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그냥 좋아서 왔죠" 팬덤 기대 커지는 슈프림 오픈 D-1[르포]

    건물 외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 흔한 로고도 안보인다.  미국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의 신비주이다. 오픈 전까지 어떤 정보도 공개하지 않겠다는 그들의 전략이 확실하게 드러난다.18일 오전 11시에 찾은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53길 37(신사동 648번지)에는 막 인테리어 공사를 끝낸 듯한 건물이 있다. 오는 19일 정식 오픈하는 슈프림의 국내 첫 매장, '슈프림 도산(Supreme 도산)'이다. 지난해 10월 한국 진출설이 나온 지 10개월 만에 모습을 드러내는 셈이다. 슈프림은 1994년 뉴욕 맨해튼에서 시작된 브랜드다. 창업자는 제임스 제비아다. 설립 28년이 지났지만 매장이 있는 국가는 미국·영국·일본·프랑스·이탈리아·독일 등 6곳에 불과하다. 한국은 슈프림 매장을 보유한 일곱째 나라가 됐다. '슈프림 도산'은 루이비통의 팝업스토어 '이스트 도산'과 메이크업 전문점 사이에 있다. 바로 건너편은 도산공원이다. 매장은 연중무휴다. 매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고 한다.신사동 648번지 건물이 슈프림의 매장일 것이라는 힌트는 사실 없다. 로고, 내부 인테리어, 제품 진열 모습 등은 밖에서 보일 수 없도록 하얀 천과 포장지로 철저하게 막아놨다. 앞서말한 슈프림의 '신비주의 전략'이다. 슈프림은 같은 제품을 2번 이상 제작하지 않는 고집과 한정판 전략 때문에 '신비주의 브랜드'라는 별칭을 얻었다. 고객들, 정확히 말하면 마니아들의 기대도 크다. 슈프림 측에서 지난 16일 노숙런(특정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 인근에 텐트를 설치하고 밤새 대기하는 행위)을 하지 못하도록 결정해 별도의 캠핑족은 안보였

    2023.08.18 14:22:55

    "그냥 좋아서 왔죠" 팬덤 기대 커지는 슈프림 오픈 D-1[르포]
  • [르포] 젊은이 몰리는 곳, 직접 가보니[평택(平澤), 산업 도시가 되다①]

    [스페셜 리포트]지역 살리는 힘은 기업에서…‘평평한 땅에 연못만 있던’ 평택(平澤), 산업 도시 되다“요즘 울산에 현대중공업이라고 하는 데서 사람을 구한단다. 함 가봐라.”약 40년 전쯤, 전국 각지에 이런 입소문이 돌았다. 일자리에서 목말라 있던 전국의 2030대 청년들이 울산으로 향했다. 얼마 후 울산에는 한자로 ‘현대중공업(現代重工業)’이라고 쓰여진 초록색 회사 점퍼를 입은 젊은 남성들이 넘쳐나기 시작했다. 왠지 모를 자부심에 찬 눈빛들…. 그들은 고래잡이로 유명했던 도시 울산을 통째로 바꿔 놓기 시작했다. 일자리가 생기니 청년이 몰렸고 그들 주머니에 ‘꽤나 넉넉한’ 돈이 들어오자 결혼해 아이를 낳기 시작했다. 인구가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아이들이 다닐 학교가 생기고 아프면 가야 하는 병원이 지어지고 그들의 주거를 책임질 아파트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울산은 어업 중심의 작은 동네에서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산업 도시가 됐고 1997년 광역시로 승격됐다. 1983년 조선업 세계 1위에 오른 현대중공업이 자리 잡은 결과였다.2023년 3월 찾은 경기도 평택은 오래전 울산과 닮아 있다. 삼성전자가 평택에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를 건설하자 시 전체가 새로운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반도체 사업장 근처로 음식점과 카페가 줄지어 생기고 학교와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다. 평택 토박이들은 지금의 변화를 ‘천지개벽’ 수준이라고 말한다. ‘지역을 살리는 힘은 기업에서 나온다’는 명제를 가장 현실감 있게 느낄 수 있는 곳은 평택이다. 평택의 젊고 활기찬 분위기는 ‘지방 소멸’의 위기에 놓인 다른 지

    2023.03.11 06:00:15

    [르포] 젊은이 몰리는 곳, 직접 가보니[평택(平澤), 산업 도시가 되다①]
  • [르포] “굿바이 내연, 웰컴 친환경”…전기·수소·자율주행이 차지한 서울 모빌리티쇼

    [르포] 2021 서울 모빌리티 쇼내연차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였다. 2년 만에 찾은 서울모터쇼에서 느낀 첫 감상이다. 전동화·친환경·자율주행 추세에 맞춰 어떠한 브랜드도 내연차를 메인으로 내세우지 않았다. 휘발유·경유 차량의 전유물이던 모터쇼는 행사명마저 모빌리티쇼로 바꿔 자동차업계의 화두인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글로벌 브랜드의 친환경 신차 출시 경쟁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신차는 친환경차였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 내연차량의 소식을 듣기는 어려웠다. 이번 행사에는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등 국내 3개 브랜드와 메르세데스-벤츠·BMW·아우디·포르셰·이스즈·마세라티·미니 등 7곳이 참여했다.이들 기업이 공개한 신차는 세계 최초 1종과 아시아 최초 5종을 포함한 24종이었다. 그중 기아가 공개한 친환경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니로에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졌다. 신형 니로는 이번 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 유일한 차량이다. 1세대 출시 후 5년 만에 선보인 새로운 모델이다.송호성 기아 사장은 “신형 니로에는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본질과 친환경 신기술이 집약돼 동급 최고 수준의 연비를 자랑한다”며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실천 의지가 담긴 기아의 대표 친환경 차량”이라고 강조했다.기아는 신형 니로의 하이브리드·전기차 모델을 동시에 공개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내년 1분기, 전기차 모델은 상반기 중 출시할 계획이다. 차량 천장에 재활용 섬유가 사용됐고 도어 패널에는 수성 친환경 페인트가 쓰이는 듯 다양한 친환경 소재가 사용된 것

    2021.12.06 06:00:08

    [르포] “굿바이 내연, 웰컴 친환경”…전기·수소·자율주행이 차지한 서울 모빌리티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