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연금개미 잡아라" 은행권, ETF 시장 진출 러시

    최근 시중은행들이 퇴직연금 가입자들을 겨냥한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출시하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그동안 ETF 투자는 증권사를 통해서만 가능했지만 은행도 취급할수 있게 되면서 시중은행들이 퇴직연금ETF로 본격적인 몸풀기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1일 확정기여형 퇴직연금(DC)과 개인형 퇴직연금(IRP) 가입고객이 상장지수펀드(EFT)을 운용 할 수 있는 퇴직연금 ETF 상품을 출시했다. 기존 퇴직연금 상품 라인업에 ETF를 추가한 것이다. 신한은행 퇴직연금 DC·개인형IRP 가입 고객은 신한 쏠(SOL) 퇴직연금 플랫폼인 ‘나의 퇴직연금’을 통해 ETF상품 운용이 가능해진다. 신한은행은 AI(인공지능) 기반 ‘투자고수 따라하기’ 플랫폼에도 ETF 관련 서비스 도 추가할 예정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DC)과 개인형 퇴직연금(IRP) 가입자들이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할 수 있는 '퇴직연금 ETF'를 내놨다. 이 상품은 스마트폰뱅킹 대표 브랜드인 하나원큐 앱을 통해 퇴직연금 자산을 ETF, 예금, 펀드 등으로 손쉽게 리밸런싱 할 수 있다. 증권사와 동일하게 ETF 투자시 발생하는 추가 수수료도 없앴다. 하나은행은 연금자산관리 목표인 장기 수익률 개선을 위해 투자기간과 투자성향을 고려한 유형별 모델 포트폴리오, 타깃데이트펀드(TDF), 로보어드바이저 '하이로보'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 제공에 주력하고 있다. 이외에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연내 퇴직연금 ETF 출시를 위한 전산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처럼 시중은행들이 퇴직연금ETF로 시장 진출에 적극 대응하는 배경에는 최근 증권사로

    2021.12.04 15:09:59

    "연금개미 잡아라" 은행권, ETF 시장 진출 러시
  • 은행권, 고객 맞춤형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속속'

    국민은행, 은퇴자산관리 위한 'KB골든라이프 세미나' 개최KB국민은행이 개최한 ‘KB골든라이프 은퇴자산관리 세미나’는 KB국민은행 자산관리 전문 유튜브 채널 ‘여의도 5번 출구’를 통해 은퇴자산관리 주요 분야별 핵심 내용을 전문가와 함께 학습하고 퀴즈로 풀어보는 쌍방향 강의 및 퀴즈쇼 프로그램이다. 지난해부터 매월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깊이 있는 정보와 친절한 설명으로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이번 세미나에서는 이호용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세무사와 함께 ‘2022년 세금 이슈 한번에 정리하기’를 주제로 양도소득세,상속·증여세 등 주요 세목별 개정 내용과 절세 전략 등을 전달할 예정이다. 강의 내용 중 핵심 사항에 대한 퀴즈 출제를 통해 참석자들의 집중력을 높이고, 퀴즈 정답자 중 추첨을 통해 디저트 쿠폰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할 계획이다.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은퇴자산관리 세미나와 더불어 중장년층을 위한 건강관리, 다양한 여가 활동 지원을 위해 KB골든라이프X 웹페이지를 운영 중이다”며 “11월 30일까지 신규 가입고객 대상 100% 경품 당첨 이벤트도 진행 중이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기업은행, 마이데이터 기반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본격화IBK기업은행은 마이데이터 기반 개인자산관리 서비스인 ‘i-ONE 자산관리’를 출시한다.  ‘i-ONE 자산관리’는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로 소비패턴 분석,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신용점수 관리, 부동산 시세정보, 청약 컨설팅, 미래연금 예측 등 생활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또 숨겨진 정부지원금 찾기, 재직이력을 활용한 맞

    2021.11.26 09:30:35

    은행권, 고객 맞춤형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속속'
  • 하나은행, 은행권 최초 '퇴직연금 ETF' 출시

    하나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과 개인형퇴직연금(IRP) 가입자들이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할 수 있는 '퇴직연금 ETF'를 출시했다. 그동안 퇴직연금 ETF 투자는 증권사에서만 가능했지만, 하나은행이 '퇴직연금 ETF'를 출시함으로써 은행에서도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ETF 투자가 가능하게 됐다. 이로써 퇴직연금 자산의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해졌다. 특히, 하나은행의 스마트폰 뱅킹 대표 브랜드인 하나원큐 앱을 통해 퇴직연금 자산을 ETF, 예금, 펀드 등으로 손쉽게 리밸런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증권사와 동일하게 ETF 투자 시 발생하는 추가 수수료도 없다.하나은행은 연금 자산관리 목표인 장기 수익률 개선을 위해 투자 기간과 투자 성향을 고려한 △유형별 모델 포트폴리오 △타깃데이트펀드(TDF) △로보어드바이저 ‘하이로보’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은행의 IRP는 은행권 최상위 수준의 수익률을 시현하고 있다.이외에도 하나은행 연금손님관리센터에서는 전화 상담을 통해 제공하는 ‘세무 상담 서비스’와 손님의 노후 자산관리를 위해 연금 전문가가 직접 찾아가는 ‘대면 컨설팅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익률 개선 등 퇴직연금 자산관리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다.김미숙 하나은행 연금사업단장은 “퇴직연금 ETF 출시를 통해 다양한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구성과 함께 수익률 관리도 가능해졌다”며 “손님들에게 더 나은 수익률로 보답하는 퇴직연금 1등 은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 

    2021.11.26 09:30:02

    하나은행, 은행권 최초 '퇴직연금 ETF'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