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이접기 주름 응용, 패션史에 신선한 혁명[류서영의 명품 이야기]
이세이미야케 ③이세이 미야케는 1993년 ‘플리츠 플리즈(Pleats Please)’를 출시하며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세계적인 디자이너 반열에 올랐다. 그는 일본 전통의 종이접기(오리가미)를 이용한 플리츠(주름)를 패션 디자인에 응용했고 이는 실험적이었다.현재까지 플리츠 플리즈는 패션 역사에 신선한 혁명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세이 미야케는 ‘옷을 입는 사람들에게 자유를 주고자 했고 인체를 가장 아름답게 표현하려는 방법을 찾고자 했으며 그 방법은 최소한의 재단으로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을 패션 철학으로 생각했다. ‘플리츠 플리즈’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해 섬세한 아코디언 모양의 주름을 30톤의 압력과 열처리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1970년대 미야케 디자인 스튜디오(MDS)를 함께 열었던 소재 감독인 마키코 미나가와와 일본 텍스타일 공장과의 오랜 협업의 결과이기도 하다. 자르고, 열을 가하고, 누르고, 태우고, 용액에 담그는 등 30년 동안이나 옷과 소재에 대한 실험을 계속했다. 이런 이세이 미야케의 행보는 아티스트로서의 한 특징적인 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플리츠 플리즈로 아방가르드 반열 올라‘플리츠 플리즈’ 라인은 구김이 없이 일상생활에서 편하게 입을 수 있고 대부분의 의상들은 단추·지퍼·스냅 등이 없이 디자인됐고 가볍고 세탁이 편리하며 활동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또한 가벼우면서 구김이 없어 여행할 때 돌돌 말아 가방에 구겨 넣고 다녀도 불편함이 없고(사진①) 패셔너블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었다.몸판에 절개가 있거나 소매가 조이거나 허리선이 잘룩하게 들어가는 스타일이 아니라 아코디언 주름으로 입는 사람의 체형과
2023.05.11 09:39:13
-
1848년 프랑스 혁명으로 쏟아져 나온 귀족들의 보석을 사들인 그는?[류서영의 명품이야기]
류서영의 명품이야기티파니①1961년 상영된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에서 신분 상승을 꿈꾸는 여인 홀리 고라이틀리(오드리 헵번 분)가 선글라스를 끼고 샌드위치와 커피를 든 채 뉴욕 5번가 티파니 쇼윈도를 바라보는 모습은 지금도 명장면으로 남아 있다. 이를 통해 티파니는 모든 여성이 꿈꾸는 행복과 부의 상징적인 장소가 됐고 인지도가 더 높아지게 됐다. 이 영화 포스터에서 지방시의 블랙 드레스와 티파니의 다이아몬드로 장식된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는 오리드 헵번은 많은 이들에게 매력적인 모습으로 오랫동안 기억되고 있다.영화가 상영된 이후 티파니는 많은 여성들의 선망의 브랜드가 됐고 티파니라는 브랜드는 영화 제목에 브랜드 이름을 넣은 최초의 PPL(Product Placement Advertisment : 특정 기업의 협찬을 대가로 영화나 드라마에서 해당 기업의 상품이나 브랜드 이름을 소도구로 끼워 넣어 광고하는 기법)이 됐다. 영화 속에서 티파니는 상류 사회를 대표하는 브랜드이고 부의 상징이기도 했지만 가난한 소설가 폴 바젝에게 티파니에서 구매하지도 않은 반지에 이니셜을 새겨 주는 서비스를 제공해 티파니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한층 업그레이드해 줬다. 유럽과 차별되는 모던한 디자인으로 인기1812년 2월 15일 티파니의 설립자 찰스 루이스 티파니(사진①)는 미국 코네티컷 킬링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면직 공장을 운영했다. 티파니는 15세부터 아버지의 면직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고 1837년 9월 아버지에게 1000달러를 투자받아 독립했다. 그는 그 돈으로 뉴욕 맨해튼 259 브로드웨이에 문구류와 팬시 용품을 판매하는 작은 매장을 열었다. 또 일본과 중국에서
2023.03.01 09:3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