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이든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강화…미래 낙관한다”[이 주의 한마디]

    [이 주의 한마디]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2월 6일(현지 시간)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기업인 대만 TSMC의 애리조나 공장을 방문했다. TSMC는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방문을 맞아 둘째 반도체 공장을 설립하고 총 투자 규모도 120억 달러에서 3배 이상 늘린 400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4월 TSMC는 미국에서 120억 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생산을 위한 첫 공장을 건설했고 내년에 가동될 예정”이라며 “오늘 TSMC는 둘째 투자를 발표했고 여기 피닉스에서 3나노 칩을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건설 일자리 1만 개, 첨단 일자리 1만 개 이상이 창출된다”며 “이 일을 가능하게 해준 TSMC의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싶다”고 전했다.그는 30년 전 미국이 세계 반도체 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이 있음에도 10%만 생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바이든 대통령은 “마이크론·인텔·IBM 등 반도체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산 설비를 늘리고 있어 다시 한 번 미국이 반도체 산업을 선도할 수 있을 것”며 “그동안 애플은 해외에서 첨단 반도체 칩을 구입해야 했지만 이제는 미국 내로 공급망을 좀 더 옮겨 오려고 하고 있다. 이것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미국의 미래에 대해 지금보다 더 낙관적인 적이 없다”며 “우리는 더 나은 미국을 만들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미국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반도체·과학법 제정 이후 대미 투자가 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한편 이날 행사에는 바이든 대통령 외에 팀

    2022.12.11 06:00:01

    바이든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강화…미래 낙관한다”[이 주의 한마디]
  • 차까지 집어삼킨 애플, 생태계 더 커진다

    [테크 트렌드]2020년부터 2021년까지 애플이 전기차를 공개한다는 소식은 모빌리티업계의 가장 뜨거운 이슈였다. 애플은 시스템 설계만 직접 하고 생산은 위탁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어느 업체가 애플과 손잡고 애플카를 만들게 될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동시에 이는 ‘전기차 위탁 생산’이라는 개념 자체를 모빌리티 시장의 주요 부문으로 부각시켰다.전기차는 움직이는 가전제품, 움직이는 생활 공간, 바퀴 달린 스마트폰. 바퀴 달린 스위트 룸 개념으로 확장돼 전통적인 완성차 기업의 제조 개념을 허물었다. 전기차는 내연 기관차에 비해 부품 수 자체가 줄고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이 단순해 진입 장벽이 낮다. 차체라는 하드웨어보다 차 안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인포테인먼트가 각광받으면서 소프트웨어가 하이라이트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다양한 기업, 새로운 업종에서도 전기차를 제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아이폰처럼 하청을 주거나 혹은 다른 자동차 제작사의 공장을 인수하는 방식도 거론되고 있다.애플카는 아이폰과 같은 위탁 생산 방식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부품 공급 업체가 이미 전 세계에 충분히 많고 수준도 굉장히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애플은 제품 하나만 팔고 마는 회사가 아니다. 스마트폰을 만들 건 노트북을 만들 건 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업계의 트렌드를 주도했다. 스마트폰 시대를 열고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를 부흥시켰다. 전기차 역시 전기차 부품, 전기차 충전, 전기차 생태계 전체 플로를 구축하고 붐업시킬 것이다. 즉 ‘제품’이 아니라 ‘서비스’에 집중할 것이다.애플은 2020년에만 인공지능(AI) 기업을 5개 인수

    2022.01.05 17:30:05

    차까지 집어삼킨 애플, 생태계 더 커진다
  • 헤르베르트 디스 폭스바겐 CEO “진정한 게임 체인저는 전기차 아닌 스마트카”

    [이 주의 한마디]세계 2위 완성차 업체인 폭스바겐그룹의 헤르베르트 디스 최고경영자(CEO)가 자동차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스마트카를 들었다.9월 5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디스 CEO는 이날 독일 국제 오토쇼(IAA) 개막을 앞두고 가진 인터뷰에서 “2035년 내연 기관 퇴출을 앞둔 자동차업계의 진정한 게임 체인저는 전기차가 아닌 소프트웨어와 자율주행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디스 CEO는 전기차로의 전환은 상대적으로 쉬운 일이라면서 자율주행이 과거에 본 적이 없는 변화를 자동차업계에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디스 CEO는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미래 사업의 핵심 축으로 삼으려고 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앞서 미국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아르고AI를 인수하며 관련 기술 역량을 강화한 바 있다.지난 7월 유럽연합(EU)이 2035년까지 휘발유와 디젤 신차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환경 규제책을 발표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 강화가 확산되고 있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율을 50%로 높이겠다고 밝혔다.[한눈에 보는 글로벌 주간 핫뉴스]  블룸버그통신 中 국영 기업들, 디디추싱 직접 경영 추진중국의 국영 기업들이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의 지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9월 4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시당국은 국영 기업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디디추싱에 투자하는 계획을 제안해 이를 조율하고 있다.디디추싱 측은 즉각 부인했지만 최근 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 차원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조하고 있는 데다 잇따라 빅테크

    2021.09.13 06:01:22

    헤르베르트 디스 폭스바겐 CEO “진정한 게임 체인저는 전기차 아닌 스마트카”
  • 팀 쿡 애플 CEO “자율주행차는 로봇” 애플카 힌트 공개

    [이 주의 한 마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베일에 싸여 있는 ‘애플카’에 대한 힌트를 암시했다. 애플카는 애플이 수년 전부터 추진 중인 자율주행 전기차 프로젝트를 말한다. 미국 CNBC에 따르면 쿡 CEO는 4월 5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타임스의 팟캐스트 ‘스웨이’와의 인터뷰에서 “자율주행차는 로봇이다. 자율성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며 “애플...

    2021.04.13 07:03:01

    팀 쿡 애플 CEO “자율주행차는 로봇” 애플카 힌트 공개
  • 허버트 디스 폭스바겐 CEO "애플카 두렵지 않아…자동차 산업 한순간에 정복할 수 없어"

    [한마디 뉴스] “우리는 애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독일 자동차 업체 폭스바겐의 허버트 디스 최고경영자(CEO)가 애플의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협으로 느끼지 않는다고 2월 14일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디스 CEO는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 일요일판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차 산업은 한방에 따라잡을 수 있는 기술 분야와는 다르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디스 CEO는 “애플이 자동차 시장에 뛰어든다...

    2021.02.25 08:03:01

    허버트 디스 폭스바겐 CEO "애플카 두렵지 않아…자동차 산업 한순간에 정복할 수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