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애플 누른 ‘오일머니’ 사우디 아람코에 얽힌 5가지 팩트

    사우디아라비아의 ‘오일머니’가 힘을 되찾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회사인 사우디 아람코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80% 넘게 급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국제 유가가 고공 행진한 영향이다. 여기에 증산 효과까지 더해져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아람코는 1분기 순이익 395억 달러(약 50조7000억원)를 기록하며 2019년 기업공개(IPO) 이후 최대 규모의 이익을 냈다. 애플에 빼앗겼던 글로벌 시가 총액 1위 자리도 탈환했다. 아람코는 2019년 12월 IPO와 함께 전 세계 시총 1위 기업이 됐지만 2020년 8월 애플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올해 초만 해도 애플의 시총은 한때 3조 달러 선까지 치솟아 아람코를 1조 달러 정도 웃돌았다. 하지만 이후 애플의 시총이 20% 가까이 감소한 반면 아람코의 시총은 약 28% 증가하며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지상 최대 기업의 타이틀을 다시 거머쥔 아람코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재정을 책임진다. 20세기 이후 세계 경제 파워 게임의 역사도 아람코에 녹아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최강 병기 아람코에 얽힌 사실 다섯 가지를 정리했다. .1. 아람코는 원래 미국 기업이다?아람코는 ‘아라비안 아메리칸 석유회사(Arabian American Oil Company)’의 약칭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1933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미국 스탠더드오일이 함께 아람코를 설립했다. 스탠더드오일은 ‘석유왕’ 록펠러가 세운 회사다.설립 후 아람코는 사우디아라비아 지역 내의 대형 유전을 차례로 개발해 짧은 시간에 세계 최대의 석유 회사로 성장했다. 생산 단가가 저렴한 사우디아라비아 원유는 제1·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경제 성장의 원천이

    2022.05.23 06:12:12

    애플 누른 ‘오일머니’ 사우디 아람코에 얽힌 5가지 팩트
  • “글로벌 수요 꾸준히 느는 ‘천연가스’에 투자할 때”

    [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 지난 3월 8일 배럴당 130달러를 돌파한 유가의 추가 상승 제한에도 에너지 섹터(S&P GSCI 하위 지수 기준)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빅스텝(50bp) 금리 인상으로 확대된 글로벌 자산 전반의 변동성 속에서도 상승한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섹터는 종합 원자재지수(S&P GSCI) 강세까지 지지하고 있다.서부텍사스산원유(WTI)와 브렌트유 등 원유가 70%인 에너지 섹터 지수에서 나머지 30%는 경유·휘발유·난방유·천연가스로 구성된다. 미국이 러시아산 에너지(석유·천연가스·석탄) 수입을 전면 금지한 3월 초 이후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할 뿐 연중 고점을 높이지는 못했다. 반면 일부 정유 제품(등·경유)과 천연가스 가격 상승세가 지속돼 2분기에도 에너지 섹터의 강세 시도를 지지하고 있다.유럽의 러시아산 의존도 축소로 수혜 종목으로 떠오른 것은 상승 모멘텀이 강화된 미국 천연가스(Henry Hub) 투자다. 난방 시즌을 지나 4월 이후 재고 증가기에도 100만BTU당 10달러 선을 목표로 하는 미국 천연가스 가격의 장기 강세 전망은 유효하다.고유가 국면 진입 속에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직면하는 석유보다 장기적인 전기화 수혜가 유효한 점 역시 미국 천연가스 시장에 대한 투자 매력으로 판단된다.지난 4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G7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유럽연합(EU)이 합의한 액화천연가스(LNG) 딜 역시 미국 천연가스 수요 확대 전망을 지지한다. 지난 4분기부터 유럽과 아시아 천연가스(LNG 포함) 가격이 급등 후 하향 안정을 시도하는 동안 미국의 천연가스 가격만 홀로 상승세를 지속한 것도 주목된다. 바이든

    2022.05.18 17:30:09

    “글로벌 수요 꾸준히 느는 ‘천연가스’에 투자할 때”
  • [Big Story]“원자재, 자산 배분 효과 커…비철금속 주목해야”

    통상 원자재는 인플레이션 환경을 방어하는 강력한 헤지 수단으로 꼽힌다. 전통적으로 물가 상승이 극심했던 시기마다 실물자산인 원자재의 자산 가치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인플레를 향한 불안감이 짙어지는 요즘, 대표적인 인플레 헤지 자산인 원자재에 주목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는 이유다. 특히 일반 투자자가 도전하기에는 진입장벽이 지나치게 높았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원자재 지수 추종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통한 손쉬운 원자재 투자가 가능한 환경이다.원자재가 인플레 시대에 적합한 투자 자산이라는 데는 이견의 여지가 없지만, 바로 지금이 ‘투자 적기’인지에 대해서는 각 원자재 종류에 따라 시각이 다소 엇갈린다. 국제 시장에서 주요 원자재 자산은 크게 에너지, 비철금속, 농산물 등 세 가지로 나뉘는데,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이후 공급 차질에 대한 불안으로 이들 자산이 이미 큰 폭으로 상승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4월 1일 기준으로 원유 가격은 배럴당 128달러까지 치솟으며 2008년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고, 석탄(159.4%), 니켈(118.9%), 밀(84.9%), 천연가스(78.7%) 등도 지난해 말 대비 70% 이상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원자재 투자는 해당 원자재의 공급과 수요 흐름을 숙지하는 것은 기본이고, 국제 정세를 폭넓게 공부해야 성공할 수 있는 난이도 높은 시장이다. 잘만 이용하면 인플레 시대에 걸맞은 자산 배분 효과를 누릴 수 있지만, 투기적 목적으로 접근했다가는 낭패를 보기 쉬운 어려운 자산이기도 하다. ‘염블리’라는 별명으로 더 익숙한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사를 만나, 현

    2022.04.27 07:00:17

    [Big Story]“원자재, 자산 배분 효과 커…비철금속 주목해야”
  • 유가 고공행진에 수입물가 35.8% 뛰었다…13년 만에 최고

    원유와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지난달 수입물가가 8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대비 상승폭은 13년 만에 가장 컸다. 통상적으로 수입물가가 국내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끼치는 만큼, 조만간 소비자물가도 연달아 오를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10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9월보다 4.8% 상승한 130.43을 기록했다. 이는 2013년 2월(130.83) 이후 8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35.8%로, 지난 2008년 10월(47.1%)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입물가가 크게 오른 것은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9월 두바이유는 배럴당 72.63달러에서 10월 81.61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0.7% 올랐다. 전월과 비교하면 12.4% 증가했다. 또 원재료 품목별로 전월 대비 상승률을 살펴보면, 광산품이 11.1%, 석탄 및 석유제품이 10.8%로 높았다. 최진만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수입물가가 크게 오른 배경에 대해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수입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10월 두바이유 가격은 전월 대비 12.4% 상승했고, 원자재 가격지수(CRB)도 6.5% 올랐다”고 설명했다.수입물가 상승세는 향후 국내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3.2% 오르며 2012년 1월(3.3%) 이후 9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1일 “예상보다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정초원 기자 ccw@hankyung.com 

    2021.11.13 06:00:57

    유가 고공행진에 수입물가 35.8% 뛰었다…13년 만에 최고
  • 국제 유가, 수요 전망치 상향에 상승세[돈이 되는 경제지표]

    [돈이 되는 경제지표] 국제 유가가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 불투명, 원유 수요 전망치 상향 조정에 따라 상승 탄력을 받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14일(현지 시간) 거래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2.97달러(4.9%) 급등한 63.15달러에 마감됐다. WTI 가격이 배럴당 60달러를 넘어 마감된 것은 4월 1일 이후 처음이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국제 벤치마크 브렌트유 6...

    2021.04.20 06:47:01

    국제 유가, 수요 전망치 상향에 상승세[돈이 되는 경제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