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15만 명 해고됐는데 ‘완전 고용’?…미 노동 시장에 무슨 일이

    [비즈니스 포커스] #1. 미국 빅 테크 기업들의 해고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아마존·메타·트위터 등의 대규모 정리 해고에 이어 1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S)도 추가로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MS는 지난해 이미 1800여 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올해는 인력 감축 규모가 더욱 크다. MS 전체 직원(약 22만 명)의 약 5%에 해당하는 1만1000명 규모다. 테크 기업뿐만이 아니다.#2. 미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미국 실업률은 3.5%. 직전 달인 11월과 비교해도 0.1%포인트 낮아졌다. 1960년대 후반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사실상 ‘완전 고용 상태’다. 현재 미국 고용 시장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노동력 부족(labour shortage)’이다. 일자리는 넘쳐 나는 데 일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얘기다.한쪽에서는 이렇듯 ‘감원 칼바람’이 매섭기만 한데 또 다른 한쪽에서는 기업들이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가라앉을 때는 실업률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금리 인상 여파로 미국 내 주요 기업들의 인력 감축이 본격화하고 있지만 미국의 고용 시장은 여전히 뜨겁기만 하다. 경기와 고용이 따로 노는 이 상황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최근 미국 고용 시장의 가장 큰 수수께끼다.골디락스 vs 잡풀 다운턴, 미 실업률에 불붙은 논쟁미국이 금리 인상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표 두 가지를 꼽으면 ‘소비자 물가’와 ‘고용 지표’다. ‘인플레이션 파이터’를 자처하고 있는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의 목표는 인플레이션을 2%대로 낮추는 것이다.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가장 자주 활용되는 경제 지표는

    2023.02.02 06:00:10

    15만 명 해고됐는데 ‘완전 고용’?…미 노동 시장에 무슨 일이
  • 25년 만에 '골디락스 장세' 올까

    1990년대 후반 신경제 신화를 낳았던 빌 클린턴 정부 시절 이후 25년 만에 미국 경제를 두고 공식적으로 ‘골디락스’라는 용어가 나왔다. ‘숲속을 가던 배고픈 소녀가 곰이 차려 놓은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음식을 맛있게 먹었다’는 영국의 전래동화에서 유래된 골디락스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이보다 좋아질 수 없는 이상적인 국면을 말한다.지난해 말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왔던 미국 경제가 계묘년 새해 들어 갑작스럽게 골디락스 용어가 나온 것은 매월 초에 발표되는 고용지표 때문이다. 경기 침체 우려는 지난해 12월 실업률이 3.5%로 낮게 나와 완화됐다. 실업률 3.5∼3.7%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추정하는 완전고용 수준이다. 인플레이션 우려도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비 감소세를 보임에 따라 완화되고 있다. 이제 마지막 남은 것은 서비스 분야의 임금과 물가 간 악순환(wage-price spiral) 고리가 차단되느냐 여부다. 임금을 제외하고는 인플레를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 항목의 물가가 하락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임금과 물가 간 악순환은 기대인플레이션을 바탕으로 임금이 오르면 기업이 제품 가격에 전가시키고 이에 근로자들이 임금 인상을 다시 요구하면 물가 상승이 본격화된다는 이론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도 소비자물가가 1%포인트 오르면 임금 상승률이 4분기 시차를 두고 0.3∼0.4%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부터 주식 투자자들의 기대를 한층 부풀게 하고 있는 골디락스 장세가 실제로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은 최근과 같은 상황이 닥쳤을 때 Fed의 통화정책이 어디에 우선

    2023.01.26 17:29:48

    25년 만에 '골디락스 장세' 올까
  • [숫자로 보는 경제]세수 50조 늘었지만 나라살림 적자 100조 육박

     100조 적자 지난해 11월까지 나라 살림 적자 규모가 100조원에 육박했다. 세수가 1년 전보다 50조원 늘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취약 계층 지원과 소상공인 손실 보전 등에 정부 지출이 늘면서 적자 폭을 키웠다. 재정 적자가 쌓이면서 국가 채무도 지속적으로 늘어 1040조원을 돌파한 가운데 외국인의 국고채 보유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월간 재정 동향을 1월 12일 발표했다. 지난해 1∼11월 총수입은 571조6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7조7000억원 늘었다. 그중 국세 수입이 373조6000억원으로 50조2000억원 증가했다. 근로소득세·종합소득세를 중심으로 소득세가 15조원 더 걷혔다.기업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법인세가 32조6000억원, 소비·수입 증가로 부가 가치세가 7조8000억원 각각 더 늘었다. 세외 수입은 27조4000억원으로 1조4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기금 수입은 자산 운용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조원 줄어든 170조5000억원이었다.지난해 1∼11월 총지출은 622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76조2000억원 증가했다. 지출이 수입보다 많으면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 재정 수지는 50조8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적자 규모가 28조5000억원 늘었다. 2년→3년정부가 일시적 2주택 특례 요건 중 종전 주택 처분 기한을 2년에서 3년으로 늘린다. 이사 등 사정으로 일시적 2주택자가 된 사람이 신규 주택을 취득한 뒤 3년 내 종전 주택을 팔면 양도세·취득세·종합부동산세 관련 1가구 1주택 혜택을 받는다. 지역도 관계없다. 이 조치는 1월 12일부터 적용됐다. 지금까지는 일시적 2주택자가 기존 주택 1채를 보유한 상태에서 신

    2023.01.16 07:00:02

    [숫자로 보는 경제]세수 50조 늘었지만 나라살림 적자 100조 육박
  • 하반기 골디락스 증시가 기대되는 이유

    [머니 인사이트]올해 하반기 주식 시장은 ‘골디락스 증시’가 기대된다. 골디락스 증시는 골디락스 경제에서 나온 말이다. 경제가 인플레이션이 부담될 만큼 과열되지 않고 경기 침체를 우려할 만큼 냉각되지도 않은 상태를 골디락스에 비유해 골디락스 경제라고 부른다.골디락스 증시는 주식 시장에 인플레이션 부담이 없으면서 기업 실적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뜻한다.글로벌 증시는 지난 2분기부터 미국 장기채 금리가 안정되고 주요국을 중심으로 좋은 실적 전망이 나오면서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올 하반기 골디락스 증시가 기대되는 이유다.내년에도 성장 지속할 산업에 관심 가져야과거 금융 위기 이후 2011년 기저 효과가 소멸되면서 미국 장기채 금리가 하락하며 안정을 찾았다. 이번 물가 지표에 존재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기저 효과의 저점은 지난해 5월이었다. 지난해 6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물가의 기저 효과는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올해 초 블루웨이브(민주당이 대선과 상·하원 선거에서 모두 승리)에 따른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미 채권 금리 우려가 높았다. 하지만 6월 24일 미 상원이 953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예산안에 잠정 합의했다. 당초 기대했던 2조 달러 이상의 인프라 투자와는 거리가 상당한 규모로 축소됐다.이처럼 인프라 투자 규모가 크게 축소되자 미 채권 시장의 수급 부담이 크게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반기 미 장기채 금리의 급등 원인(기저 효과, 인프라 투자 확대 우려 등)이 대부분 소멸되면서 미 채권 금리는 안정을 찾고 있다.한편 한국 국채 금리는 미국과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2021.07.16 06:15:01

    하반기 골디락스 증시가 기대되는 이유
  • 하반기 ‘골디락스’ 증시 전망 속 투자 포인트[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

    [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올해 하반기 글로벌 증시는 골디락스 경제 국면에서 완만한 속도로 추세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국 전반적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부정적 충격으로 후퇴했던 국내총생산(GDP)이 올해부터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산업 활동 재개와 경기 회복으로 글로벌 교역량이 빠른 속도로 반등하고 있다. 상반기 물가에 존재했던 기저 효과가 하반기 이후 소멸되면서 적당한 수준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백신 보급으로 고용 지표 개선이 이어지고 소비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기업의 실적 측면에서도 주요국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충격을 털어내며 회복과 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당히 양호했던 1분기 실적 시즌을 지나면서 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고 있고 12개월 선행 이익 조정 비율 등 이익 모멘텀 지표 또한 양(+)의 방향으로 유지되면서 좋은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다.한국과 대만 등 신흥국의 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폭이 두드러진 가운데 유럽 주요국과 일본·미국 등 선진국 역시 꾸준히 상향 조정되며 긍정적인 모습이다.더욱 중요한 것은 주요국의 12개월 선행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추세적 반등 국면에 자리하면서 한 단계 레벨업 됐다는 점이다. 증시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통해 증시의 추가 상승 여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과거 글로벌 금융 위기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을 겪었다. 금융 위기 직후 기업 이익 전망치가 급락했지만 저점에서 빠르게 반등하면서 증시의 1차 상승 동력을 이끌어 냈다. 이후 기업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ROE의 추세적인 상승 국면에 진입했고 증

    2021.06.20 06:16:01

    하반기 ‘골디락스’ 증시 전망 속 투자 포인트[베스트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
  • 주가 재상승·유동성 숙취 극복, ‘트리플 Re’에 달렸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분석]“목적지에 거의 다 왔다(We are almost there).”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팬데믹(세계적 유행)으로 선언한 이후 1년 만에 종료 가능성을 시사한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르세기센터 소장의 발언이다.지난 1년 동안 ‘잃어버린 시간’이라고 부를 만큼 모든 세계인이 겪은 고통과 두려움을 고려하면 가장 기다렸던 격문이다.세계 경제, ‘격리’에서 ‘연계’ 체제로 이행 예상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파우치 소장의 발언으로 세계 경제와 증시는 단순히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복귀되는 이상으로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19는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유일한 대처 방안이 ‘격리’였던 점을 감안하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 세계 경제는 ‘연계’ 체제로 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코로나19 백신 보급 속도를 감안해 가장 최근 발표한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중간 전망을 보면 올해 세계 경제는 5.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12월 내놓았던 4.2%와 비교하면 3개월 만에 1.4%포인트를 상향 조정된 것이어서 ‘성장률 서프라이즈’ 수준에 해당한다. 금융 위기와 달리 경제 시스템에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올해 국별 성장률이 코로나19 백신을 자체 개발하고 얼마나 빨리 보급하느냐에 따라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주도로 가장 빨리 경제 활동을 재개하고 백신을 개발해 보급한 중국 경제는 지난해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세를 보인 데 이어 올해

    2021.03.25 07:26:14

    주가 재상승·유동성 숙취 극복, ‘트리플 Re’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