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이 불편한 사회'···미래는 '좋은 질문'이 중요해진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호기심은 그 자체만으로도 존재 이유가 있다” 삶에 있어 질문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말했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이들 대부분이 ‘좋은 질문’의 중요성에 공감하지만 정작 질문을 주고받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모습이 나타났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문해력 및 질문력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8%)이 평소 문장을 읽고 뜻을 이해하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고 평가했다. 다만, 응답자의 대다수(83.8%)가 책 말고도 지식을 넓혀주는 다양한 정보 창구가 있다는 데에 공감했는데, 평소 종이 신문을 읽지 않거나(75.3%, 동의율), 책을 거의 읽지 않는(39.9%)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이 결과는 사회 전반적으로 읽기 습관이 잘 잡혀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0대 응답자를 중심으로 종이 신문이나 텍스트 매체로 글을 접하는 비율이 더욱 낮았다. 뉴스도 영상 위주로 소비(10대 29.5%, 20대 10.5%, 30대 5.0%, 40대 5.0%, 50대 8.5%, 60대 7.5%)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주목할 점은 10대 응답자의 경우 문해력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는 생각과는 달리 평소 뉴스 기사를 읽을 때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많고(10대 26.0%, 20대 16.0%, 30대 10.5%, 40대 15.5%, 50대 17.0%, 60대 12.5%),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이 나온다(10대 24.0%, 20대 16.0%, 30대 10.5%, 40대 12.0%, 50대 13.0%, 60대 14.5%)는 응답이 타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1020세대에서는 회의나 토론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일목요연하고 논리적으로 말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자신의 생
2023.08.23 14:38:02
-
[EDITOR's LETTER] 챗GPT 시대, 인공지능은 당신의 질문을 평가한다!
오래전 들은 한 친구의 경험담입니다. 충청남도 어딘가에서 식당에 들렀답니다. 식당 가면 하는 의례적인 질문을 던졌겠지요. "사장님 뭐가 맛있어요?" 보통 김치찌개는 어떻고 제육볶음은 어떻고 해야 하는데 이 식당 주인은 달랐습니다. "집 나와서 먹으면 다 거기서 거기쥬. 아무거나 드세유"라고 답했답니다. 시장에서 물건 값을 깎아 달라고 하면 "에유 냅둬유. 개나 주게"라고 한다는 것과 비슷한 얘기지요. 오늘의 주제는 ‘질문’입니다. 문득 떠오르는 에피소드라 가져와 봤습니다. 질문, 어렵지요. '본질을 묻는다'는 게 질문의 뜻인데 쉽겠습니까.과거 중소기업을 취재할 때 일입니다. 한 사장님을 만났습니다. "노동자로 시작해 매출 수백억원대 회사를 일군 비결이 뭐라고 생각하세요"라고 물었습니다. 그는 "일만 했어요“라고 하고 웃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얘기해 달라고 했더니 ”토요일에도 일하고 일요일에도 일만 생각했어요"라고 답했습니다. 미치는 줄 알았습니다. '기사를 어떻게 쓰라구요….'사업 전환에 성공한 다른 사장님에게도 "비결이 뭡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약간 달랐습니다. "척 보면 알아요." 질문을 돌려서 해도 "한 번 보면 알 수 있어요", "우리는 대번에 알아요"라는 말만 반복했습니다.잘못된 질문이었고, 솔직한 답이었습니다. 경영학자들은 일만 생각한다는 것을 '몰입'이라고 부르고 척 보면 안다는 것은 '직관'이라고 부릅니다. 솔직하게 핵심을 표현한 답이었습니다.이후 질문을 바꿨습니다. 한 회장님과 인터뷰. 그는 응급실에 누워 있다가 왔다고
2023.04.01 06: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