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흑인 여성이 비누칠하자 백인으로”…도브 광고의 실패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미국 맥주 시장의 40%를 점유하는 ‘절대 강자’ 앤하이저부시 인베브(ABI)의 시가 총액이 최근 10% 넘게 사라졌다.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다. 발단은 사소한 마케팅 실수 때문이다. 맥주 애호가들이 집단 반발하며 참담한 결과를 빚어냈다.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핵심 소비층 반발 간과한 맥주 업체ABI는 버드와이저·버드라이트·스텔라아르투아·코로나·호가든 등을 생산·유통하는 대표적인 주류 업체다. ABI의 지난 4월 맥주 판매량은 약 10% 감소했다. 버드라이트만 놓고 보면 매출 감소는 심각한 수준이다. 4월 마지막 주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23.3% 쪼그라들었다. 5월 첫 주 하락률은 23.6%로 악화했다.그 중심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스타 트랜스젠더인 딜런 멀바니 씨와 관련된 논란이 자리 잡고 있다. 멀바니 씨의 얼굴을 넣어 특수 제작한 맥주 캔을 보낸 게 알려지자 맥주를 즐겨 마시는 남성 소비자들이 대거 이탈했다.멀바니 씨는 틱톡 팔로워만 1000만여 명을 확보하고 있는 인플루언서로, 코미니언 겸 배우다. 직접 운영하는 팟캐스트 ‘소녀의 시대(Days of Girlhood)’ 시리즈는 10억 뷰를 넘어섰다.멀바니 씨는 ‘티파니에서 아침을’ 영화 속 오드리 헵번처럼 꾸미고 나온 틱톡 영상에서 “여성이 된 지 1년이 됐는데 버드라이트가 최고의 선물을 보내줬다”고 자랑했다.맥주 최대 소비층인 보수 성향의 남성들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공개리에 버드라이트 보이콧(구입 거부)을 선언하는 유명인이 잇따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대선 주자 중 한 명인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도 비판 대열에 합류
2023.06.02 06:00:04
-
'나이키·아디다스'의 배신, 환경호르몬 검출 …"입고 운동했는데" [최수진의 패션채널]
너무 춥지도 덥지도 않은 요즘, 운동하기 딱 좋은 날씨입니다. 웰빙(well-being),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을 합쳐 건강한 삶을 산다는 뜻의 '웰니스'는 하나의 트렌드가 됐죠. 갓생(신처럼 부지런하고 생산적인 삶)을 꿈꾸는 MZ세대 사이에서는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 챌린지가 유행처럼 번진 지 오래고요. 운동하는 사람들, 보통 무슨 옷을 입나요? 접근성이 좋은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아닐까 합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나이키, 독일의 아디다스 등이겠죠. 매장이 많은 것도 판매에 영향을 미칠 것 같고, 더 중요한 것은 소비자들이 이들의 제품을 신뢰하기 때문일 겁니다. 대중적인 스포츠 브랜드지만 그 가치는 명품 못지않습니다. 영국 컨설팅회사 브랜드파이낸스가 발표한 '2022년 패션 시장 브랜드 가치 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나이키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의류 브랜드라는 의미입니다. 심지어, 2위에 오른 프랑스 브랜드 루이비통, 3위 이탈리아의 구찌 등 글로벌 명품 브랜드를 제치고 1위에 오른 것인데요. 아디다스는 4위인 샤넬 뒤를 이어 5위를 차지했습니다.그런데, 이들 브랜드 제품에서 과다한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고 합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천식, 심혈관 질환 및 비만 등에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 '비스페놀A(BPA)'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BPA가 인체에 노출되면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해 심할 경우 당뇨병, 암 등을 유발한다고 합니다.미국의 비영리 환경단체 CEH(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가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간 BPA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나이키 △아디다스 △파다고니아 등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설정한 기
2023.05.19 09:59:30
-
칸예와 헤어진 아디다스…영업이익 86.3% 급감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지난해 미국 유명 힙합 가수 '예(칸예 웨스트)'와의 계약을 종료한 가운데, 그 타격이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 아디다스는 올해 1분기 매출 52억7400만유로(한화 약 7조6000억원), 영업이익 6000만유로(약 870억원)를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6.3% 급감했다. 영업이익률은 8.2%에서 1.1%로 크게 떨어졌다. 아디다스는 "공급망 비용과 할인율이 늘어났고, 부정적인 이지(Yeezy)의 영향으로 마진이 줄었다"라며 "올해는 아디다스에 힘든 한해가 되겠지만 더 나은 2024년을 보내기 위한 과도기"라고 밝혔다. 이어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지만 북미 지역에서 20% 감소했다"라며 "라이프스타일의 부진과 이지 라인업의 판매 중단은 우리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 재고 부담도 크다. 우리는 재고 수준을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실적은 칸예와의 계약 종료에 따른 결과다. 아디다스는 지난해 10월 칸예의 유대인 혐오 발언이 논란이 되자 파트너십을 종료하며 선 긋기에 나섰다.당시 칸예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공식 계정에 "유대인들에게 데스콘3(death con 3)를 가하겠다"라는 글을 올렸다. 데스콘은 미군 방어준비태세를 가리키는 데프콘에 빗댄 것으로, 죽음과 관련한 혐오 표현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논란이 심화하자 인스타그램의 모회사인 메타(옛 페이스북)는 일시적으로 계정을 정지했으며, 칸예와 협업해 온 패션 브랜드 발렌시아가, 갭(GAP) 등은 칸예 발언이 잘못됐다는 내용의 성명을 내기도 했다.&n
2023.05.11 10:18:21
-
IBK기업은행, 비자와 손 잡고 '카타르 월드컵' 기념 아디다스 할인 이벤트
IBK기업은행(은행장 윤종원)이 FIFA 공식 결제서비스 파트너인 비자(Visa) 및 글로벌 스포츠브랜드 아디다스와 함께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기념 할인이벤트’를 12월 31일까지 진행한다.이번 혜택은 아디다스 멤버쉽 회원에게 적용되며, IBK Visa카드로 아디다스 공식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10만원 이상 결제 시 2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IBK기업은행 공식 SNS 계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기업은행 관계자는 “고객들이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을 더욱 즐길 수 있도록 Visa와 함께 글로벌 스포츠브랜드 아디다스 할인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할인율이 높은 만큼 IBK Visa카드를 이용하는 많은 고객분들에게 혜택을 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2022.12.05 15:01:08
-
이제 나이키는 끝물? 다시 아디다스 시대 오나
[비즈니스 포커스]“점점 나이키에 질려 가고 있다.”최근 운동화와 관련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스니커 마니아들이 쓴 이런 내용의 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운동화 시장에서 영원할 것 같았던 ‘나이키 천하’에 조금씩 균열이 일기 시작했다는 얘기들이 서서히 들려오고 있다. 그리고 그 대항마로 다시 아디다스가 급부상 중인 모습이다. 과연 아디다스는 나이키에 빼앗겼던 과거의 영광을 다시 찾아올 수 있을까.나이키는 요 몇 년간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운동화 시장에서 적수를 찾기가 어려웠다.이런 사실을 가장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곳이 리셀 시장이다. 리셀 시장은 한 브랜드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준으로 자리매김했다.놀라운 것은 리셀 시장에서 발매가보다 더 많은 웃돈이 붙어 거래되는 운동화들 대부분이 나이키가 만들어 낸 제품들이라는 것이다. 첫 발매된 지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인기가 식을 줄 몰랐던 덩크, 조던 시리즈, 에어 포스1 등을 앞세운 나이키 제품들은 발매와 동시에 순식간에 품절되기 일쑤였다. 결국 소비자들은 리셀 시장에서 발매가보다 많게는 수십 배 정도의 돈을 더 주고 운동화를 구매하는 현상이 벌어졌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 벌어진 일이다.나이키의 인기 이유는 간단했다. 단순히 색상만 바꿔 제품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MZ세대(밀레니얼+Z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는 아티스트나 디자이너 또는 스트리트 브랜드들과 협업한 제품을 잇달아 선보이며 이들을 열광하게 만들었다. 그 무엇보다 특정 제품들은 일부 소비자들에게만 구매 권한을 주는 한정판으로 출시
2022.08.18 06: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