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 주장 뚜렷한 요즘 직장인, 토론도 잘할까? [요즘 직장인의 자기개발]
[한경잡앤조이=오종택 인사이터 대표] 2020년 G20 정상회담 폐막식 때 작은 해프닝이 하나 있었다. 미국 오마바 전 대통령이 연설을 마치고 한국 기자들에게 먼저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줬다. 그러나 한국 기자 중 누구도 입을 열지 않았고, 오바마는 ‘한국 기자에게 통역을 준비해 달라’며 다시 한번 기회를 주지만 장내는 여전히 고요했다. 결국 중국 기자가 아시아를 대표해 본인이 먼저 질문해도 되겠냐고 나선다. 오바마는 마지막으로 한국 기자에게 정말 질문이 없는지 되물었지만, 결국 첫 질문은 중국 기자에게 넘어가고 만다.사실 이러한 국제적인 행사에서는 기자들이 너도 나도 질문하려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모습을 많이 봐왔다. 한국 기자들은 먼저 질문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얻었음에도 끝내 질문하지 못했다. 도대체 왜 우리는 사람들 앞에서 먼저 질문하기를 어려워할까.노벨상을 휩쓰는 민족, 유대인유대인은 전세계 인구의 단 0.2%만을 차지하고 있지만 노벨상 수상자 중에선 무려 22%를 차지하는 민족이다. 유대인은 금융, 경제, 법률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펼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유대인의 성공 비결이 그들의 교육법 ‘하브루타’에 있다고 말한다. ‘하브루타’란 히브리어로 ‘친구, 짝’ 등을 의미한다. 교사와 학생 간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이 아닌,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서로 질문을 주고 받고 논쟁하는 토론 교육법이다. 즉, 서로가 서로에게 끊임없이 말하고 생각하며 답을 찾는 방식이다.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주입식 교육’으로, 나의 의견이나 생각보다는 선생님이 가르치는 내용을 잘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혼
2022.09.16 09:0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