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건전성에 경고등 켜진 카드사, 연체율 3년 내 ‘최고’

    카드론과 결제성 리볼빙 이용 금액의 증가와 함께 연체율까지 동반 상승해 카드업계의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22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카드사들의 카드론 잔액은 34조1210억원으로, 작년 말(33조6450억원)보다 4760억원 늘었다.연령별로는 50대의 카드론 잔액이 10조9950억원으로 40대(10조9210억원)를 넘어 가장 잔액이 많았다.2019년 말 기준 29조원대였던 카드론 잔액은 2020년 말 32조원, 2021 년·2022년 33조원대, 올해 1분기 34조원대로 50∼60대를 위주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증가세다.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카드사(신한·삼성·KB·롯데·우리·하나·현대)의 올해 4월 리볼빙 잔액은 7조1729억원으로 1년 전인 작년 4월(6조2740억원)보다 1조원 가까이 늘어났다.리볼빙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가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가까워 소비자에게 부담이 된다.이에 따라 카드사들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카드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대부분 1%를 넘겼다.사별로는 신한카드(1.37%), 삼성카드(1.10%), KB국민카드(1.19%), 롯데카드(1.49%), 우리카드(1.35%), 하나카드(1.14%) 등이다.신한카드의 경우 2019년 3분기(1.40%)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KB국민카드는 2020년 1분기(1.24%) 이후, 삼성카드는 2020년 2분기(1.2%)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다.여기에 고객 다수가 다중채무자인 만큼, 카드업계는 물론

    2023.05.22 12:22:21

    건전성에 경고등 켜진 카드사, 연체율 3년 내 ‘최고’
  • [카드뉴스]리볼빙 잔액 사상 처음 7조 원 돌파… “소비 더욱 위축될 것”

    리볼빙 서비스 이용액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10월 기준 리볼빙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7조 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전월 대비 약 2% 증가한 수치입니다.리볼빙은 카드값을 갚지 못하는 이들이 사용대금 일부분을 다음 달로 넘겨 갚는 제도로, 신용카드 부실 위험의 척도이기도 합니다.이월된 금액을 한 번에 갚지 않으면 고금리가 적용돼 원금과 이자가 복리로 늘어납니다.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리볼빙 잔액이 증가한 것은 그만큼 상환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늘어났다는 의미이기도 하죠.또한, 이미 평균 연 16.6% 높은 이자율이 책정되어 있었지만 7개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는 리볼빙 수수료율을 10월 말 기준 16.8%로, 0.26% 상승한 바 있습니다.업계에서는 소비자들의 이자 부담이 증가하면서 소비도 위축되리라 전망했으며, 할부 결제액 및 리볼빙 이용액 증가세를 경기 침체 전 현상으로 보는 시선도 많습니다.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2.12.13 13:44:29

    [카드뉴스]리볼빙 잔액 사상 처음 7조 원 돌파… “소비 더욱 위축될 것”
  • 카드사의 나쁜 마케팅 ‘리볼빙 덫’

    [비즈니스 포커스]“이 좋은 걸 왜 안 쓰세요.” 사회 초년생인 A(28) 씨는 지난해 말 카드사 상담원의 권유에 결제성 리볼빙(일부 결제 금액 이월 약정) 서비스에 가입했다가 6개월 후 울며 겨자 먹기로 이를 해지했다. 단순히 후불 결제라고 생각했는데 6개월이 돼서야 카드 빚이 1000만원에 가깝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연체 없이 신용도를 관리하는 서비스라며 엄청난 혜택인 양 말해 가입했는데 알고 보니 돈 먹는 하마였다”고 말했다. 직장인 B(32) 씨도 카드 연회비 지원금을 주는 대신 리볼빙 서비스에 필수 가입해야 한다고 해 리볼빙에 발을 들였다가 부채의 덫에 빠졌다. “(리볼빙 서비스는)좀처럼 막아지지 않는 도랑물이에요. 강물이 될 때쯤에야 마이너스 통장 대출을 뚫어 막았습니다. 애초에 쳐다도 보지 말아야 해요.” 최근 카드사의 리볼빙 서비스가 가계 부채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카드사는 수익을 늘리기 위한 방편으로 고금리 서비스인 리볼빙을 불완전 판매 방식으로 확대하며 이용자를 키웠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 수는 2020년 말 246만9000명에서 2022년 7월 말 273만5000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이월 잔액은 5조3900억원에서 6조6700원으로 커졌다. 사상 최대치다. 리볼빙 서비스는 신용카드 사용 대금 중 일부만 갚고 나머지 결제액은 일부 이자를 부담하고 다음 결제 때 대금을 상환하는 제도다. 한국 7개 카드사의 리볼빙 서비스 최고 금리는 연 18~20% 수준으로, 전체 이용자의 40%가 이 금리를 적용받고 있다. 평균 금리 역시 카드론 금리보다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고금리 서비

    2022.09.29 06:00:01

    카드사의 나쁜 마케팅 ‘리볼빙 덫’