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70대 인구수 20대 추월했다...이대로면 내년 '초고령사회' 진입도

    나날이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국가적 난제로 지목되는 가운데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앞지른 것으로 조사됐다.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천402명으로, 20대(619만7천486명) 인구를 추월했다.[2014∼2023년 연령대별 인구 비중 추이. 행정안전부 제공]지난해 65세 이상에 해당하는 '고령 인구'도 전년 대비 46만여명 증가한 97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9.0%로 나타났다.전체 인구 대비 고령 인구 비율은 2015년 13.2%, 2020년 16.4%, 2022년 18.0% 등 매년 늘어나는 양상이다.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 사회, 20% 이상은 초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이런 흐름이라면 우리나라는 내년에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또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 감소도 지속되고 있다.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천132만여명으로 전년보다 0.22%(11만3천여명) 줄었고, 2020년 이후 4년 연속 하향 곡선을 나타내는 중이다.성별에 따라 남자(2천556만여명)는 5년 연속, 여자(2천575만여명)는 3년 내리 줄어들었다.226개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2022년보다 출생(등록)자가 증가한 시군구는 서울 강남구를 비롯해 경기 화성시, 전남 강진군 등 45곳이다.동 기간 출생자가 줄어든 곳은 경기 용인시, 수원시, 성남시 등 178곳이다.여중협 행안부 자치분권국장은 "인구 감소 현상이 심화하는 지역의 인구 유입과 출생률을 올리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번 통계를 정밀하게 분석해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2024.01.10 13:01:34

    70대 인구수 20대 추월했다...이대로면 내년 '초고령사회' 진입도
  • [스페셜]김도연 KB경영연구소, 고령화 속도 비해 요양시설 턱없이 부족

    스페셜/ 실버 요양 산업의 길을 찾다 올해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를 대표하는 1958년 개띠가 노인 기준 연령인 65세에 진입한 해다. 2020년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 기준 연령에 진입하면서 고령자 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5년이 되면 우리나라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된다. 2025년에는 베이비붐 세대가 70대에 진입함에 따라 돌봄이 필요한 인구도 크게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에 비해 요양시설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다. 요양원 병상 수는 2019년 기준 인구 1000명당 24.8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하위권이다. 비교적 우수한 시설로 평가를 받는 30인 이상 요양시설이나 국공립 요양시설은 대기자가 넘쳐나 원하는 시기에 입소를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요양시설이용자 증가에 따라 기업들의 요양 사업 진출 활발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요양시설 이용자는 23만 4280명에 달한다. 2014년 대비 10만 명이 증가했는데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주변 도움이 필요한 장기요양 3~4등급 인정자가 이용자의 70%를 차지한다. 가족 돌봄이 어려워지는 사회 환경 변화로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요양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기업이 요양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올해 10월 KB라이프생명의 자회사로 편입된 요양 서비스 업체 KB골든라이프케어는 위례빌리지, 서초빌리지 등 도심형 요양시설 2곳을 운영하고 있다. 12월에는 서울 평창동에 실버타운을 열고, 2025년까지 은평·광교·강동에 차례로 도심형 요양시설을 개소하며 요양 인프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 장지

    2023.11.27 10:28:25

    [스페셜]김도연 KB경영연구소, 고령화 속도 비해 요양시설 턱없이 부족
  • ‘나이 들면 누가 돌봐주지?’ 초고령사회 문제, 지자체·스타트업이 던진 묘수

    최근 고령화 현상이 가파르게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 고령인구비율은 2014년 12.4%에서 2018년 14.3%, 2020년 15.7%, 올해 2023년에는 18.4%로 집계됐다. 고령인구란 총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인구의 구성비를 말한다. 유엔의 규정에 따르면 노인인구 비율이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접어든다고 규정돼 있다. 이 상승세로 볼 때 가까운 미래 국내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노년층의 의식주가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다. 고령화 현상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향후 풀어야 할 과제로 여겨지는데, 해외에서는 이미 미국의 은퇴자 주거복합단지 CCRC(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등 다양한 형태의 시니어 주거 시설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추세다.국내에서도 최근 해마다 가파르게 늘고 있는 고령 인구를 위해 일상적인 케어와 여가를 함께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시니어 주거복지시설이 도입되고 있다. 지자체에서 치매 등 전문 요양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고, 서울시가 주도하는 아파트 단지 내 노인요양시설도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이 커지면서 스타트업에서도 노년층을 위한 주거복지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지자체 전문 요양시설 건립···지역 어르신들 노후 책임진다어르신 주거복지시설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특정 질환에 특화된 전문 요양시설 건립도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인천 시립요양원은 오는 9월 남동구 도림동에 준공돼 내년 3월 개원한다. 148억 원을 들인 시립요양원은 지상 3층, 연면적 3000㎡ 규모로 입소정원은 104명이다. 이곳에서는 노인성 질환을 앓는 어르신들에게 장기 요양

    2023.05.26 12:56:23

    ‘나이 들면 누가 돌봐주지?’ 초고령사회 문제, 지자체·스타트업이 던진 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