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찮아서 인간관계 안 맺는 대학생들···폐부되는 동아리 늘고 있다
“새로운 사람 만나는 데 에너지 쓰고 싶지 않아요.” 손수민(대학생 2) 씨는 새로운 인간관계가 귀찮다. 필요한 관계가 아니라면 굳이 관계를 맺지 않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대학생에게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9학번 50.7%, 동기·선후배 관계 중요하지 않아 예전엔 두루두루 친하게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소수의 동기, 선후배와만 교류하는 대학생들이 늘고 있다. 2019년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발표한 「2000년생 대학 생활 탐구 보고서」에 따르면 동기·선후배와의 인간관계가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99학번은 33.3%였지만 19학번은 50.7%로 증가했다. 19학번의 80.0%는 대학 1학년 때 가장 중요한 것으로 ‘학업(학점)’을 택했다. 손 씨는 “점심을 같이 먹는 친구들은 있지만 따로 시간 내 만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선후배는 만날 기회가 거의 없어서 한두 명만 알고 있다”고 답했다. MT 등 학과 행사에 대한 참여도 저조하다. 한국외대 모 학과 학생회장은 “코로나 이후에 대면행사의 명맥이 끊겨 학과 행사를 열어도 일부 행사에는 10명도 참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MT에 참여해본 적이 없는 A(대학생 3) 씨는 “안 친한 사람들과 24시간을 함께 하는 것이 싫고 코로나19 때 시기를 놓치니 다시 참여하기가 어려웠다”고 전했다. 부원 모집난에 폐부되는 대학 동아리 친목 쌓기 좋은 모임인 동아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줄어들었다. 경희대 서울캠퍼스의 동아리 가입자 수는 2018년 대비 약 30% 감소했다. 조현이 경희대 동아리연합회장은 “코로나19 이후 인원이 줄어들면서 동아리가 폐부되고 있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타 대학도 마찬가지다. 최윤성 고려대
2023.11.22 14:05:40
-
직장생활 만족도 '인간관계vs근무환경vs연봉' 중 원픽은?
직장 내 인간관계가 직장인들의 회사생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근무환경(22.6%)’, ‘연봉(19.7%)’, ‘직무의 적합성 (16.4%)’, ‘복지 제도 (5.9%)’, ‘개인의 성장성 (5.4%)’, ‘회사의 비전(1.5%)’ 순이었다.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2023년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삶의 만족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대한민국 직장인 삶의 만족도’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직장인 패널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의 총 응답자는 1,000명(남자611명, 여자 389명)으로,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10%p다. ‘직장 내 인간관계’를 선택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27.8%였는데, 삶의 만족도에서 직장생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고 생각하는 집단은 31.3%, 보통 집단은 26.4%, 낮다고 생각하는 집단은 20.9%로 나타났다. 삶에서 직장생활의 비중이 높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낮다고 생각하는 집단보다 ‘직장 내 인간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5.8점(10점 만점기준)으로 나타났다. ‘현재 당신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간관계’라는 질문에는 ‘가족과의 관계(63.0%)’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직장 내 인간관계(15.7%)’, ‘친구와의 관계(10.2%)’, ‘직장 외 사회적 인간관계(7.5%)’, ‘친·인척들과의 관계(1.7%)’, ‘기타(1.9%)’ 순으로 나타났다. 평일 퇴근시간 후 일상에서는 ‘가족들과 시간을 보낸다(34.3%)’, ‘혼자 게임을 하거나 볼거리 영상을 시청한다(25.6%)’, ‘운동을 한다(10.0%)’, ‘음악, 미술, 독서, 요리 등 취미활동을 한다(9.6%)’ 등으로 집계됐다. 삶의 만족도에서 직장생활이 차지하
2023.08.21 15: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