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1조4천억 달러’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 노리는 국내 기업들···올해 승부수 띄운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최근 정부가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마련, 시행한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5년간 ▲블록버스터급(연매출 1조원 이상) 신약 창출, ▲글로벌 50대 제약사(연매출 약 3조원 이상) 3개 ▲의약품 수출 2배(160억 달러) ▲제약바이오 산업 양질의 일자리 누적 15만개 창출,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등을 달성할 계획으로 알려져 시장 확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전 세계 제약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1조4200억 달러에 달하며, 국내 시장은 193억 6800만 달러(한화 약 25조 4000억 원) 규모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공격적인 신약 개발을 통한 파이프라인 확대는 물론, 항암제에 특화된 임상시험 솔루션 개발 등 고도의 기술을 향상시키면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종근당, 1628억원 투자해 파이프라인 87개로 확대···파이프라인 강화해 글로벌 거점 확대종근당은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를 늘려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는 등 신약 개발에 속도를 높이면서 글로벌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종근당은 2021년 매출액의 12.2%인 1628억원을 투자해 파이프라인을 2년 새 56개에서 87개로 31개 확대했다. 지난해 국내에서 승인받은 임상도 총 21건으로 5년 연속 최다 1위를 기록했다.종근당이 개발 중인 주요 품목으로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CKD-506’, 샤르코-마리-투스(CMT) 치료제 ‘CKD-510’ 등이 있다. CKD-506은 HDAC6를 억제해 염증을 감소시키고 면역을 조절하는 T세포의 기능을 강화해 면역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새로운 작용기전의 치료제로, 현재 유럽 임상2상 단계에 있다. CMT 치료제인 CKD-510은 유럽에서 임상 2상을 준비하며

    2023.04.05 14:49:36

    ‘1조4천억 달러’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 노리는 국내 기업들···올해 승부수 띄운다
  • 글로벌 시장 공략할 스타트업, 서울대서 키운다···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 입주기업 모집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서울대학교와 관악구청이 ‘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 입주기업 모집 경진대회’를 진행한다. 이번 모집은 예비~창업 3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은 2020년 6월 입주기업 선발 경진대회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 기업을 선발하고 있다. 현재까지 66개 스타트업(현재 34개 입주 중, 32개 기업 졸업)들을 발굴했고, 입주기업들은 누적 650억 원의 투자 유치, 80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이번 모집규모는 총 4팀으로, 모집대상은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예비)창업팀 또는 창업 3년 이내 기업이다. 모집기간은 다음달 3일까지이며. AI, 빅데이터, 로봇, 핀테크, 블록체인, 바이오테크 등 혁신기술 관련 아이템을 우대한다.입주기업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소재 ‘창업HERE-RO’거점센터에 입주해 △창업공간 무상 제공 △서울대학교 교수 및 연구진 기술 연계 △수요 맞춤형 컨설팅 및 네트워킹 지원 △데모데이 운영을 통한 투자 유치 지원 및 상시 투자자 연계 지원 △사업단 홍보 채널을 통한 입주기업 홍보 등의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다.김태완 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 단장은 “이번 모집은 초기 기업 중 우수한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진행된다”며 “글로벌 혁신 기술 관련 스타트업을 비롯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력 있는 스타트업의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khm@hankyung.com 

    2022.10.21 16:26:48

    글로벌 시장 공략할 스타트업, 서울대서 키운다···서울대학교 캠퍼스타운 입주기업 모집
  • 후불결제, 글로벌 시장 주도할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이커머스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자 온라인 플랫폼에 익숙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결제 시스템이 글로벌 시장에서 이목을 끌고 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저렴하고 편리한 후불결제를 선택할 여지가 커지면서 이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물건을 먼저 구입하고 결제는 나중에 한다.”신용카드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신용등급 조회 심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선구매 후결제’ 방식의 후불결제 즉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가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후불결제는 신용카드 발급이 엄격하고 할부 결제가 활성화되지 않은 국가인 유럽, 호주, 미국으로 시장이 확장돼 있다.핀테크 분야의 고성장 영역 급부상…M&A도 활발BNPL이 핀테크 분야에서 새로운 고성장 영역으로 급부상하면서 글로벌 인수·합병(M&A)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후불결제 서비스를 가장 먼저 도입한 호주의 경우 급여는 월급 개념이 아닌 2주마다 급여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같은 방식에 착안해 격주로 무이자 할부가 가능한 후불결제 기업 ‘애프터페이’가 2014년에 처음으로 설립됐고 호주의 대표 BNPL사로 급성장했다.최근 미국 온라인 결제 서비스 기업 ‘스퀘어’가 ‘애프터페이’를 290억 달러(약 34조 원)에 인수하면서 후불결제 서비스가 글로벌 결제 시장 전체의 판도를 바꿀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대표 BNPL사인 ‘어펌’을 미국 이커머스 2위 업체 ‘쇼피파이’가 인수할 가능성이 제기되

    2021.08.31 10:00:01

    후불결제, 글로벌 시장 주도할까
  • [영상 뉴스] 점점 커져가는 ‘에듀테크 플랫폼’ 시장, 글로벌 시장 3420억 달러 전망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수업이 실시되면서 ‘에듀테크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어요.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2018년 대비 2025년 2배 이상 증가한 3420억 달러가 될 것으로 보여요.에듀테크란 교육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한 것인데요, 기존 IT 기업들도 뛰어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에듀테크 플레이어들이 증가하고 있어요.웅진씽크빅, 교원그룹 등 교육 시장에서 오랜 노하우를 가진 교육 기업들은 코로나 이전부터 에듀테크 관련 투자를 해왔으며, 시장 침투율도 빠른 편이에요.주식 시장에서도 삼성출판사, 캐리소프트 등 에듀테크 관련주가 주목받고 있어요.에듀테크 열풍에 스타트업계도 합류했어요. 스타트업 매스프레소의 ‘콴다’ 문제 풀이 서비스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죠.집에서도 무너진 공부 습관을 다시 기를 수 있는 도우미 역할을 하는거죠. 시장은 에듀테크가 코로나 사태로 벌어진 학생들 간 학습 격차를 해소할 환경을 제공한다고 보고있어요.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1.06.09 14:00:03

    [영상 뉴스] 점점 커져가는 ‘에듀테크 플랫폼’ 시장, 글로벌 시장 3420억 달러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