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M Report] 공포에 질린 자산 시장서 투자 기회 찾으려면
올해 상반기 금융 시장을 설명하는 가장 적절한 수식어는 ‘이례적(상례에서 벗어나 특이한)’이 아닐까 싶다. 연초 이후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가능성이 대두됐고 시장참여자들은 글로벌 경제의 성장 둔화를 넘어 침체를 우려했다.이러한 우려는 주요국 증시 하락을 이끌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봉쇄정책이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인플레 상승 압력을 더욱 높였다. 이로써 닷컴버블이 붕괴한 이후 20년 이상 유지된 주식과 채권을 활용한 포트폴리오 효과는 거의 미미했다.올 초부터 지난 6월 10일까지 글로벌 주식과 채권은 동반 약세를 보이며 각각 -17.8%, -9.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주식과 채권으로 자산 구성을 다각화한 포트폴리오는 하락 방어에 실패했다. 심지어 글로벌 채권 80%, 글로벌 주식 20%로 구성된 보수적인 포트폴리오가 글로벌 주식 80%, 글로벌 채권 20%의 매우 공격적인 포트폴리오보다 높은 손실을 기록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지난 5월 중순 이후 금융 시장 분위기는 전환점을 맞고 있다. 미 Fed 인사들의 공격적인 인플레 대응 발언과 해당 시점에 발표된 경제 지표들이 글로벌 경제의 연착륙에 대한 기대를 키운 것이다. 경기 침체에 대한 극단적 공포와 미 Fed의 정책 대응에 대한 불신이 조금은 해소됐다.글로벌 주식은 8주 만에 반등세를 보였고,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급격히 하락하며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도 지난 5월 9일 3.2%를 기록한 후 50bp(1bp=0.01%) 가까운 하락(채권 가격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5월의 안도 랠리가 추세적 상승으로의 전환인지, 약세장 속 일시
2022.06.30 06:00:18
-
긴축 시그널, 자산시장 미칠 파장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세에도 긴축 시그널에 따른 자산가격 변화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2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연 0.7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또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등 점진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나타내면서 대출금리 역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급증하는 가계 빚에 제동을 걸기 위해선 금리 인상이 가장 현실적이라는 대안을 내놓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과 실물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40대 직장인 A씨는 지난해 7월 시중은행으로부터 대출 받았던 신용대출 1억1000만 원을 만기 연장하는 대신 전액 상환하기로 결정했다. 처음 대출을 받았을 당시엔 1.8%였는데 1년 만에 대출금리가 0.9%포인트나 뛰었기 때문이다. 1년 더 대출을 연장하려면 2.72%의 금리를 적용받는 데다 앞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이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 A씨가 지난 1년간 냈던 이자는 200만 원 규모였는데 새로운 대출금리를 적용받게 되면 310만 원으로 110만 원이 늘어나게 된다. 중간에 대출 상환을 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부담도 전액 상환을 결정한 이유로 작용했다.가계 빚 급증 최대치… 부실 뇌관 ‘시한폭탄’사상 최대 규모로 늘어난 가계 빚이 경제 전반의 뇌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의미)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거세지면서 지난 7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10조 원 가까이 불어났다.최근 한국은행이
2021.08.31 08: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