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두산, 630°C급 로터 개발…보령신복합발전소에 첫 공급

    두산에너빌리티가 630°C급 로터(Rotor) 개발에 성공해 상용화를 위한 제작에 착수한다고 8월 24일 밝혔다. 로터는 터빈, 발전기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기기에서 회전축 역할을 하는 원통형 제품이다. 무게는 17.5~37.0톤, 직경은 0.95 ~1.28m, 길이는 6.1 ~ 8.5m의 대형 단조품이다. 이 로터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부착해 스팀터빈을 제작한다.  두산에너빌리티의 630°C급 로터가 적용된 스팀터빈은 지난 6월 주기기 계약을 체결한 보령신복합발전소에 첫 공급된다. 복합발전은 가스터빈을 가동해 전력을 1차 생산하고,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열로 증기를 생산한 후 이를 통해 스팀터빈을 가동해 2차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을 말한다. 보령신복합발전소는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 모델이 적용되는 첫번째 프로젝트로, 두산에너빌리티는 가스터빈, 스팀터빈 등 주기기를 공급한다.두산에너빌리티가 보령신복합발전소에 공급하는 가스터빈은 380MW급 초대형 제품으로, 복합발전 과정을 통해 생산한 증기가 620°C 고온이어서 기존 로터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강도, 내구성 이슈로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기존 로터에 맞추기 위해 스팀 온도를 냉각하면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620°C 고온에 운전 가능한 로터 개발이 필요했다.  이에 두산에너빌리티는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추진한 ‘전략 핵심 소재 자립화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630°C급 로터 개발에 착수했다. 630°C급 로터 개발을 위해선 고도의 제강기술, 단조기술, 열처리기술이 필요하다. 창원 본사에 자체 주·단조 공장을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는 가스터빈, 스팀

    2023.08.24 11:04:21

    두산, 630°C급 로터 개발…보령신복합발전소에 첫 공급
  • 두산에너빌리티, 국과연과 항공용 가스터빈 핵심 부품 만든다

    세계 5번째로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한 두산에너빌리티가 항공용 가스터빈 엔진 핵심 부품 제작에 참여하며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두산에너빌리티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터빈 베인·블레이드 주조품 제작 및 후가공’ 과제를 계약했다고 8월 21일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 중인 항공용 가스터빈의 핵심 고온 부품인 블레이드와 베인을 제작해 2027년까지 국방과학연구소에 공급할 예정이다.이번 계약은 국방과학연구소의 ‘무인기용 터보팬 엔진 요소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6월 국방과학연구소와 해당 항공용 터보팬 엔진 레이아웃 설계와 구성품 해석 용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항공용과 발전용 가스터빈은 동일한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 원리와 구조가 유사하다. 항공용 가스터빈은 비행체의 추력(推力, 물체를 운동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힘) 확보가 주목적으로 고출력·경량화·작동 유연성이 설계의 핵심이다. 발전용 가스터빈은 고효율·고출력·안정성을 목적으로, 항공용 대비 더욱 대형화됐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박홍욱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장은 “이번 과제 수주는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 산학연과 협력해 개발한 발전용 가스터빈 설계, 제작 기술력을 바탕으로 항공용 엔진까지 사업분야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항공용 가스터빈 개발에도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8.21 17:45:24

    두산에너빌리티, 국과연과 항공용 가스터빈 핵심 부품 만든다
  • 두산에너빌리티, 380MW급 초대형 발전용 가스터빈 첫 수주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발전소 건설이 본격 추진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중부발전과 2800억원 규모 보령신복합발전소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6월 28일 밝혔다.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서명식에는 김호빈 한국중부발전  사장,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보령신복합발전소는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 모델이 적용되는 첫번째 프로젝트다. 그동안 국내 가스복합발전소는 여러 종류의 외산 가스터빈이 공급돼 왔으며, 이로 인해 효율적인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이에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하고, 2021년부터 340여개 국내 산학연과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 모델을 국책과제로 개발해왔다.  총 발전용량 569MW 규모의 보령신복합발전소는 2026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충남 보령시에 건설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380MW규모 H급 초대형 가스터빈을 비롯해 스팀터빈, 배열회수보일러(HRSG)를 공급한다.가스터빈은 연소기 노즐 및 일부 부속설비 변경을 통해 탄소배출 저감이 가능한 수소터빈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한국중부발전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보령신복합발전소의 수소복합발전소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산학연과 함께 고효율 H급 수소터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0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로 고효율 H급 수소터빈의 수소 혼소 50% 기술을 개발 중이다.개발된 기술은 한국동서발전의 울산복합발전소에서 실증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세계 최초로 400MW급 초대형 수소 전소 터빈을 2027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H급 수소터빈은 기존

    2023.06.28 11:03:24

    두산에너빌리티, 380MW급 초대형 발전용 가스터빈 첫 수주
  • 두산에너빌리티, 국산 기술로 가스터빈 수명 연장 나섰다

    두산에너빌리티가 한국남부발전과 함께 국산 기술로 가스터빈 수명 연장에 나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남부발전과 부산복합화력발전소 가스터빈 로터(Rotor) 수명 연장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8월 23일 밝혔다. 로터는 다수의 회전 날개(블레이드)를 부착한 원통형 구조물로, 약 1300℃ 이상의 고온에서 분당 3600번의 고속 회전을 수행하는 가스터빈 내 핵심 기기 중 하나다.가스터빈 로터 수명 연장은 최고 난이도의 기술력을 요구해 그동안 주로 해외 가스터빈 원제작사(OEM)들이 독점해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속적인 기술력 강화로 경쟁력을 키워 이번 사업을 수주했다. 특히 이번 로터 수명 연장에 초고강도 특성을 지닌 인코넬 합금강을 적용할 계획이다. 가스터빈 원제작사들을 제외하면 두산에너빌리티가 세계 최초다.한국에서 가장 많은 가스터빈을 운영 중인 한국남부발전은 다양한 협업을 통해 국내 가스터빈 산업계를 활성화 하고 있다. 이번 가스터빈 로터 수명 연장 사업에 국내 가스터빈 산업계에 참여 기회를 제공해 향후 글로벌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외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공략을 확대하고 있다. 2018년 미국 민간 발전사인 MCV(Midland Cogen Venture)와 가스터빈 장기 서비스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현재 가스터빈 로터 수명 연장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2019년 한국동서발전과 울산복합화력발전소 가스터빈 배기실린더 정비공사를 수행하기도 했다. 박홍욱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BG장은 “한국남부발전의 가스터빈 로터 수명 연장 사업에 참여해 경제적인 발전소 운용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

    2022.08.23 09:27:58

    두산에너빌리티, 국산 기술로 가스터빈 수명 연장 나섰다
  •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수소 사업 다각화…친환경으로 체질 개선

    [100대 CEO] 두산중공업은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을 중심으로 친환경 사업으로의 체질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두산중공업은 올해 1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7800억원 규모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 수주에 성공했다. 두산중공업은 디벨로퍼인 프랑스 에너지 전문 기업 ‘엔지(Engie)’, 사우디아라비아 기업 ‘모와(Mowah)’, ‘네스마(Nesma)’로 구성된 컨소시엄과 얀부 4단계(Yanbu4) 해수 담수화 플랜트 건설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얀부4 해수 담수화 플랜트는 역삼투압(RO : Reverse Osmosis) 방식으로 제다 시 북쪽 260km 지점에 자리한 알라이스 지역에 건설된다. RO 해수 담수화는 역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바닷물에 인위적인 압력을 가해 반투막(membrane)을 통과시켜 염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두산중공업은 설계에서부터 기자재 제작, 시공까지 일괄 수행하는 설계·조달·시공(EPC) 방식으로 얀부4 해수 담수화 플랜트를 2023년까지 건설할 예정이다. 완공 시 하루에 약 150만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45만 톤의 물을 생산해 사우디아라비아 서부 알라이스 지역에 공급하게 된다. 두산중공업은 또 수소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블루수소와 그린수소 등 ‘청정 수소 생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창원 공장에 건설 중인 수소 액화 플랜트에서는 블루수소를 생산, 활용할 예정이다. 풍력 발전을 이용한 그린 수소 생산도 제주도에서 차질없이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차세대 원전인 소형 모듈셩 원자로(SMR : Small Modular Reactor)를 활용한 청정 수소 생산도 검토 중이다.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은 전력 생산 시 탄소

    2021.06.25 06:41:01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수소 사업 다각화…친환경으로 체질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