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대로 보내기 아쉬운 초여름, 청춘들을 위한 종로3가 포차거리[MZ 공간 트렌드]

    찰나의 계절이라는 초여름 밤, 놓치지 않고 해야 할 일이라면 야외 테이블에서 맥주 한잔을 들이켜는 것. 대학 때 편의점 앞의 둥근 플라스틱 테이블에서 캔맥주와 소주를 종이컵에 섞어 마시며 밤새워 수다를 떨곤 했다. 하지만 편의점은 휴게 음식점으로 분류돼 음주하다 걸리면 점주가 최대 5000만원의 벌금을 물 수 있다. 아마 맥주 캔을 따는 순간 주인이 부리나케 나와 말릴 것이다. 그러면 청춘들은 어디로 가야 하나. 이곳에는 오후 5시쯤이 되면 치킨집 테이블이 하나둘씩 펼쳐진다. 빨간색, 파란색, 흰색…. 세어보지는 않았지만 500개쯤 될까. 종로3가역 5번 출입구 앞에는 ‘송해길’이라는 푯말이 있다. 송해 할아버지 제2의 고향이라 그를 기념해 만든 길이다. 뒤로는 낙원악기상가가 있는데 상가 근처에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인들이 등받이 없는 의자에 삼삼오오 모여 있다. 500여 개의 야외 테이블은 낙원상가 입구 앞 골목에 끝없이 즐비하게 들어서 있다. 인스타그램의 #종로3가포차거리 #핫플이 골목의 정확한 명칭은 ‘돈화문로’다. 별다른 명칭은 없다. ‘종로3가 포차거리’라고만 부른다. 송해길은 낙원상가 앞에서 종로2가 육의전 빌딩까지, 탑골공원 방향으로 가는 길이라 엄밀히 말하면 포차거리가 아니다. 이곳은 5번 출입구부터 3번 출입구까지 약 200m의 이름 없는 골목이다. 골목 양쪽 길에 노점이 빽빽하다. 골목이지만 양쪽이 20m 정도 되는 넓이라 답답한 느낌은 없다. 인스타그램에는 #종삼 #종로3가포차거리 #노상포차 등의 해시태그를 적은 게시글이 실시간으로 올라온다. 저녁을 먹은 뒤 오후 8시쯤에는 이미 만석이다. 앉을 곳이 없어 골목의 끝에서 끝까지 두어 번은 걸어야 한다.

    2023.06.25 10:57:22

    이대로 보내기 아쉬운 초여름, 청춘들을 위한 종로3가 포차거리[MZ 공간 트렌드]
  • [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③] 왜 종로는 노인들의 놀이터가 됐을까?

    [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①] "다른 사람한테 물어보는 게 창피스러워서..." 디지털 시대 속 설 자리를 잃은 노인들[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②] ‘80세 평균 연 수입 800만원’ 돈 없는 고령층, 종로로 모이는 까닭은?[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이아연 대학생 기자] 누구보다 하루를 일찍 시작하는 노인들, 갈 곳 없고, 시간을 함께 즐길 이들이 없는 그들은 노인들의 놀이터라 불리는 종로 ‘탑골 공원’에 모인다. 탑골공원 주변에는 무료 급식소를 비롯해 저렴한 음식점·술집·이발소 등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곳들이 즐비하다. 또한 탑골 공원 옆 낙원 악기 상가 공터에서는 낮 동안 여기저기 장기판이 펼쳐진다. 이곳에서는 사계절 내내 매일 장기를 두는 이들과 훈수 두는 노인들로 북적이는 곳이다.  “장기 둘 사람 기다리고 있어요. 여기서 장기 두고 있는 사람들 다 집 있는 사람들이에요. 집에 말동무도 없고 아무것도 없으니까 그래서 나오는 거예요.” 종로에서 장기판을 지켜보고 있던 이기주(80·가명)씨는 기초생활수급자라 일을 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고 씨는 수급자가 되기 전에는 주민 센터에서 한 달에 열흘씩 일하고 27만 원을 받았다. 2년 동안 했던 일은 올해 6월부터 수급자가 된 이후로 할 수 없게 됐다. 수급료에서 버는 돈 만큼 깎이기 때문이다. 대화를 나누는 동안 고 씨는 개인적인 이야기도 꺼냈다. 함께 시간을 보낼 말동무가 필요한 노인들은 하는 일 없이 앉아 장기판을 구경하다가도 말을 걸면 그들의 이야기를 서슴없이 꺼냈다.조규순(74·서울 은평구)씨는 실업급여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오전 8시에 나와 무료 급식

    2022.12.16 09:20:31

    [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③] 왜 종로는 노인들의 놀이터가 됐을까?
  • [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②] ‘80세 평균 연 수입 800만원’ 돈 없는 고령층, 종로로 모이는 까닭은?

    [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①] "다른 사람한테 물어보는 게 창피스러워서..." 디지털 시대 속 설 자리를 잃은 노인들[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③] 왜 종로는 노인들의 놀이터가 됐을까?[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 양정민 대학생 기자] 11월 11일 금요일 저녁, 종로5가 광장시장 앞 약국 거리는 환하게 불이 켜져 있었다. 약국에는 약을 사려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고객 대부분은 노인들이었다. 종로의 대표 약국인 A약국에서 일하는 약사 장용호(65・가명)씨는 손님들이 찾는 약에 대해 설명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른 지역의 약국에 비해 비타민 등 판매약 가격이 저렴했다. 다른 곳에서 60알 2세트를 기준으로 5만원에 팔리는 비타민 제품이 이곳 종로에서는 100알 2세트 기준으로 6만 5천원에 팔리고 있었다. 다른 곳에선 한 알에 416원 꼴인 것이 종로에선 325원으로 약 22% 저렴한 셈이다. 장 씨는 “우리 약국으로 약을 사기 위해 전국에서 사람들이 오니까 싸게 팔 수 밖에 없다”며 “노인층이 주 고객인 것도 이유 중 하나다“라고 설명했다.약 구입을 위해 종로를 찾는 노인들도 많지만 여가를 즐기기 위해 종로를 찾는 이들도 많다. 박종식(82・가명) 씨도 “살 날이 얼마 안 남았는데 많이 놀아야 하지 않겠냐”며 “돈은 없는데 술 한잔 하고 싶어서 종로를 자주 온다”고 말했다. 종로에 노인 밀집 현상으로 인해 ‘노인 섬’이 만들어지며 노인 소외 현상이 심해지는 추세다. 소득이 적다 보니 이들은 저렴한 가격대의 음식점과 유흥거리를 찾을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이 싼 값에 식사를 해결하기 위해 종로 등 일부 지역으로 몰리고

    2022.12.13 08:34:04

    [우리도 언젠가 노인이 된다②] ‘80세 평균 연 수입 800만원’ 돈 없는 고령층, 종로로 모이는 까닭은?
  • 서울의 거리에서 미래를 만나다

    [스페셜 리포트]대학생부터 예술가까지 젊은이들이 모여들자 특색 있는 가게가 하나둘 생겨났다. 입소문(지금은 SNS)을 타고 소문이 퍼졌다. 사람들이 붐비자 상업 시설들이 밀려 들어왔다. 건물주들은 하나둘씩 월세를 올리기 시작했다. 결국 애초 이 거리를 만든 주인공인 작은 가게들은 골목으로 숨어들거나 자취를 감춘다. 서울의 길들은 모두 이런 과정을 거쳤거나 거치고 있는 중이다.서정렬 영산대 부동산금융학과 교수는 서울 거리의 변천사를 이렇게 설명한다. “베이비붐 세대가 소비력을 지니자 명동과 종로가 붐볐다. 1990년대 아파트 값이 급등하고 ‘강남 시대’가 열리면서 압구정 로데오거리에 오렌지족이 출몰했다. 2000년대부터 ‘홍대 전성시대’가 열렸다. 2010년 들어서는 크고 작은 이벤트가 열리는 성수동과 골목 곳곳으로 이동이 시작됐다.”위치만 달라졌을 뿐이다. 붐비는 거리에는 그 시대 트렌드의 맨 앞에 선 사람들이 몰렸고 문화와 자본은 이들을 쫓았다. 길의 흥망성쇠는 문화와 젊음 그리고 자본의 함수 관계라고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K-컬처의 산파 역할을 한 서울의 길을 따라가 봤다.‘젊은 거리’의 시작은 통금 해제외국인들은 서울을 “24시간 축제가 벌어지는 곳”이라고 표현한다.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서울 곳곳은 잠들 시간조차 없었다. 그 시작은 정확히 4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서울의 거리가 뜨거워진 첫 장면에는 1982년 야간 통행 금지의 해제가 있었다. 밤 12시 통금이 해제되자 서울의 번화가는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연세대와 이화여대 등 대학이 몰려 있는 신촌과

    2022.06.04 06:00:07

    서울의 거리에서 미래를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