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아직도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와 함께 살고 있나요?” [이상한 창업자 신영씨]

    [한경잡앤조이=강신영 아몬디 대표] 우울, 불안, 불면, 스트레스 등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살면서 이러한 심리적인 문제를 한 번도 겪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이 있을까.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우울 위험군으로 분류된 사람은 1,00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 중 실제로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해 우울증 진단을 받은 사람도 100만 명이나 된다. 하지만, 본인의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루에 5시간씩 스마트폰을 사용하지만, 언제든 본인이 원하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입맛도 없고, 사는 게 재미가 없지만 그게 당연한 것이라 여기기도 한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본인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아는 것은 그 자체로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그 어려운 일을 해냈다고 해도 본인의 상태를 바꾸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하는 것은 더 어렵다. 우리 회사에서 반려동물을 잃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인이 우울증을 겪고 있는지 간단하게 자가 진단을 하고, 심한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공해주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자가 진단을 진행한 72명 전원이 가장 심한 단계의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음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하는 사람은 4명뿐이었다. 하지만 본인의 상태를 인지하고, 변화하고 싶다는 생각까지 들었다면 방법은 얼마든지 많다.심리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심리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주변 사람들과 대화를 하면서 어려움을 나누고, 사회적인 지지를 얻는 것이다. 그 대상은 가족, 애인, 친구 등 누가 돼도 상관

    2022.11.02 10:12:47

    “아직도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와 함께 살고 있나요?” [이상한 창업자 신영씨]
  • 감정과 직접 싸우지 마세요

    [한경 머니 기고 = 윤대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의학과 교수] 여름 날씨가 변화무쌍하다. 하늘에 먹구름과 찬란한 햇빛이 묘한 컬러의 칵테일처럼 섞여 비디오 아트를 보는 듯한 착각을 가지게도 한다. 그 하늘만큼이나 변화가 심한 것이 내 마음의 감정이다. 덕분에 우리는 영화 등 문화 콘텐츠에 몰입해 울고 때론 웃으며 감동을 느낀다. 그런 감정 시스템이 내재돼 있다는 것은 멋진 일이지만, 한편으론 우리를 피곤하게 하는 주요한 이유다. 과도하게 불안하거나 우울하게 한다.비가 오면 우울해지는 자신이 우울증이냐고 질문하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아니다. 비가 오는데 기분이 너무 좋아지면 그것이 독특한 것 아닐까. 팬데믹 스트레스, 글로벌 경제위기로 부정적인 감정은 증가하는데 과도하게 긍정적인 감정에 집착하려고 내 감정과 직접적으로 싸우다 보면 오히려 더 지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사는 것은 좋지만 억지로 긍정적인 감정을 만들려는 노력이 오히려 나를 더 지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현재 마음 관리의 중요한 내용이다.감정과 너무 직접적으로 싸우지 말고 마치 변화무쌍한 하늘의 컬러 변화를 보듯 ‘내 마음이 오늘 좀 우울하고 피곤하네. 그렇지만 오늘 하루 내가 할 일에 집중하자. 그리고 이런 피곤한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한다는 것이 인내와 도전의 가치다’라고 생각하는 게 좋다. 감정을 느끼긴 하겠지만 ‘가치’에 집중해 오늘의 삶에 몰입하는 것이 지금 상황에서는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는 마음 관리 전략이라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정리하려면 감정이 너무 내 삶을 좌지우지하지 않게 하고 약간 거리를 둬야 한다. 가치 중심적인 삶을

    2022.07.26 16:23:53

    감정과 직접 싸우지 마세요
  • 무더운 여름, 마음에도 충전이 필요하다

    [한경 머니 기고 = 윤대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의학과 교수] 신나는 바캉스 시즌인 여름과 우울증은 먼 듯한데 의외로 계절성 우울증이 겨울 다음으로 여름에 많다. 우리는 왜 여름에 우울해지는 것일까.여름철에 우울해지는 이유는 우선 햇빛이다. 뇌 안에는 수면과 호르몬 분비 등을 시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는 ‘생체(生體)리듬’ 시계가 있는데 해시계처럼 햇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햇빛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 겨울철 우울의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어 빛을 쬐는 광선 치료도 사용된다. 반대로 여름에는 과도한 햇빛이 생체시계를 오작동시키고 뇌신경의 정보 흐름에 혼란을 주는 탓에 불면, 식욕 부진, 불안감 같은 우울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 고온다습한 날씨도 뇌의 에너지를 소진해 우울이 찾아올 수 있다.겨울 우울은 축 처지는 경우가 많다면 여름 우울은 짜증, 불쾌감이 흔하다. 그러다 보니 대인관계 갈등 같은 행동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불쾌지수(不快指數)는 미국의 기후학자 톰(E. C. Thom)이 1959년에 고안한 무더위 정도를 알아보는 기준인데, 한국인의 경우 80에서 83엔 반수가, 83 이상에선 모두가 불쾌감을 느낀다고 한다.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스트레스까지 겹쳐진 상황이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스트레스로 인해 중등도 이상의 극심한 불안 증상을 느끼는 사람이 세 명 중 한 명꼴이라는 35개국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 보고도 있다.‘연결’과 ‘공간’으로 마음관리여름철 마음 보양(保養)을 위해선 규칙적인 생활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날씨가 덥고 낮이 길어지다 보니 취침 시간이 뒤로 밀려 수면의

    2021.07.21 14:40:11

    무더운 여름, 마음에도 충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