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ecial]생애주기별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짜라

    스페셜/ 사회초년생에 재테크를 코칭하다  #지난 2020년 초 입사해 올해 4년 차가 되는 직장인 B(32) 씨는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취업이라는 어려운 관문을 뚫었지만 모은 돈이 얼마 없다. 처음 2년간은 이른바 ‘플렉스’를 즐기며 각종 취미생활에 몰두했다. 지난해에는 영끌 분위기에 편승해 주식 투자를 하다가 나름 큰 손해를 봤다.그 사이 연인이 생긴 B씨는 결혼 계획도 세우고 있어서 목돈 마련이 절실하다. 요새 B씨는 주식투자에 재도전해볼 요량이다. 하지만 처음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주식 및 채권, 연금 등 투자 공부 삼매경에 빠졌다.그는 “책으로 배우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언이 절실하다”며 “투자에 대해 해박한 고수들의 노하우를 듣고 적극 활용하고 싶다”고 말했다.통계청이 발표한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시작한 후 평균적으로 28세에 생애주기 수지가 흑자에 진입하며, 44세에 이르러 흑자 폭(3638만 원)이 최대인 상태에 도달한다. 이후 근로소득이 지속 감소하면서 흑자 폭은 줄어들고, 60세 이후 다시 적자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파악된다.그만큼 사회생활 초년병 시기에 어떻게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가가 인생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경제적 생애주기의 수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로소득에서 소비를 뺀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 인생 후반의 적자 전환 연령은 최근 10년간 계속 늦춰지고 있는데, 이는 고령화로 인해 노후 소비 재원 마련을 위한 근로 활동을 연장하는 추세 때문으로 보인다.이런 추세는 경제활동과 소득 창출이 활발한 30~40대 중에 가급적 더 많은

    2023.01.26 13:31:31

    [special]생애주기별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