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내 그릇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인생 1회차, 낯설게 하기]

    종종 음식을 남긴다. 그럴 때면 찬장을 열어 반찬 통을 살피면서 남은 양에 딱 맞는 통은 무엇일까 가늠한다. 이 눈대중은 자연스럽지만 일상에서 꽤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장하여 영화 ‘에브리띵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세계관을 빌려보자면, 우리가 음식을 담을 그릇을 결정할 때마다 또 다른 평행우주의 내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명사 ‘그릇’의 단어 뜻은 총 3개다. 첫 번째는 우리 눈에 늘 보이는 음식을 담는 용도로써 그릇이다. 두 번째는 ‘어떤 일을 해 나갈 만한 능력이나 도량 또는 그런 능력이나 도량을 가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세 번째는 첫 번째 의미의 물리적인 단위를 의미한다.그릇이 처음 가공된 상태 그대로 용기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가 필요하다. ‘콜드컵’을 예로 들어보자. 콜드컵에는 뜨겁지 않은 고체, 액체, 기체를 담을 수 있고 그 형태는 세로로 긴 원통형에서 크게 변형되지 않는 형태여야 한다. 용량 또한 콜드컵 뚜껑이 닫히는 한도 내에서 결정된다. 너무 적거나 많은 양을 담으면 콜드컵은 효용 없는 짐이 되거나 안에 있는 게 흘러 넘치는 상황이 생긴다.인간의 그릇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릇에 비해 버거운 일을 하려고 하면 깨지거나 모양이 변할 수 있고, 적은 양의 일을 하게 되면 남는 공간이 심심해 한눈을 팔 수 있다. 하고싶은 일이 많다면 그릇을 깊거나 넓게 만들어야 한다. 그 균형을 맞추는 데 필요한 게 바로 경험과 거기서 나를 거쳐 간 생각들이다. 이는 업무적인 경력이나 세월에 비례하진 않는다. 예를 들자면 나는 22살이 되던 해 직계 가족의 암 선고

    2023.08.02 10:42:18

    내 그릇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인생 1회차, 낯설게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