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부모와 대화 많은 자녀 대학 진학률 높다···OO주제로 많이 대화 해야

    자녀가 부모와 학교 또는 전공에 관한 대화를 자주 할수록 자녀의 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5일 황영식 충남대 교육혁신본부 선임연구원과 주영효 경상국립대 부교수는 '고등학생의 고등교육 진학 결정과 전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배경 및 부모 변인을 중심으로'라는 주제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6년 고2 학생을 지난해까지 추적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에 나타난 1,297명 표본을 분석했다. 연구팀이 고등교육 진학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대학 진학률이 높았다. 교과목 내신의 경우 수학 성적이 좋을수록 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국어, 영어 내신은 대학 진학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임금·금융소득이 증가할수록 자녀의 대학 진학 확률은 높아졌다. 또 부모와 학교·학과에 대한 대화를 자주 할수록 대학 진학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진학자만을 대상으로 전공 결정에 미치는 요인을 추가 분석한 결과, 부모의 부동산·금융소득이 높아질수록 자녀는 기타 계열에 비해 자연·공학계열 전공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모와 흥미·적성에 대해 대화가 많을수록 인문·사회나 자연·공학계열보다 기타 계열 전공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고등교육 진학에 영향을 미친 학교·학과 선택에 대한 부모와의 대화는 전공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과거에는 대입 후 부모가 자녀의 진로에 소극적인 관여를 할 가능성이 컸으나 지금은 부모가 대학 진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넘어 구체적인 진로에 이르기까지 개입·영향

    2023.11.05 16:17:16

    부모와 대화 많은 자녀 대학 진학률 높다···OO주제로 많이 대화 해야
  • 일상 속 오가는 무례한 스몰토크,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인생 1회차, 낯설게 하기]

    공감 가는 에세이를 쓰는 한국 소설가가 있다. 에세이가 말하고 있는 의견이 내가 세상에 대해 느끼는 바와 크게 다르지 않아 항상 공감하며 읽고 있다. 그런 그가 소설집 출간 이후 인터뷰에서 ‘한국에서의 스몰토크는 매우 어렵다’고 말한 적이 있다. 정확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극도의 예민함을 지닌 그가 어떤 지점에서 어려워 하는지 짐작이 갔다.업무에서 꽤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게 스몰토크인 사람으로서 주제의 중용을 찾는 게 항상 어렵다고 생각한다. ‘각인각색’이라는 말이 있듯 사람마다 살아온 삶, 예민하게 생각하는 포인트 등등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아마 소설가도 그 지점에서 어려움을 느꼈을 거라고 추측한다. 말을 먼저 거는 입장이든 아니든 말이다.얼마 전 장성규의 워크맨 숏츠가 큰 반응을 얻었다. 중년의 직원에게 “자제분들 나이는” 이라고 묻자 “40대”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그러자 장성규는 크게 놀라며 “20대 초반에 낳으셨냐”고 되물었다. 영상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동안 관련된 언급이 자주 등장했고, 말미에 가서야 그 말이 “뻥”이며 직원들 모두 미혼임이 드러났다. 영상의 반응은 직원의 ‘쿨함’을 칭찬하는 반응과 장성규의 편견을 지적하는 반응으로 크게 나뉘었다. 나는 직원분이 인생에서 저런 질문을 얼마나 많이 받았으면 자동적으로 반응이 튀어나올까, 하는 호기심이 들었다. 주말마다 동네 농원에서 일을 도운 적이 있다. 손님들은 주로 은퇴 후 텃밭을 꾸리거나 평생 농업에 종사해온 ‘어르신’들이 대부분이었다. 도시 텃밭의 한두 구좌를 얻어 농사를 이제 막 시작하는 젊은이들도 있었다. 나는 모든 손님들을 편의상 ‘아버지’나 ‘어

    2023.05.23 11:09:17

    일상 속 오가는 무례한 스몰토크,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인생 1회차, 낯설게 하기]
  • 가족과 대화, 응답자의 65% “하루 한 시간 채 안 돼”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응답자 1242명으로 대상으로 ‘가족 간 대화 실태’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특별히 영유아 식품 전문기업인 아이배냇과 함께 했다.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가족과 얼굴을 마주 보고 대화하는 주기는 얼마나 되는지 물어봤다.‘매일(50.7%)’ 한다는 응답자가 절반 정도였다. 이어서 ‘주 1~2회(22.2%)’, ‘주 5~6회(14.4%)’, ‘주 3~4회(12.7%)’ 순이었다.그렇다면, 가족과 하루 중 대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응답자의 65.3%는 하루 한 시간이 채 안 된다고 했다. 이를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가족과 같이 사는지, 따로 떨어져 사는지를 분류한 후 같이 사는 경우는 오프라인(대면) 대화를, 떨어져서 사는 경우에는 온라인(메신저, 일반 통화, 영상 통화 등)으로 하루 중 소통을 얼마나 하는지 물어봤다.현재, 가족과 함께 사는 응답자 가운데 10명 중 3명은 ‘30분 이상 한 시간 미만(30.2%)’을 꼽았다. 그다음 ‘30분 미만(29.2%)’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약 60%는 하루 중 가족과의 대화 시간이 한 시간 채 안 된다고 한 것이다.가족과 떨어져 사는 응답자들의 대화 시간은 더 짧았다. ‘한 시간 미만’이라고 한 응답자는 89.2%, 하루 한 시간 이상 소통한다고 한 이들은 10명 중 1명(10.8%) 정도에 불과했다.국내 커뮤니티를 살펴보면 ‘가족 단톡방’을 주제로 한 글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가족 단톡방을 꼭 개설해야 하는지, 친척 포함 대가족 단톡방에 초대받았는데 꼭 참여해야 하는지, 가족 단톡방의 장단점은 무엇인지 등 여러 사람의 고민거리와 질문들을 접할 수 있다.현재, 가족 단톡방이 있는지, 있다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전체 응답자에게 물어봤

    2023.05.09 09:35:37

    가족과 대화, 응답자의 65% “하루 한 시간 채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