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ig story] 전문가 4인이 바라본 금융위기 가능성과 해법은

    전문가들은 지금 경제 상황이 매우 위험한 수준에 있다는 공통된 견해를 내놓고 있다. 대내외 변수들이 잇따르면서 국내 경제 상황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정책 카드 역시 많지 않아서다.글로벌 성장 둔화, 자본 시장 불안정,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와 부실채권 증가 등이 약해진 경제 상황을 지목하는 경고등으로 인식되고 있다.대내외 변수로 인한 리스크 높아가장 눈에 띄는 것은 글로벌 경제 상황이다. 한국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 상황만 놓고 볼 때 사방이 지뢰 투성이로, 쉽사리 탈출구를 찾기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에너지 및 곡물 가격 상승과 전 세계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대외 불안으로 국내 환경 또한 녹록지 않다.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이 혼재된 가운데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경제 전반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미국발 금리 인상은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리스크 요인이다.이미 세계 환율 시장은 막다른 골목에 도달했다. 일본 엔화 가치가 32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영국은 파운드화 가치가 1985년 이후 최저치로 급락했다. 유럽발 위기도 고조되는 분위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며 경기 위축과 고물가를 재촉하고 있다.우리 수출 경기에 적잖은 영향을 끼치는 중국 경제 상황도 만만치 않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1분기 4.8%, 2분기 0.4%로 하락세를 보였다. 중국 경제의 위기감은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이미 고조된 상태다.자금조달 경색으로 인한 위기 확대 조짐 부동산 PF 대출도 우리

    2022.10.27 09:00:05

    [big story] 전문가 4인이 바라본 금융위기 가능성과 해법은
  • “진짜 위기는 오지도 않았다” 세계 경제에 몰아친 폭풍우[인포그래픽]

    “세계 경제에 폭풍우(stormy waters)가 몰아치고 있다.”국제통화기금(IMF)이 10월 11일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며 경고했다. 올해부터 축적된 위험 요소들이 내년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진단이다. IMF는 10월 공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로 7월 전망 때보다 0.2%포인트 낮췄다. IMF가 경제성장률을 낮춘 것은 올해만 셋째다.한국도 부정적인 전망을 피할 수 없었다. IMF가 전망한 내년 한국의 성장률은 2.0%다. 2% 경제성장률은 2000년대 들어 금융 위기 직후인 2009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을 제외하고 최저 수준이다.높은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FED)을 시작으로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대폭 인상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코로나19 봉쇄와 부동산 하락으로 인한 중국의 경기 둔화 등 복합 위기가 금융 시장과 실물 경제 전반에 들이닥쳤다. 글로벌 경제 위기를 알리는 신호들을 살펴봤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 

    2022.10.24 07:00:03

    “진짜 위기는 오지도 않았다” 세계 경제에 몰아친 폭풍우[인포그래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