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에디터 노트]생존게임

    베이비붐(1955~1963년생) 세대의 막내 격인 1963년생들이 올해 은퇴 정년을 맞이합니다. 100세 시대를 맞이한 이들은 새로운 일터를 잡으려 노력하겠지만 최근과 같은 경제 불황기에는 쉽지 않은 과제일 겁니다. 결국 이들 상당수는 생계형 창업에 뛰어들 공산이 큽니다. 베이비붐 세대뿐만 아니라 취업이 쉽지 않은 청년층들도 창업의 전쟁터에 발을 들여놓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통계청의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416만4000명)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는 63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7만1000명 감소했습니다. 청년 취업시험 준비자는 지난해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데 이어 2년째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같은 추세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거리 두기가 강화되는 등 취업 준비가 쉽지 않은 상황이 상당 기간 이어진 영향이 커 보입니다. 이들이 불나방처럼 뛰어들 창업 시장은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전쟁터로 변해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주요 상권이 무너지고, 자영업 지형도 상당 부분 변한 가운데 한마디로 ‘생존을 위해 박 터지게 싸우는 중’인 겁니다. 자영업자들의 부채 리스크에도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지난 6월 26일 한국은행이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대출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기관 연체율은 1%로, 8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올해 말 연체위험률이 3.1%까지 상승하고, 이 중 취약차주의 연체위험률은 18.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자영업 경영난의 요인 분석과 정책 방향’(2021년 12월 31일) 자료를

    2023.07.26 13:20:57

    [에디터 노트]생존게임
  • 저축은행의 두 가지 뇌관

    [비즈니스 포커스]지난 3월 불거진 미국 중소은행들의 ‘뱅크런’ 사태로 한국 금융 시장에도 긴장감이 돌았다.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듯 4월 말에는 일부 저축은행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뱅크런’ 가능성이 있다는 ‘지라시’가 돌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업계와 금융 당국이 부랴부랴 거짓 정보라며 반박했다. 현재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나 유동성 비율 등은 규제 비율을 웃돌아 부실 위험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안심할 수준”이라지만 PF 위험성은 여전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연체율 5%는 은행 수준으로는 높지만 저축은행업권에서는 괜찮은 수준”이라며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하면 5%대는 관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1분기 저축은행권의 자기자본비율은 13.6%로 지난해 말(13.15%) 대비 0.45%포인트 올랐다. 이는 법정 비율인 7∼8%, 금융 당국 권고 비율인 11%를 웃도는 수준이라고 저축은행중앙회는 설명했다. 유동성 비율 역시 241.4%로 법정 기준(100%)의 2.4배 수준이다. 겉으로 나타난 숫자는 괜찮다.하지만 저축은행업계는 2014년 이후 9년 만에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가 5월 5일 밝힌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순손실(잠정)은 약 6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는 수신 금리 인상에 따른 조달 비용 증가와 대손 충당금 추가 적립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저축은행 지라시가 돌았던 4월 28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건전성과 시스템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그러면서도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금융 당

    2023.05.25 06:00:07

    저축은행의 두 가지 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