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금리인상 7월 이후 중단될 것”
“미국 연방준비제도준(Fed)가 추가 금리인상을 주장할 명분이 사라졌다.”제임스 고먼 모간스탠리 최고경영자(CEO)는 18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과 관련해 이같은 전망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완화됨에 따라 연준의 금리인상 당위성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며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끝으로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앞서 미국 노동부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3.0% 올랐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2021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시장 예상치 3.1%도 밑돌았다.아울러 연준이 중시하는 근원 CPI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8% 오르는 데 그치면서 시장 예상치 5.0%를 하회했다.이런 정황을 고려했을 때 향후 연준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고먼 CEO가 내놓은 분석이다.그는 “연준이 현재 수준의 금리를 올해 내내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2024년 전까지는 연준의 금리인하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또한 그는 “투자자들은 연준이 다음으로 예정된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것이 2023년의 마지막 인상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이날 시장 관계자들의 금리인상 전망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의 7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99%로 나타났다.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14%로 집계돼 낮은 수치를 보였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7.19 14:23:00
-
“우리는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다”...미국 기준금리 16년만에 최고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 우리는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3일(현지시간) 열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하며 이같이 밝혔다.당분간 금리인하 전환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한 것이다. 이날 Fed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현재 4.75∼5.00%인 미국 기준금리는 5.00∼5.25%가 됐다.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이 됐다.파월 의장은 금리 동결 여부에 관한 질문에 “동결에 관한 결정은 오늘 내려지지 않았다”며 앞으로 FOMC 회의 때마다 미래의 경제 데이터에 기반해 금리를 정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파월 의장은 “우리 (FOMC)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 해소에) 시간이 걸릴 것이며 그러한 관측이 대체로 맞다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 우리는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당초 시장에서는 이번 인상을 끝으로 Fed가 금리를 동결하는 것은 넘어 연내 향후 금리인하를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투자자들의 기대와 상반되는 발언을 하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하락 전환 후 마감했다.파월 의장은 “비주거 서비스 부문의 수요와 노동시장이 지금보다 더 약화돼면 금리인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다만 파월 의장은 “더욱 제약적인 통화정책이 타당하다면 우리는 더 많은 일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상황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도 가능하다고 언급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5.04 07:5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