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촌 상륙한 매수 불씨, 김포 전 지역 확산은 아직 [서울시 김포구?]
[스페셜 리포트 : 서울시 김포구?] “서울이 되면 좋아진다는 것은 다들 안다. 하지만 주민들 사이에선 ‘과연 되겠나?’라는 의구심이 강하다.” 김포골드라인 장기역 앞에서 만난 김모 씨(50대, 한강신도시 거주)가 말했다. 2023년을 얼마 남기지 않은 지금, 전국의 관심은 지금 김포로 향해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둔 여당의 ‘메가시티 서울’ 구상의 방아쇠를 당긴 곳이 김포이기 때문이다. 김병수 김포시장 등 김포 지역 여당 정치인들은 김포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포함에 반대하며 ‘서울 편입’을 주장했고 국민의힘 지도부가 이에 호응하며 국가적인 이슈가 됐다. 김포뿐 아니라 광명, 구리, 남양주, 고양 등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 지역에서도 “서울로 들어가겠다”는 요구가 나오면서 여당은 아예 ‘뉴시티 프로젝트 특위’를 구성해 전선을 확대하는 분위기다. 정치·경제·교육·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 대한민국 중심인 서울의 일부가 되는 일은 이처럼 각 지역에서 호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각에선 부동산 시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을 조심스럽게 전망하기도 한다. 서울에 편입되면 서울의 교통, 생활 인프라를 공유해 삶의 질이 높아지는 데다 전국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광역시도에 속했다는 후광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4631만원으로 전국(4억4770만원)은 물론 수도권(6억6180만원) 평균과도 차이가 크다. 그러나 뜨거운 여론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낮아진 기온처럼 김포 부동산 시장은 대체로 차분한 모습이었다. 지난해부터 부동산이 하락기에 접어든 이후 적체된 매물들로 인해 여전한 ‘매수자 우위’가 이어지고
2023.11.12 06:00:16
-
50년 만에 4.5배…급팽창한 서울 역사, ‘메가시티’ 구상 마중물 돼[서울시 김포구?]
[스페셜 리포트 : 서울시 김포구?] 2024년 총선을 앞두고 ‘메가시티(Mega City)’ 논쟁이 불붙고 있다. 한 도시가 인근 지역을 흡수하며 성장한 것은 도시 발전사에서 흔한 일이다. 서울도 수십 년간 경기도 지역을 흡수하며 세계적 도시로 성장했다. 강북 도심에서 시작해 동서남북으로 그 영토를 확장했다. 특히 강남권을 비롯해 한강 이남은 수십 년 전만 해도 모두 경기도에 속했다. 이들 지역이 중앙정부 계획에 따라 서울에 편입된 뒤 현재 행정구역이 완성되기까지 채 100년이 걸리지 않았다. 서울의 과도한 집중현상이 문제로 지적될 때까지 그 확장은 지속됐다. 최근 수년간은 ‘메가시티화’가 지방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면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충청 지역 등 지방 광역시까지 확장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영등포·강남 날개 단 서울, 대도시로 진화 인구 약 941만 명(2023년 8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면적 605㎢, 총 25개 자치구로 구성된 대한민국 수도 서울특별시는 불과 100년이라는 기간 동안 급성장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1936년 134㎢였던 서울 면적은 확장을 거듭하며 4.5배가량 넓어졌다. 1943년 7개에 불과하던 서울 내 자치구 역시 약 50년 만인 1995년에 4.5배로 늘었다. 일부 자치구는 기존에 경기도 지역이 편입되며 생겼지만, 급격한 인구 증가 등으로 기존 행정구역이 쪼개지며 신설된 사례도 있었다. 이처럼 서울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두 차례 결정적인 계기가 있었다. 중앙정부 계획에 따른 것이다. 이후 서울은 본격적으로 한강 이남까지 넓어지게 된다. 1936년 일제는 병참기지화를 목적으로 경기도 시흥군에 속했던 영등포 지역을 ‘경성부
2023.11.12 06: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