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부채도 연체율도 불어난다…비상등 켜진 은행

    [비즈니스 포커스]‘코로나19 청구서’일까. ‘관리 가능한’ 수치일까. 한국 은행의 연체율이 3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반기 경기 둔화와 지난해부터 지속된 고금리가 더해지면서 차주들의 부담이 커졌고 이에 따라 연체율이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은행 연체율은 분기 중에는 상승했다가 분기 말 들어 은행이 연채 채권 관리를 강화하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공식에 따라 1분기가 끝난 지난 3월 하락세를 보였던 연체율이 4월이 되자마자 고개를 들었다. 요악하자면 은행의 연체율은 올해 들어 꾸준히 올랐던 것이다.  금융 당국 “해외와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금융감독원은 7월 3일 지난 4월 말 기준 한국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0.37%로 직전 달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14%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4월 중 신규 연체율(3월 말 대출 잔액 대비 4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0.08%로 전월과 비슷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0.04%포인트 올랐다.기업과 가계 모두 연체율이 상승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 대출 연체율이 0.39%로 전월 말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09%로 직전달과 유사했고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46%로 전월 말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중 중소 법인 연체율과 개인 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각각 0.51%, 0.41%로 전월 말 대비 0.06%포인트, 0.04%포인트 상승했다.가계 대출 연체율도 0.34%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올랐다. 주택 담보 대출 연체율은 0.21%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고 이를 제외한 신용 대출 등 가계 대출은 0.67%로 0.08%포인트

    2023.07.12 06:00:01

    부채도 연체율도 불어난다…비상등 켜진 은행
  • 건전성에 경고등 켜진 카드사, 연체율 3년 내 ‘최고’

    카드론과 결제성 리볼빙 이용 금액의 증가와 함께 연체율까지 동반 상승해 카드업계의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22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카드사들의 카드론 잔액은 34조1210억원으로, 작년 말(33조6450억원)보다 4760억원 늘었다.연령별로는 50대의 카드론 잔액이 10조9950억원으로 40대(10조9210억원)를 넘어 가장 잔액이 많았다.2019년 말 기준 29조원대였던 카드론 잔액은 2020년 말 32조원, 2021 년·2022년 33조원대, 올해 1분기 34조원대로 50∼60대를 위주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증가세다.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카드사(신한·삼성·KB·롯데·우리·하나·현대)의 올해 4월 리볼빙 잔액은 7조1729억원으로 1년 전인 작년 4월(6조2740억원)보다 1조원 가까이 늘어났다.리볼빙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가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가까워 소비자에게 부담이 된다.이에 따라 카드사들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카드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대부분 1%를 넘겼다.사별로는 신한카드(1.37%), 삼성카드(1.10%), KB국민카드(1.19%), 롯데카드(1.49%), 우리카드(1.35%), 하나카드(1.14%) 등이다.신한카드의 경우 2019년 3분기(1.40%)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KB국민카드는 2020년 1분기(1.24%) 이후, 삼성카드는 2020년 2분기(1.2%)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다.여기에 고객

    2023.05.22 12:22:21

    건전성에 경고등 켜진 카드사, 연체율 3년 내 ‘최고’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카뱅 연체율, 우려할 필요 없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올해 카카오뱅크의 전략으로 "높은 편의성과 금융 상품의 재해석 역량을 바탕으로 단순한 금융 앱이 아닌 금융과 생활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을 제시했다. 4월 18일 카카오뱅크는 ‘2023 카카오뱅크 프레스톡’을 열고 지난해 성과와 올해 사업 계획을 밝혔다.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카카오뱅크는 인터넷 은행 중 유일하게 IPO(기업공개)에 성공했고,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안정을 기록하면서 재무 안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카카오뱅크의 고객수 2042만명이며 수신잔액 33조1000억원, 여신잔액 27조9000억원이다.  BIS비율은 36.95%라 밝혔다. 윤 대표는 ‘넘버 원 금융+생활 필수 앱’을 카카오뱅크의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고객 외연의 확장,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의 확장을 제시했다. 또 대출 금리를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인 대환대출플랫폼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 진출에 대해서는 “카카오뱅크의 성공적인 스토리와 플랫폼 역량 때문에 몇몇 회사들이 함께 해보자는 제안을 해 왔다”며 “특히 동남아 회사들과 구체적인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고 말했다.올해 4연임에 성공했지만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의 주가부양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해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가 지닌 플랫폼 파워와 은행 라이선스를 토대로 회사 가치를 높일 것”이라며 “올해 주주환원 정책을 처음으로 펼친 것처럼, 꾸준한 성장을 토대로 이익을 확대한다면 또 다시 주주환원으로 이어질 것”이라 말했다.한편 인터넷은행의 연체율의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

    2023.04.18 11:41:01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카뱅 연체율, 우려할 필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