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수일가 회사 부당 지원…세아그룹 계열사 檢 고발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집단 세아 소속 세아창원특수강의 부당내부거래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32억7600만원(잠정)을 부과하기로 했다. 부당지원주체인 세아창원특수강은 고발하기로 했다. 스테인리스 강관 재인발업체인 계열회사 CTC에 원소재인 스테인리스 강관을 다른 고객사들에 비해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판매한 혐의다. 세아는 특수강 제조·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는 철강 전문 그룹으로 세아홀딩스, 세아제강지주 등 2개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지배구조가 형성돼 있는 재계 42위 기업집단이다. 고(故) 이운형 선대회장의 아들인 이태성 세아홀딩스 사장이 지배하는 세아홀딩스 체제와 이 사장의 삼촌인 이순형 현 세아그룹 회장이 지배하는 세아제강지주 체제로 나뉜다. 세아창원특수강은 CTC가 세아 그룹에 편입되기 전부터 CTC에게 스테인리스 강관을 판매해 왔다. 공정위에 따르면 세아그룹 총수일가인 이태성 세아홀딩스 사장의 개인회사 HPP가 2015년 11월 CTC를 인수하자 그 직후인 2016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CTC의 수익 개선을 위해 자신이 공급하는 스테인리스 강관을 타 경쟁사 대비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판매함으로써 CTC를 지원했다. 세아창원특수강은 CTC에만 적용되는 물량할인 제도를 신설해 2016년 1분기부터 2019년 2분기까지 총 14회 분기 중 12회에서 정상 할인액(400원/kg)보다 더 높은 할인액(1000원/kg)을 적용해 다른 비계열사 대비 상당히 낮은 가격으로 판매함으로써 CTC에 과다한 경제상 이익을 제공했다. CTC의 주요 생산제품인 반도체용 강관의 경우에는 미터당 단가 1원 차이에도 예민하게 반응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다. 이 같은 부당지원행위를 통해 CTC는 26억5000
2023.09.25 18:32:10
-
세아그룹, 이상은 세아창원특수강 사장 등 23명 승진
세아그룹이 이상은 세아창원특수강 대표이사 사장을 포함해 23명을 승진시키는 2023년 정기 임원 인사를 12월 13일 발표했다.세아그룹은 이번 인사를 통해 각 사별 책임 경영을 강화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들을 중용했다고 밝혔다. △세아제강지주이사보 김정욱, 김철홍△세아제강상무 이상호이사 조현용이사보 김주봉, 한사진△세아베스틸지주전무 양영주△세아베스틸부사장 김용진이사보 김대영△세아창원특수강사장 이상은전무 채민석상무 박건훈이사 김호경이사보 김종호△세아특수강이사보 강동균△세아메탈이사 주형백이사보 이준기△세아씨엠부사장 김동규△세아엠앤에스이사 김경수이사보 조성각△세아엘앤에스이사보 이정환△세아항공방산소재이사 장창범△동아스틸이사보 설인수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2.12.13 14:45:23
-
세아베스틸지주, 에퀴스와 장기 REC매매 위한 MOU 체결
(주)세아베스틸지주가 에퀴스에너지코리아(이하 에퀴스)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 장기 매매 계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1월 30일 밝혔다.세아베스틸지주는 이번 에퀴스와의 REC 매매 계약을 위한 양해각서를 통해 전라남도 소재 21MW급 태양광 발전소가 생산하는 연평균 2만6828MWh 수준의 신재생에너지를 20년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이는 세아베스틸 연간 총 전력 사용량의 2~3%에 해당하는 규모다.양사는 이번 양해각서를 바탕으로 2023년 상반기 내 본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세아베스틸지주는 해당 태양광발전소로부터 공급받게 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세아베스틸 및 세아창원특수강 등 탄소배출 저감 활동을 진행 중인 계열회사의 전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연간 약 1만2325톤의 탄소 배출량이 감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탄소중립 효과로 계산 시 연간 약 187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것과 동일한 효과다. 세아베스틸지주 계열회사인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의 제강 공정은 철스크랩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철광석을 원료로 하는 고로의 제선·제강공정 대비 탄소 직접 배출량(스코프1)이 2~3배 정도 적다. 세아베스틸지주는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적은 전기로 100% 제품 생산 방식과 신재생에너지 전력 활용 등을 통해 스코프2 범위의 탄소 배출량을 저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에퀴스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신재생에너지 사업 개발 경험이 풍부한 글로벌 인프라 투자사다. 2018년 한국지사 출범 이후 태양광·해상풍력 발전, 폐기물 처리·자원회수 분야에서 투자·개발을 이어오며 탄탄한 한국 인프라 포트폴리오를
2022.12.01 09:2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