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ig story] 김진일 교수 “대외 공조 균열 심화…경기 침체 가능성 높다”

    최근 국내외 경제주체들이 주목하는 곳은 다름 아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다. 미 Fed 의장의 한마디에 환율과 증시가 출렁거리고 경제 방향성이 좌지우지되기 때문이다. Fed가 기침 한 번 할 때마다 주변 국가들은 독감에 걸린다는 우스갯소리마저 나온다.최근 미국이 자이언트스텝을 넘어서 울트라 스텝으로 금리 인상 페달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 국가들의 경제 전반에 경고음이 켜지고 있다.지난 1996년부터 오랜 기간 동안 Fed에서 선임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했던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Fed가 이렇게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린 적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경기 침체 가능성은 매우 큰 상황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표시했다.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는 경제 구조상 전혀 다른 모습이지만 오히려 현재가 더 심각할 수 있다”며 “대외적인 공조 부분도 현재 상당히 균열이 심화된 부분이 있어서 회복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미국의 경우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보다는 물가 억제를 위해서는 금리를 큰 폭으로 올릴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국가 간 공조가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그는 “현재 미국의 노동 시장은 꽤 좋은 편이고 실업률도 굉장히 낮은 편“이라며 “기초체력이 탄탄하다 보니 빅스텝으로 금리를 올려도 경제가 크게 타격을 입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다만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이 국내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대비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다.김 교수는 “외환보유액이 충분하고 리스크가

    2022.10.27 09:01:04

    [big story] 김진일 교수 “대외 공조 균열 심화…경기 침체 가능성 높다”
  • 달러강세에 외인 이탈↑…"한은, 금리 빠르게 올려야"

    천장마저 뚫릴 기세로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훌쩍 넘으며 파죽지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환율 흐름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에 이르고 있다. 13년 만에 환율이 치솟으면서 자본시장에 미칠 파급효과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가팔라진 긴축 흐름으로 킹달러 흐름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한국은행이 금리를 빠르게 올려야한다는 주장이다. 환율이 오를수록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기 때문이다. 최근 금리 인상기에 안전 투자처로 주목받던 채권 시장마저 한미 간 금리 차 역전으로 외국인의 매도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변정규 미즈호은행 전무는 "달러 강세 흐름은 지난 1년 중에 최근 6개월간 더 빨리 상승했는데 한미간 금리 격차도 더 크게 벌어지고 있다"이라며 "앞으로도 인플레이션 때문에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는 빨라질 수 밖에 없는데 결국 달러 강세 흐름이 장기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변 전무는 달러 강세 흐름에 대해 중앙은행에서도 쉽게 통제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결국 달러 강세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에는 직격탄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외국인은 수출 종속 변수로 환율을 볼 때 순매도에 나선다. 원·달러 환율 상승을 수출 전망 악화에 따른 결과물로 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외국인의 패닉 셀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들어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시가총액 비중 추이는 급격하게 줄며 자금 유출이 심화되고 있다. 변 전무는 "통화가치가 조정이 되면 결국 자산시장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2022.10.06 09:00:07

    달러강세에 외인 이탈↑…"한은, 금리 빠르게 올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