:51

    ‘가격 인상’ 딜레마에 빠진 식음료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