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10곳 중 8곳 ‘올해 정규직 신입 채용’···채용 방식은 수시채용이 대세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올해 기업 10곳 중 8곳은 정규직 신입 사원을 채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44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정규직 신입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79.9%가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발표했다.기업 규모별로는 상시근로자수 ‘100명 이상’이 88%로, ‘100명 미만’(75%) 보다 13%p 높아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올해 신입 채용 계획이 없는 곳이 많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IT’는 84%가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으나, ‘유통업’(72%)과 ‘금융·바이오업 등 기타’는 77%로 상대적으로 신입을 뽑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낮았다.채용 방식은 대부분인 76%가 ‘수시 채용’이었으며, ‘공개채용’은 17.5%였다. ‘수시와 공개 채용 모두’ 활용하는 기업은 6.5%로 나타났다. 수시 채용 진행 기업들의 인재 확보 방법은 ‘채용 플랫폼 활용’이 79%(복수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밖에 ‘내부 추천’(25%), ‘헤드헌팅’(15%), ‘SNS 서비스’(10%), ‘디지털 채용 솔루션’(5%) 등의 순이었다.공개 채용 시 연간 선발 인원은 ‘10명 미만’이라는 응답이 59%였으며, ‘10명~100명 미만’은 38%였다. 100명 이상을 뽑는 대규모 공채는 3%에 불과했다.최근 기업들로부터 각광 받는 인재상인 ‘책임 의식’에 대한 생각은 어떨까. 책임 의식을 세분화할 경우 기업들이 지원자에게 가장 요구하는 것은 ‘업무담당자로서의 자각’이 절반 이상(53.8%)이었다. 이어 ‘도덕성과 윤리의식’(18.3%), ‘성과 달성을 위한 집요함’(17.7%), ‘조직에 대한 로열티&rsquo
2023.03.30 11:00:22
-
크리마, 엔지니어, 글로벌 사업개발 등 13개 부문 채용···두 자릿수 규모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온라인 쇼핑몰 리뷰 솔루션 개발사 크리마가 전 직군을 대상으로 신입 및 경력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규모는 두 자릿수다. 올 상반기부터 진행된 이번 채용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글로벌 사업개발, 세일즈 컨설팅, 데이터 분석, 서비스 운영, 퍼블리싱, 마케팅, 프로덕트 디자인 등 총 13개 부문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채용 전형은 서류전형, 실무면접, 임원면접 순이며, 직무에 따라 세부 전형은 다를 수 있다. 크리마는 전 직원에게 연 240만원 상당의 자기 개발비를 지원하며, 업무 효율 증대를 위해 원격근무, 재택근무 등의 직무별 업무 환경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최신형 맥북 등 IT 기기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직원들의 건강한 회사 생활을 위해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 중이다. 김윤호 크리마 대표는 “크리마는 지금껏 업계 내 독보적인 수준의 기술력과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탄탄하게 내실을 다져온 기업”이라며 “훌륭한 인재들과 함께 도전하고 성취하며, 더욱 편안하고 효율적인 온라인 쇼핑 솔루션을 개발하고 싶다”라고 말했다.한편 크리마는 LG전자, 코오롱, 롯데홈쇼핑, 이랜드 등 1900여개에 이르는 고객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 4월에는 4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으며, 최근 ‘스타트업 클러스터’로 주목받는 성수동으로 사옥을 확장 이전하기도 했다. khm@hankyung.com
2021.10.14 11:28:45
-
[김인호의 합격포인트] 수시채용 공략법, 직무 역량에 논리적 사고력을 더해야
[한경잡앤조이=김인호 패스더취업 대표] 기업의 수시채용이 늘어나면서 구직자의 직무 역량과 논리적 사고력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선 직무 역량은 기업이 제공하는 직무설명자료를 공부하며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고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논리적 사고 능력은 다르다. 모든 분야에서 구조화된 절차에 따라 앞뒤 상관관계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암기로 가능한 부분이 아니며, 평소 구조화시켜 생각하는 훈련이 필요한 분야다.논리적 사고력을 높여주는 단순한 공식기업은 ‘계획-실행-결과-피드백’이 반복해 돌아가는 조직이다. 실행과정이나 결과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도 끊임없이 취한다. 이렇듯 기업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를 구조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래 순서도이다. * 현황 파악 → 핵심 도출 → 전략 수립 → (기대효과) → 실행 및 결과 → 피드백* 문제 파악 → 원인 도출 → 해결안 수립 → 실행 및 결과 → 피드백기업에서 일하는 실무자는 위 구조에 따라 행동 전략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구직자의 모든 글과 말에도 위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자기소개서 작성 전략직무 역량 관련 경험 중, 가장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나 상황은 무엇이었으며, 문제를 어떠한 과정으로 접근/분석/해결하였는지 작성해 주십시오.2021년 SK텔레콤 자기소개서 항목이다. 위에서 설명한 논리적 도출 과정이 그대로 담겨있다. 재미있는 부분은 해결 과정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라고 한다. 결과에는 큰 관심이 없다. 기업은 문제해결 과정이 결과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결과는 예
2021.09.03 11:10:11
-
[김인호의 합격포인트] 수시채용, 스펙 좋아도 OOOO안되면 서류 통과 어렵다
[한경잡앤조이=김인호 패스더취업 대표] 수시채용에서 취업 성공을 높이는 키팩터(Key factor)는 직무 이해도다. 공채 시절에는 학점, 어학점수, 인·적성 시험 위주로 준비하고, 직무 공부는 면접 전 잠깐 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채용이 매년 3월, 9월에 집중됐고, 서류통과를 위해 기본 스펙을 미리 높여 놔야 했기 때문이다. 그다음 채용공고가 나면 정신없이 지원했다. 하지만 수시채용은 상황이 다르다. 기업이 필요할 때 채용 공고를 내는 구조라 과거처럼 기본 스펙을 믿고 묻지마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스펙이 높아도 직무 이해도가 낮으면 서류통과조차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어려워지는 모집 요강SK하이닉스 신입사원 모집 요강에 나온 ‘Application Engineering’ 직무 설명이다. 누가 봐도 해당 직무 실무자가 작성한 내용이다. ‘Application Engineering’이라는 직무도 생소한데, 함축적인 전문 용어로서 직무를 설명했다. 한쪽 남짓한 직무 설명 자료에 방대한 내용을 담다 보니 내용이 어려워졌다. 경력직이 아니고서는 반도체를 어설프게 공부한 사람은 이해도 안 되고 지원할 엄두조차 나지 않는다. 혹 어렵게 해당 직무를 이해했다고 하자. 자기소개서는 어떻게 쓸 것인가. 구직자 역량을 직무와 연결해 자기소개서에 녹여내야 하는데, 직무와 연결고리 찾기가 쉽지 않다. 스펙과 전공만 믿고서는 기업에 지원조차 어려운 시대가 된 것이다. 결국, 실무자 수준의 직무 이해도를 갖춰야만 지원서를 낼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직무 공부 첫 단추는 직무 설명 자료 분석‘실무자 수준의 직무 이해도 갖추기’ 이 높은 벽을 깨기 위해서는 직무 공부는 필수다. 직무 공부 시작은
2021.08.27 15:45:36
-
[2021 취업 바늘구멍 뚫기] “수시채용·AI 면접 대비는 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에서 시작하죠” 석의현 커리어빅 대표
[한경잡앤조이=조수빈 기자] 코로나19로 축소된 취업 시장에 기업들이 빼든 카드는 ‘수시채용’이다. 대규모 공채가 부담스러워진 만큼 필요할 때마다 인재를 채용하겠다는 의미다. 더불어 불규칙한 채용공고에 취준생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수시채용,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금융권 채용 전문가 석의현 커리어빅 대표를 만나 2021 채용 시장 전망과 준비 팁을 들어봤다. 코로나19 이후 취업 시장 키워드는 ‘수시...
2021.03.18 10:05:45
-
'수시채용' 구직자의 시선은? 채용기회가 많아진 느낌 'Good' VS 경력직만 채용하는 분위기 'Bad'
[한경잡앤조이=장예림 인턴기자] 신입사원을 수시채용으로 모집하는 기업의 인사담당자와 신입직 수시채용에 지원한 경험이 있는 구직자들에게 신입직 수시채용의 장단점을 꼽아보게 했다. 조사 결과, 기업은 ‘적시에 필요 인력의 충원이 가능해진 것’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고, 취준생 중에는 ‘채용공고가 자주 등장해 취업 기회가 많아진 것 같은 느낌을 받는 점’이 장점이라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잡코리아가 신입사원 수시채용을 진행하는 기업 239개사의 인사담당자와 신입직 수시채용에 지원한 경험이 있는 취준생 911명을 대상으로 ‘수시채용 경험 후 체감하는 장단점’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먼저 인사담당자들은 신입직 수시채용의 장점으로 ‘필요한 시기에 직원을 채용할 수 있다(76.6%)’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구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다(33.5%)’, ‘직원 채용 기간이 짧아졌다(31.4%)’ 순으로 장점을 답했다.단점으로는 ‘수시채용 도입 후 채용업무가 많아졌다(41.4%)’, ‘여러 번 지원하는 지원자가 많아졌다(35.6%)’,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지원자가 많지 않다(30.5%)’ 등을 들었다.취준생들은 신입직 수시채용의 가장 큰 장점으로 ‘한 기업의 채용공고가 자주 등장해 취업 기회가 많아진 느낌(52.8%)’을 꼽았다. 이어 ‘공고에 채용하는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어 구직활동과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된다(43.0%)’, ‘한 기업에 여러 번 입사 지원할 수 있다(40.3%)’, ‘채용 전형 기간이 짧아 결과를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3
2021.02.22 11:4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