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삼성·현대차·LG 등 22곳은 승계 작업 완료"

    대기업 집단 총수 일가가 보유한 주식자산 중 자녀 세대 자산 비중이 50%를 넘는 곳이 지난 10년 새 10곳이 늘어 22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대기업 집단은 사실상 승계 작업이 끝난 것으로 풀이된다.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3년 지정 대기업집단 81개 가운데 비교 가능한 56개 집단을 대상으로 총수 일가 주식자산 승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8월 30일 밝혔다.지난 7월 말 현재 총수 일가 주식자산 중 자녀 세대의 자산 비중이 50% 이상인 대기업집단은 총 22개로 집계됐다. 이는 약 10년 전인 2013년 말(12개)에 비해 10개 늘어난 수치다.  롯데·한국타이어 등 4곳,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 100%롯데, 한솔, DL, 한국타이어 등 4개 그룹은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100%였다. 그 외 50%를 넘는 곳은 △태영(98.4%) △DN(92.0%) △두산(83.7%) △LG(82.4%) △호반건설(77.9%) △한진(77.8%) △효성(74.7%) △삼성(74.4%) △한화(74.4%) △동원(73.8%) △금호석유화학(72.8%) △신세계(67.5%) △장금상선(64.2%) △DB(61.0%) △MDM(60.2%) △세아(51.8%) △LX(50.6%) △현대자동차(50.5%) 등 18곳이었다.10년 전과 비교하면 DL, DN, LG, 한진, 삼성, 한화, 신세계, 장금상선, MDM, LX, 현대자동차 등 11곳이 50% 이상에 새롭게 추가됐고, 영풍은 10년 전 50.7%에서 48.0%로 줄었다.10년 새 자녀세대 주식자산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DL로 58.1%포인트가 늘었다. 이어 MDM(56.8%p↑), LG(56.5%p↑), 삼성(52.2%p↑), 한진(51.6%p↑)이 뒤를 이었다.대기업집단 총수일가의 자녀세대 승계는 크게 △상속·증여 △공익재단 설립 △자녀세대 기업가치 올리기 등의 방식으로 이뤄졌다.상속을 통한 자산승계의 대표적 사례는,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

    2023.08.30 12:37:30

    "삼성·현대차·LG 등 22곳은 승계 작업 완료"
  • 포스코, 5대그룹 우뚝…자산기준 삼성 SK 현대차 LG 순

    포스코가 국내 5대 그룹에 포함됐다. 기존 자산 기준 재계 5위였던 롯데는 포스코에 밀려 6위로 내려앉았다.공정거래위원회는 4월 25일 이런 내용의 '2023년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을 발표했다.자산 5조원 이상(2022년 말 기준)의 공시집단은 82개로 전년보다 6개 늘었다. 자산총액 기준 상위 5대 그룹은 삼성(486조원), SK(327조원), 현대자동차(270조원), LG(171조원), 포스코(132조원) 순이었다. 2010년부터 5위를 지켰던 롯데(130조원)는 포스코에 밀려 6위로 내려앉았다.2022년 SK가 현대차를 제치고 2위에 오른 이후 5대 그룹의 순위 변화가 활발해지는 모습이다.공정위는 포스코의 자산총액 증가에 대해 물적분할 이후 포스코홀딩스가 보유한 포스코의 주식가치 약 30조원이 자산으로 추가 산정된 것에 기인한다고 밝혔다.코스닥 시가총액 선두에 올라선 에코프로그룹 등은 새롭게 대기업집단에 진입했다. 신규 공시대상 기업집단으로는 LX(44위), 에코프로(62위), 고려에이치씨(69위), 글로벌세아(71위), DN(73위), 한솔(77위), 삼표(80위), BGF(82위)가 지정됐다.2차전지, 전기차 부품 등 신산업분야로의 진출에 따른 기업집단의 성장으로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수가 증가했다고 공정위는 분석했다.특히 에코프로, 고려에이치씨, 글로벌세아, DN의 경우 2022년 대비 자산총액이 2조원 이상 급증했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4.25 13:04:43

    포스코, 5대그룹 우뚝…자산기준 삼성 SK 현대차 LG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