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끓는 지구, 사피엔스와 공존의 가치[EDITOR's LETTER]

    [EDITOR's LETTER] 간혹 시간 날 때 동영상으로 진화생물학자들의 동영상 강의를 듣곤 합니다. 듣고 있으면 잠시 악다구니 쓰듯 사는 현실에서 벗어나 역사 속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깊은 시간 앞에서 나는, 인간은 어떻게 지금에 다다랐는지를 생각합니다.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은 자신의 죽음이 종의 멸종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았을까’ 같은 얘기를 들으면 삶 앞에 겸손해지기도 합니다. 인간, 호모 사피엔스는 지구에 사는 동물 중 가장 막둥이입니다. 탄생한 지는 대략 20만 년쯤이고 5만~6만 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전 세계로 퍼져 나갔습니다. 공존의 기술은 배우지 못한 듯합니다. 이후 사피엔스를 제외한 다른 호모 종들은 모조리 멸절시킨 후 1만여 년 전 먹이 사슬의 꼭대기에 앉습니다. 1만 년. 인간이 지구를 지배한 기간입니다. 길어 보이지만 공룡이 지배한 시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공룡은 멸종하기 전까지 1억4000만 년간 지구를 지배했습니다. 사피엔스가 지배한 기간은 점 하나도 찍기 힘들 겁니다. 하지만 인간이 지구를 지배한 시간에는 미스 매치가 있었습니다. 공룡은 하루아침에 멸종하지 않았습니다. 수십만 년 걸렸습니다. 새로운 지배자가 될 포유류는 진화할 시간을 확보했습니다. 이후 사자가 생태계의 맨 윗자리를 차지하는 데도 수백만 년이 걸렸습니다. 자연이 준 이 시간 동안 영양 같은 동물들은 쉽게 잡아먹히지 않을 수 있도록 더 빨리 달리는 방향으로 진화했습니다. 공진화의 과정이었습니다. 사피엔스는 달랐습니다. 순식간에 지배자가 됐고 이로 인해 다른 동물들이 진화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그 결과 인간이 지배한 1만 년 사이 포유류의 85%가

    2023.08.14 10:02:10

    끓는 지구, 사피엔스와 공존의 가치[EDITOR's LETTER]
  • 김대식 교수 “팬데믹이 앞당긴 메타버스, 수천조짜리 큰 시장 될 것”

    뇌과학자 김대식은 “새로운 디지털 현실, 메타버스로 인해 인류 역사의 방향이 뒤바뀌고 있다”고 말한다. 머지않은 미래에 펼쳐질 메타버스 시대, 인류는 단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던 새로운 화두를 마주하게 됐다.  아날로그 현실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인간이 메타버스 세계로 이주하는 것은 가능할까. 팬데믹 시대에 메타버스가 가장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지만,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아날로그 현실을 메타버스가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여전히 남아 있는 게 사실이다.김대식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메타버스에서도 현실 못지않은 공간적 경험을 누리는 게 뇌과학적으로 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아직은 기술의 한계가 존재하는 탓에 완벽한 메타버스가 구현되려면 수십 년의 시간을 더 기다려야 한다. 그럼에도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는 시간 문제일 뿐 언젠가는 인류가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필연적 흐름이다.메타버스라는 거대한 해일을 앞두고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근 신작 <메타버스 사피엔스>를 집필한 김 교수를 그의 연구실에서 직접 만나봤다.메타버스라는 테마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나요.“사실 메타버스에 대해서는 2~3년 전부터 생각하고 있었어요. 제 전공이 뇌과학이잖아요. 뇌과학, 인공지능(AI) 등의 배경 지식들이 점점 메타버스라는 더 큰 트렌드로 녹아들어 간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팬데믹이라는 충격 이후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궁금해서 친한 교수님들과 6개월 동안 공부 모임을 했는데요. 가장 큰 결론은 중세 흑사병이 됐든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기의 페스트가 됐든,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2022.02.25 11:33:26

    김대식 교수 “팬데믹이 앞당긴 메타버스, 수천조짜리 큰 시장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