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상승이냐 하락이냐” 2023년 환율, 예측해 보니[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2023년 토끼의 해인 계묘년을 맞은 연초에 각종 예측이 또다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얼마나 믿어야 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에 빠져 있는 것이 요즘 경제 주체들의 현실이다. 신년을 맞아 경기·금리·주가·환율 등 네 분야에서 어떻게 예측해야 할지, 그 방법을 제시한다. 넷째 주제인 환율 예측 방법을 다룬다. <편집자 주> 한 나라의 경제 발전 단계와 재테크 수단을 연관시키다 보면 경제 발전 단계 초기에는 주식이 관심을 받고 금융 상품·부동산·채권 순으로 높은 수익률을 얻는 것이 정형화된 사실이다. 문제는 경제 발전 단계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고 경제 시스템이 갖춰지다 보면 재테크 수단 간 평균 수익률이 비슷해진다는 점이다. 특정국이 이 단계에 도달하면 자금이 경제 전반에 골고루 분산돼 균형된 경제 발전이 가능해진다. 이럴 때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재테크 수단은 바로 ‘환테크’다.    환율, 나라의 경제 실상 반영하는 얼굴한국도 환테크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하루 환율 변동 폭이 해가 지날수록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도적으로도 이미 개인들이 해외 주식과 부동산 그리고 각종 글로벌 투자 상품에 가입할 때 모든 규제가 철폐돼 원칙적으로 자유로운 가운데 실제로 주식과 부동산을 중심으로 해외 투자도 많이 하고 있다. 그만큼 환율 움직임도 이제는 재테크의 필요한 지식이 됐다.이론적으로 환율은 ‘그 나라의 경제 실상을 반영하는 얼굴’이라고 부른다. 그런 만큼 실로 많은 변수가 환율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대체로 한국 경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한 요인이 발생하면 원‧달러 환율이

    2023.01.03 06:00:01

    “상승이냐 하락이냐” 2023년 환율, 예측해 보니[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 [big story]기업, 환율 리스크에 근심 커졌다

    최근 11호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할퀸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가운데, 환율 리스크가 수출입 기업들을 강타하면서 대한민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역대급 태풍으로 발전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 주요국의 원자재 수출 규제 등 국제 정세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원자재 가격과 원화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시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변동 폭이 확대되고 있다. 2021년 평균 대비 에너지 가격은 올해 7월 기준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금속 가격은 전체적으로 하락했고, 곡물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300원대를 돌파하면서 큰 폭으로 상승해 9월 현재 1400원 선을 넘어섰다.  국제 원자재 가격의 변동요인은 품목별로 다양하지만, 원자재 전반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가격상승을 주도하는 요인으로는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러·우 전쟁으로 원자재 공급이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 유발 △세계 경제 둔화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조치에 따른 원자재 수요감소 등이다. 원화 환율의 변동 요인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고, 세계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됨에 따라 원화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 우리나라 국제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원화 가치의 하락을 가속화하고 있다.국내 기업, 국제유가와 환율 영향 크게 받아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 경기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제유가와

    2022.09.26 10:10:05

    [big story]기업, 환율 리스크에 근심 커졌다
  • 환율, 13년 4개월만에 최고치... 장중 1340원 돌파

    원·달러 환율이 13년 4개월 만에 1330원을 돌파해 개장한 뒤 1340원선까지 넘어섰다.8월 2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1시 51분 기준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4.1원 오른 달러당 1340.0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9.6원 오른 달러당 1335.5원에 개장 후 오름세를 지속하다 오후 들어 1340원대를 넘어섰다.환율이 1340원을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5원)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최근 달러 강세가 이어진 데 따라 환율은 지난 6월 23일 1300원대에 올라섰고, 지난달 6일과 15일 각각 1310원, 1320원을 차례로 깨며 고점을 높여왔다.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2022.08.22 15:24:26

    환율, 13년 4개월만에 최고치... 장중 1340원 돌파
  • 고개 드는 ‘제2 외환 위기설’…새 외교 정책으로 대응 필수[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읽기]

    [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읽기]원‧달러 환율이 최근 달러당 1250원을 넘으며 더욱 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은 2분기가 가장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수준이 한 단계 더 뛸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것이 현재 대내외 외환 시장의 상황이다.갑작스러운 출구 전략에 원·달러 환율 흔들달러 가치는 머큐리(펀더멘털) 요인과 마스(정책)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지난해 4월 이후의 달러 강세는 머큐리 요인에 의해 비롯됐다. 지난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5.7%로 유로 5.2%, 일본 1.6%, 한국의 4%보다 높았다. 격차가 줄어들 수 있지만 올해도 이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올해의 달러 강세는 마스 요인에 의한 것이 더 크다. 뒤늦게 인플레이션의 심각성을 인식한 미국 중앙은행(Fed)이 출구 전략(테이퍼링→금리 인상→양적 긴축)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 위기 이후의 출구 전략 추진 과정을 보면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을 처음 언급한 후 양적 긴축까지 4년이 넘게 걸렸지만 이번에는 7개월로 줄었다.Fed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에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이 우려되는 현재, 달러 가치와 원‧달러 환율이 가장 불안한 시기다. 특히 한국처럼 외환 위기에 대한 낙인 효과가 있는 여건에서는 외국인 자금의 대거 이탈에 편승해 고질적인 ‘제2 외환 위기’에 대한 우려까지 커진다.조 바이든 정부가 출범한 지도 1년 6개월이 지났다. 바이든 정부의 경제 정책인 ‘바이드노믹스’의 총체적인 기조는 ‘미국의 재건’이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 시절 당시 크게 손상된 국제 위상과 주도권의 반작용에서 나온 경제 정책이다. 한마

    2022.06.03 06:00:15

    고개 드는 ‘제2 외환 위기설’…새 외교 정책으로 대응 필수[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읽기]
  • 원·달러 환율 급등, ‘제2의 외환 위기론’ 모락모락[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읽기]

    [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읽기]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260원마저 넘어섰다. 올해 원?달러 환율은 4월이 가장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대로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예상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한 단계 더 높아질 것처럼 보인다. 美 출구 전략에 출렁이는 원·달러 환율원?달러 환율의 최근 급등은 원화 약세보다 달러 강세에 기인한다. 1년 전 미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온 인플레이션 쇼크 이후 달러 인덱스는 14%, 원·달러 환율은 15% 올랐다. 전 세계 통화 중 달러 가치가 유일하게 약세를 보인 통화는 중국 위안화뿐이다.달러 가치는 머큐리(펀더멘털) 요인과 마스(정책) 요인으로 결정된다. 지난해 4월 이후의 달러 강세는 머큐리 요인에서 비롯됐다. 지난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5.7%다. 유럽(5.2%), 한국(4%), 일본(1.6%)보다 높았다. 격차가 줄어들 수 있지만 올해도 이 추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반면 올해의 달러 강세는 머큐리가 아닌 마스 요인에 의해서다. 인플레이션의 심각성을 뒤늦게 인식한 미국 중앙은행(Fed)이 ‘테이퍼링→금리 인상→양적 긴축’이라는 출구 전략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 위기 이후의 출구 전략 추진 과정을 보면 테이퍼링을 처음 언급한 후 양적 긴축까지 4년이 넘게 걸렸다. 하지만 이번에는 7개월로 단축될 수 있다.Fed가 성장 훼손과 같은 부작용을 우려하면서도 급진적 출구 전략을 추진하는 이유는 위험 수위를 넘은 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이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지난 3월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인 8.9%는 목표선인 2%를 4배 이상 웃돈다. 질적으로도 생활 물가 중심으로 올라 미국인이 느끼는 경제 고통은 대공황 이후

    2022.05.06 17:29:01

    원·달러 환율 급등, ‘제2의 외환 위기론’ 모락모락[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