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활발...핀테크 기업도 분주

    편집자 주 매일 달라지는 금융의 신세계를 조명함으로써 혁신 기술과 금융 산업이 만난 이달의 핀테크 관련 국내외 뉴스를 소개한다.국경 간 전자상거래 활발...핀테크 기업도 분주 국경 간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핀테크 업체들이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글로벌 서비스형 핀테크 기업인 래피드(Rapyd)가 발표한 ‘국경 간 상거래 글로벌 현황(Global State of Cross-Border Commerce)’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국경 간 상거래 규모는 매년 5%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올해는 153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조사 대상 기업 중 절반 이상(51%)은 단순히 경쟁 업체들을 따라잡기 위해 국경 간 상거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기존 시장 외부의 새로운 기회에 대한 인식(57%), 현재 시장 밖의 유망주들의 요청(42%), 기존 시장 완전 침투(33%), 기존 시장 매출 감소(26%), 경기 둔화 경험(24%) 등이 있었다.규모와 산업에 따라 많은 조직들이 국제 시장에 진입하려 하지만 수많은 장벽을 맞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의 36%는 신규 고객 확보가 가장 큰 운영상의 과제로 꼽았고, 35%가 리스크 관리를 들었다.의사결정자들은 국경 간 상거래를 성장시키기 위해 데이터 보안 위험 관리(52%)와 현지 결제 수용 능력(49%)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아리크 시틸만(Arik Shtilman) 래피드 최고경영자(CEO)는 “국경 간 상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성장을 위해 리스크 관리를 위해 글로벌 핀테크 기업 27%만이 필요한 솔루션을 완벽하게 구현했다”고 말했다.특히 이 보고서에서는 국경 간 상거래를 위해서는 디지털 경험을 현지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2022.02.25 11:22:23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활발...핀테크 기업도 분주
  • 김경훈 한패스 대표 "외환 결제 플랫폼으로 'K-금융 한류' 일으킬 것"

    FINTECH LEADER혁신 기술로 무장한 핀테크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금융과 기술의 환상적인 만남, 핀테크 시대. 미래 금융은 무엇이며, 이 세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핀테크 기업을 만나는 시간. 이달의 핀테크 리더는 해외송금 전문 기업 ‘한패스’의 김경훈 대표다.“환거래(FXtrading) 노하우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개인 간(P2P) 서비스는 물론 기업과 소비자 간(B2C), 기업 간(B2B) 거래 시장을 아우르는 외환 결제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해 글로벌 시장에서 K-금융 한류를 일으키고 싶다.”3월 16일 서울 성동구 한패스 본사에서 만난 김경훈 대표는 향후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전날 투자 유치 설명회(IR)를 통해 금융사의 협업과 투자를 받은 김 대표의 모습은 다소 상기돼 보이면서도 자신감에 차 있었다.핀테크(FinTech, 금융+기술) 소액 해외송금 전문 기업 한패스는 2017년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최근에는 해외송금 거래금액 1조 원을 돌파하면서 국내 대표적인 핀테크 업체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한패스는 글로벌 송금 업체로 도약하기 위해 3월 호주 법인을 시작으로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형 ‘레볼루트(revolut: 영국 핀테크 송금 기업)’를 지향하는 한패스의 행보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회사를 간략히 소개해달라.“한패스는 2017년 2월 설립해 네팔, 필리핀,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에 서비스를 시작으로 200여 개 국가에 글로벌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약 55만 개 가맹점을 대상으로 서비스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송금 서비스로 다져진 금융 인프라를 바탕으로 해외-국내, 해외-해외 간 글로벌 송

    2021.03.25 13:40:21

    김경훈 한패스 대표 "외환 결제 플랫폼으로 'K-금융 한류' 일으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