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혼부부 수 역대 최저

    신혼부부 수가 201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평균 자녀 수 또한 0.65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다.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신혼부부 수는 103만2000쌍으로 전년보다 6만9000쌍(6.3%) 감소했다. 이때 신혼부부는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고 이를 유지 중이며, 부부 중 1명 이상이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부부를 뜻한다.연간 신혼부부 수는 2018년 132만2000쌍에서 2019년 126만쌍, 2020년 118만4000쌍, 2021년 110만 1000쌍 등으로 매년 감소 추세다. 이 흐름이 이어진다면 올해는 연간 신혼부부가 100만쌍 이하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혼인 연차별로 보면 1년차 18만5830쌍(18.0%), 2년차 18만7683쌍(18.2%), 3년차 20만4883쌍(19.8%), 4년차 22만1351쌍(21.4%), 5년차 23만2506쌍(22.5%) 등이다.1~5년 모든 연차에서 전년 대비 신혼부부 수가 감소했다. 감소 폭은 2년차가 -10.4%로 가장 컸으며, 이어 3년차(-9.3%), 4년차(-6.5%), 5년차(-2.1%), 1년차(-3.2%)를 기록했다.통계청은 비혼과 만혼이 늘면서 1년차 신혼부부의 감소 폭이 큰 편이지만, 코로나19로 늦어진 결혼의 상당 부분이 지난해 이뤄지면서 예년보다 낮았다고 설명했다.지역별로는 경기가 29.9%(30만8634쌍)로 신혼부부 수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서울 17.8%(18만4804쌍), 인천 6.1%(6만2844쌍), 경남 5.8%(5만9601쌍), 부산 5.6%(5만8215쌍) 순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81만5000쌍의 평균 자녀 수도 0.65명 역대 최저치로 집계됐다.연도별로는 2018년 0.74명, 2019년 0.71명, 2020년 0.68명, 2021년 0.66명 등으로 꾸준히 감소해 왔다. 혼인 연차별로는 평균 자녀 수는 1년 차 0.21명, 2년 차 0.42명, 3년 차 0.63명, 4년 차 0.83명, 5년 차 1.01명이다.혼인 3년

    2023.12.13 10:43:02

    신혼부부 수 역대 최저
  • "연봉 7000 넘어도 애 안 낳는다"…자녀 없는 신혼부부 역대 최대

    결혼 1~5년차 신혼부부가 100만쌍 문턱까지 급감했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가 없는 비중은 역대 최대 규모로 늘었다. 결혼과 출산이 감소한 가운데 맞벌이가 늘면서 신혼부부의 소득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연평균소득은 7000만원 이상인 고소득 신혼부부일수록 무자녀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작년 11월 1일 기준으로 혼인신고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부부가 대상이다.신혼부부는 2021년 110만1천쌍에서 지난해 103만2천쌍으로 6만9천쌍(6.3%) 감소했다.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2015년 147만2천쌍에 달했던 신혼부부는 2016년 143만7천쌍, 2017년 138만쌍, 2018년 132만2천쌍, 2019년 126만쌍, 2020년 118만4천쌍 등으로 매년 5만~8만명씩 줄고 있다.초혼 신혼부부를 기준으로, 자녀가 없는 부부는 46.4%로 전년(45.8%)보다 0.6%포인트 증가하면서 2015년 통계작성 이후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균 자녀 수도 0.01명 줄어든 0.65명으로 역대 가장 낮았다.소득 별로는 연평균 소득이 7000만원이 초과했을 때 무자녀 비율이 더 높았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소득구간별 자녀 수를 조사한 결과 소득 7000만원 이하 구간에선 모두 자녀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더 높았지만, 7000만원 초과 구간에선 소득이 1억원이 넘어도 자녀가 없는 비율이 더 높았다.소득이 5000~7000만원일 경우 자녀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54.8%, 없다는 응답은 45.2%였다. 그러나 소득 7000만원~1억원 구간에선 무자녀 비율이 빠르게 올라 53.8%를 기록했고, 유자녀 응답은 46.2%로 떨어졌다. 소득이 1억원 이상인 경우에도 자녀가 없는 비율(51.6%)이 유자녀 비율(48.4%)보다 높았다.맞벌이 비중이 늘어나면서 초혼 신

    2023.12.12 17:16:01

    "연봉 7000 넘어도 애 안 낳는다"…자녀 없는 신혼부부 역대 최대
  • “보증금 없이 월 1만원에 거주”...청년·신혼부부 위한 ‘파격’ 정책

    청년 인구의 유출을 막고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전라남도가 칼을 빼들었다. 2035년까지 16개 군에 ‘1만원 주택’ 1000가구를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6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도와 전남개발공사 등은 신혼부부를 위한 전용면적 84㎡(32평형) 이하 주택, 그리고 청년을 위한 전용면적 60㎡(17평형) 이하 주택을 신축해 보증금 없이 월 1만원의 임대료로 제공한다. 최장 10년까지 거주가 가능한 이른바 ‘전남형 만원 주택 사업’이다. 주택 공급 규모는 총 1000가구로 2035년까지 이를 공급한다. 임대 기간은 최초 4년이다. 신혼부부의 경우 아이를 한명 출산할 때마다 3년씩 연장할 수 있다. 임대 대상 청년 나이의 경우 도 조례에는 18∼45세로, 공공주택 특별법에는 19∼39세로 규정돼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향후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거쳐 정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전남형 만원 주택 사업을 뒷받침하고자 ‘전남형 청년주택 지원 조례’도 제정한다. 조례에는 청년 주택사업 지원 근거, 입주 자격·기간, 월 임대료 등에 대한 세부 내용을 담는다. 전남도는 속도감 있는 조례 제정을 위해 도의회와 긴밀히 협의할 계획이다. 또 월 1만원의 임대료가 지속될 수 있도록 운영비 재원을 별도 마련하기 위한 기금도 조성한다. 현재 운용 중인 한옥발전기금 530억원에 추가로 150억원을 출연, 총 680억원 규모의 ‘청년주거안정 및 한옥 기금(가칭)’을 전국 최초로 조성한다. 기금이 조성되면 전남형 만원주택 운영에 필요한 비용 상당 부분을 감당할 수 있어 청년층의 임대료 상승 걱정이 덜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9.06 21:13:21

    “보증금 없이 월 1만원에 거주”...청년·신혼부부 위한 ‘파격’ 정책
  • ‘20대 초반에 결혼하면 만족도 높고, 이혼률 낮다’는 연구결과, 20대 결혼한 이들의 생각은?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된 지 오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 사회조사’에 따르면, 남자 55.8%, 여자 44.3%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미혼 남녀의 경우, 남자는 36.9%, 여자는 22.1%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앞서 말했듯이 결혼은 이제 선택의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결혼을 하더라도 결혼 적령기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나이도 늦춰지고 있는 분위기다. 결혼정보업체 듀오에서 발표한 2022년 자료에 따르면, 성혼회원 평균 초혼 나이는 남성 37.0세, 여성 33.9세로 나타났다. 2005년 자료(남 33.8세, 여 30.4세)와 비교했을 때, 남성은 3.2세, 여성은 3.5세 늦춰진 결과다. 통계청이 조사한 ‘신혼부부통계(2021)’에 의하면 혼인 1~5년 차 부부들의 초혼 평균나이는 남편 32.7세, 아내 30.4세였다.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된 시대에 평균보다 어린, 20대에 결혼한 이들도 주변에서 적잖이 볼 수 있다. 왜 그들은 일찍 결혼했을까. 결혼식보다 혼인신고 먼저···“확신 있었다”프리랜서 마케터이자 구독자 13만여 명의 유튜브 채널 '초이프'를 운영 중인 유튜버 강초원(29·여)씨는 동갑내기이자 로스쿨 학생인 남편과 결혼 3년차다. 그는 24살 때 소개팅을 통해 만난 남편과 26살에 혼인신고를 하고 지금까지 결혼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강 씨는 연애 시절 남편이 “로스쿨에 도전해 보려고”라고 말했을 때, 결혼을 결심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때, 장거리 연애, 오랜 학업 기간, 직장인과 학생의 차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했다”며 “여자친구가 아닌 아내로서 곁을 지켜야겠다는 생각에 결혼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말했다.강 씨와 남편은 결혼식을 치르기 2년 전 혼인신고를 했다. 그는

    2023.05.23 16:05:43

    ‘20대 초반에 결혼하면 만족도 높고, 이혼률 낮다’는 연구결과, 20대 결혼한 이들의 생각은?
  • 결혼 3개월 전, 예비 신부의 한 마디에 위기가 찾아왔다 [양이천의 기사회생]

    2018년 9월 어느 날 아침, 뜬 눈으로 밤을 지새웠지만 해결되는 건 아무것도 없었다. 결혼식을 3개월 앞두고 행복하기만 할 줄 알았던 나의 삶은 냉혹한 현실을 마주하자마자 산산조각 나버렸다. 그전까지 ‘집 사기 힘들다.’, ‘서울 집값은 오늘이 제일 싸다’라는 말을 들어왔지만 나 하고는 관계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집을 사겠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10년 넘게 한 집에서 전세로 살았던 부모님 밑에서 자랐기 때문일까? 내가 직면할 현실적인 돈 문제에 대해서 똑바로 보거나 얘기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일까?사건의 발단은 결혼을 3개월 앞두고 있는 예비 신부였던 아내가 나에게 한 말이었다. “엄마가 집을 사래. 집도 못 사면 어떻게 살 거냐고 해. 우리 어떡해?” 언제나 든든한 남편이고 싶었던 나는 처음으로 무너졌다. 내가 가진 돈으로는 서울은커녕, 경기도에서 아파트 전세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혼자 살고 있던 17평 오피스텔에서 같이 살 생각이었다. 원래도 신혼부부가 살았던 곳이고 예비신부나 나나 출퇴근이 평균 30분 정도 걸리는 곳이었다. 그런데 생각하지 못한 반대에 부딪친 것이다. 결혼식을 올리고 발을 내딛는 신혼부부는 말그대로 시작점이지 않은가. 처음부터 살 집이 있어야 한다는 말에 집을 살 수 없는 내가 살아온 30년의 삶이 부정당하는 기분이었다.그 새벽 내내 한 고민은 당장 해결되지 않았다. 결혼생활 초반동안 우리 부부의 끊이지 않는 갈등 문제였다. 대체 집이 무엇일지 아내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니 집은 안정감이었다. 더 이상 이사를 다니지 않아도 되는 내 집이 있다는 생각이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었다. 납득이 되긴 했지만 동

    2023.05.10 10:28:02

    결혼 3개월 전, 예비 신부의 한 마디에 위기가 찾아왔다 [양이천의 기사회생]
  • “14평에서 어떻게 아이까지 키우나”…신혼희망타운에 희망이 없다

    [비즈니스 포커스]정부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신혼희망타운에 희망이 없다.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공급 방안으로 내놓은 정책이지만 실수요자들에게 외면 받고 있다. 아이를 키우기에는 너무 작은 집 크기와 향후 얻게 될 시세 차익을 의무적으로 정부와 나눠야 한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내 집 마련 기회에도 등 돌린 신혼부부“46㎡(14평)는 부부끼리 살기에도 빠듯한 크기다. 혹시 아이가 태어나면 장난감과 책들로 둘이 살 때보다 짐이 한가득 늘어나는데 이곳에서 육아를 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최근 신혼희망타운에 당첨된 직장인 신 모(35) 씨의 말이다. 그는 지난해 결혼한 신혼부부로, 최근 경기 과천 주암 C2 블록 46㎡에 지원해 당첨됐다. 이 단지의 입주 예정일은 2027년으로 4년이나 남았다. 이 기간 아이가 태어난다면 46㎡ 작은 집에서 3명이 살아야 한다는 부담감에 당첨을 포기해야 할까 고민하고 있다.신혼희망타운은 신혼부부들에만 제공되는 특화 공공 주택이다. 정부는 △신혼부부를 위한 최적의 단지 △아이의 성장에 맞춰 변화하는 집 △보육 부담을 덜어주는 커뮤니티 시설 △안심할 수 있는 친환경 주택 △365일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특별한 놀이터 △세심한 배려가 돋보이는 공간 △자랑하고 싶은 디자인 등 7대 특화 방안에 맞춰 공급하고 있다.하지만 너무 작은 크기의 공급 물량에 신혼부부들은 등을 돌리고 있다. 신혼희망타운은 두 가지 형태로 구성됐다. 46㎡와 55㎡다. 46㎡는 거실과 방 2개, 화장실 1개로 55㎡는 거실과 방 3개, 화장실 2개 등이 기본 구조다.작은 면적에 방과 화장실 개수를 늘린 형태여서 거실은 비교적 넓지만 휴식 공간인 방은 좁다. 안방을 제외한

    2022.01.18 06:00:16

    “14평에서 어떻게 아이까지 키우나”…신혼희망타운에 희망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