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중국 반도체 자립 능력 얕잡아 보지 마라” 경고 [CEO24시]

    [CEO 24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미국의 중국 반도체 산업 규제에 대해 “중국의 반도체 자립 능력이 충분하다”며 “중국을 얕봐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황 CEO는 5월 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에서 “규제가 어떻든 우리는 절대적으로 준수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내 생각에 중국은 이번 기회를 활용해 자국 현지 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황 CEO가 운영하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구동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여겨지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작 업체다. 현재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다. AI 훈풍에 최근 주가가 급등하며 반도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가 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황 CEO는 5월 27일 국립 대만대 졸업식 축사를 시작으로 현재 2주간의 대만 방문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대만에 이어 6월 중 중국 본토를 방문할 계획이다. 황 CEO는 “중국에 그렇게 많은 GPU 스타트업들이 있는 이유를 생각해 봐야 한다”며 “중국에서 이 분야에 쏟아붓고 있는 자원의 양이 꽤 많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미국으에서 반도체를 살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 중국이 스스로 반도체를 만들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반도체 규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국은 지난해인 2022년 대중 수출을 통제하며 엔비디아가 GPU 반도체 ‘A100’과 그 업그레이드 버전인 ‘H100’을 중국에 팔지 못하도록 했다.황 CEO의 대만대 졸업식 축하 연설도 화제가 되고 있다. 그는 대만계 미국인으로, 대만 남부 타이난시에서 태어난 뒤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했다

    2023.06.02 07:02:00

  • 젠슨 황 "엔비디아는 이제 '종합 컴퓨팅 회사'"

    [이주의 한마디]젠슨 황 “엔비디아는 이제 ‘종합 컴퓨팅 회사’”그래픽 칩에서 시작한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회사’를 넘어 ‘종합 컴퓨팅 회사’로 발돋움한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중에서 시가 총액 1위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11월 9일 자체 개발자 대회 GTC(GPU 테크놀로지 콘퍼런스)를 겸해 열린 글로벌 기자 간담회에서 “엔비디아는 하드웨어를 넘어 소프트웨어와 AI를 모두 포함해야 매우 복잡한 현실 세계의 문제들을 컴퓨터로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지난해까지 엔비디아는 ‘AI 회사’라고 정체성을 밝혀 왔다. 하지만 황 CEO의 이날 발언은 회사의 목표를 단순한 AI 개발에만 두지 않고 AI가 실제 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확인하는 데까지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황 CEO는 “AI와 그래픽 칩(GPU) 등이 가장 효율적으로 결합돼야 만들 수 있는 자율주행 제품은 이미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며 “2023년이 되면 확연하게 눈에 띄게 관련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 근거로 최근 엔비디아 자율주행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사들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엔비디아는 벤츠와 니오 등 다수의 전기차 회사와 일하고 있고 로봇 택시 회사, 자율주행 트럭 회사와도 협업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의 자동차 관련 매출은 수조원대에 달하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엔비디아는 현재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 60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이 밖에 최근 엔비디아는 자사의 하드웨어와 AI 소프트웨어들을 종합해 화력 발전소 내부를 만든다거나 분자 구조를 연구

    2021.11.13 06:00:16

    젠슨 황 "엔비디아는 이제 '종합 컴퓨팅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